[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include(틀: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2월 20일]]에 [[베이징국가체육장]]에서 개최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폐막식의 내용을 정리한 문서. == 진행 == [[2022년]] [[2월 20일]] 오후 8시(한국시각 오후 9시)에 폐막식 행사가 시작되었다. 감독은 개막식과 같은 [[장이머우]]. 첫 순서의 공연인 '밝게 비추며'에서는 화등을 든 어린이들이 중국의 [[정월 대보름]]인 '[[원소절]]'(元宵节)의 전통행사인 '나오화덩'에서 모티브를 따온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이 때 [[반짝반짝 작은 별]]을 [[샘플링]]한 듯한 음악이 나왔다. 이어 [[시진핑]] 주석과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을 소개한 후 중국 국기 게양과 함께 중국 국가 [[의용군 진행곡]]이 연주되었고, 중국의 전통 매듭 도안인 중국결이 AR 기술을 통해 구현[* 앞서 도쿄 올림픽 폐막식에서 [[오륜기]]를 AR로 구현한 적이 있다. 도쿄 때와 마찬가지로 가상으로 보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관람하는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는다.]된 뒤 경기장 바닥에도 똑같은 무늬가 구현되었다. 이후 각국의 국기가 기수단을 앞세워 먼저 들어온 후 각국의 선수단이 폐막식 전통대로 순서 없이 입장하였다. 이 때 선수단 입장 시에 나온 음악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이다. 한국 선수단의 기수는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차민규]]가 맡았다. 입장한 선수들이 자원봉사자들의 안내를 받아 각기 자리에 앉은 후에는 [[크로스컨트리]] 여자 30km과 남자 50km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각국의 국기가 게양되고 금메달리스트들의 국가가 연주되었다. 이 때 여자 30km 금메달리스트인 테레세 요헤우의 국적인 [[노르웨이]]의 [[그래, 우리는 이 땅을 사랑한다|국가]]는 정상적으로 연주되었으나, 남자 50km 금메달리스트인 알렉산드르 볼슈노프의 조국인 [[러시아]]는 IOC의 징계 때문에 러시아올림픽위원회의 기가 게양되고 [[러시아 연방 국가|러시아 국가]] 대신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차이콥스키)|피아노 협주곡 1번]]이 연주되었다. 안 그래도 [[카밀라 발리예바]]의 도핑 논란이 불거진 상황에서 벌어진 풍경이라 더욱 씁쓸함을 더하는 장면이었다.[* 게다가 논란이 불거졌던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경기때처럼 금, 은메달이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몫이었다.] 이후 신임 IOC 위원으로 선출된 [[프랑스]]의 [[바이애슬론]] 선수 마르탱 푸르카드[* 이전 대회인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3관왕을 차지했다.]가 자원봉사자 대표들에게 기념품인 등롱을 전달하며 대회 기간 자원봉사자들의 노고를 치하했고, 올림픽을 준비하고 개최하는 과정에서 목숨을 잃은 사람들의 명복을 빌고 다친 사람들을 위로하는 공연인 기억의 시간에[*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폐막식 부터 매회 하계, 동계 올림픽 폐막식 때 진행된다.] '버드나무 가지 꺾어 보내며'라는 공연이 이어졌다. 중국에서는 떠나는 사람에게 머물 류(留)자와 한자 독음이 같은 [[버드나무]](柳)의 가지를 주며 이를 통해 떠남을 아쉬워하고 다시 만날 것을 기대하는 의미를 담았는데, 이를 형상화 한듯 버드나무 가지를 형상화한 LED 장식물을 든 365명의 사람들이 나와 365일간 이를 기억하겠다는 뜻을 담았다. 이어 올림픽의 전통에 따라 [[그리스]] 국기 게양 및 [[자유의 찬가|그리스 국가]]가 연주되었고 올림픽기를 하강 및 이양하는 행사가 이어졌다. 올림픽기를 하강하는 중에는 개막식 당시 [[올림픽 찬가]]를 불렀던 어린이 합창단이 다시 나와 해당 곡을 [[그리스어]]로 불렀다. 올림픽기가 차기 개최지인 [[이탈리아]]의 [[밀라노]]와 [[코르티나담페초]]로 이양된 후에는 이탈리아 국기 게양 및 국가 연주가 있었고, 이 때 [[마멜리 찬가|이탈리아 국가]]는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지오반니 안드레아 자농의 연주에 맞춰 이탈리아의 대중가요 가수 말리카 아야네가 불렀다.[* 서로 다른 두 장르 음악의 조화를 보여줌으로써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두 도시인 밀라노, 코르티나의 조화를 드러내려는 의도이다.]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경기장 바닥에는 이탈리아의 영토가 그려지고 있었다. 그리고 차기 대회 개최지를 소개하는 공연이 이어졌는데, 지구 모양의 공을 굴린 두 어린이의 모습을 시작으로 두 무용수의 공연과 함께 바닥에 형이상학적인 여러 무늬를 그려나가다가 동계올림픽의 각 종목을 형상화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후 설원에 26이라는 숫자를 형상화한 차기 대회 앰블럼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어 [[조아키노 안토니오 로시니]]의 [[기욤 텔 서곡|윌리엄 텔 서곡]]의 음율에[* 개막식에서 그리스 선수단이 입장할 때 나왔던 곡이다.] 맞춰 이탈리아인들이 차기 대회 개최지를 소개하는 모습을 담았고, 해당 도시들이 속한 주의 주지사들이 중국어로 인사하는 모습과 이탈리아 국기를 만드는 [[에어쇼]][* [[2020 도쿄 올림픽/폐막식|2020 도쿄 올림픽 폐막식]]의 차기 개최지인 [[2024 파리 올림픽]] 소개영상에서도 프랑스 국기를 만든 바가 있었다.]를 끝으로 차기 대회 개최지 공연은 마무리되었다. 이후 각국의 깃발을 든 기수들이 입장해 정렬한 뒤에는 차이치 베이징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이 축사를 했고, 그 바톤을 넘겨받은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연설을 한 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폐막을 선언하였다. 이어서 어린이 합창단이 [[2008 베이징 올림픽]]의 주제가였던 '너와 나'(我和你)를 합창하자 성화대가 내려오고 오륜 구조물이 올라가면서 서로 교차하였고, 그 뒤에는 이번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주제가인 설화(雪花, [[눈송이]])를 합창하였다. 이후 성화가 꺼지며 17일 간의 열전의 종막을 고했다. 이후에는 각국의 깃발을 든 기수들이 경기장 바깥으로 퍼져가면서 눈꽃송이가 올라가는 모습이 AR로 구현되었고, 오륜을 형상화한 불꽃이 터진 것을 시작으로 '''ONE WORLD, ONE FAMILY'''[* [[2008 베이징 올림픽]]의 슬로건이었던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 (One World, One Dream)'''의 셀프 레퍼런스.]라는 영어 문구와 天下一家라는 중국어 문구가 폭죽으로 구현된 것을 비롯해 형형색색의 불꽃이 터졌다. 이후에는 공연자들이 [[Auld Lang Syne]]을 [[중국어]]로 부르며 석별의 정을 노래했고, 이렇게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그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 영상 == ||
'''풀영상 다시보기 (유튜브)''' || ||<#ffffff,#191919><:>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KBS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35_k7eB-jY)]}}}||}}}}}}}}}|| ||<-3> {{{#fff '''국내 방송사 중계진'''}}} ||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50]]]] (LIVE) || [[이영호(아나운서)|이영호]], [[송승환]] || || [[MBC|[[파일:MBC 로고.svg|width=50]]]] (현장 LIVE) || [[김나진]], [[김초롱(아나운서)|김초롱]]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Delay) || [[배성재]], [[주시은]], [[이정찬(스포츠 기자)|이정찬]][* SBS 스포츠국 기자.] || == 참석/참여 주요 인사 == *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폐막식 중에 망원경으로 식을 보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 우청디옌(吳成典) [[신당(대만)|신당]] 주석 * 천지닝(陈吉宁) [[베이징시|베이징]] 시장 * 주세페 살라(G. Sala) [[밀라노]] 시장 * 지안피에트로 게디나 [[코르티나담페초]] 시장 *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IOC 위원장]] == 반응 및 평가 == 개막식에 이어 폐막식에서도 [[중국]]만의 특색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 노력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임팩트는 부족하고 [[중국]]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문제점 및 사건 사고|대회 내내 보여준 만행]]으로 인해 과연 올림픽 정신을 논할 자격이 있는가 하는 의구심을 품게 하기에 충분했기 때문에 냉소적으로 반응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KBS 1TV]]에서 중계를 맡았던 [[송승환]] 해설위원은 '''"[[중국]]이 [[G2]] 국가로서 여유있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했는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그렇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올림픽이라는 세계 평화의 장에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문제점 및 사건사고|개최국으로서의 배려와 양보를 보이지 못했다.]]"''' 라고 평가했다.] 한편, 차기 개최지인 [[밀라노]]와 [[코르티나담페초]]의 소개 영상에서 [[2020 도쿄 올림픽]] 폐막식에서 [[프랑스 파리]]가 보여줬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평가가 있었고, 실제로 두 도시의 소개 영상은 파리의 소개영상을 의식한 듯 국기 모양을 재현한 [[에어쇼]]를 비롯해 건물 위를 뛰어다니는 사람의 시점에서 카메라 워킹을 하는 등 거의 비슷한 컨셉으로 찍힌 것을 볼 수 있었다. == 기타 == * 국내 방송사 중에는 [[MBC]]만 현장 생중계를 했고, 가장 이른 20시 10분부터 방송을 시작해 시작 전 경기 하이라이트를 보여주었다.[* 이로 인해 [[복면가왕]]과 [[뉴스데스크]]는 20분씩 일찍 방송했고, [[방과후 설렘]]은 23시로 시작 시간이 밀려났으며, [[탐사기획 스트레이트|스트레이트]]와 [[구해줘! 홈즈]]는 결방했다.] [[KBS 1TV]]는 시작 직전인 20시 50분부터 생중계를 했는데, 개막식 때와 달리 서울 스튜디오에서 중계를 했다.[* 지난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개폐막식 모두 현지 중계를 했으나, 이번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선 폐막식을 서울 스튜디오에서 중계했다. 시각장애가 있는 [[송승환]] 해설위원이 [[http://naver.me/Gc4NWpvY|베이징 입국 당시 크게 곤욕을 치뤘기에]] 폐막식 때 재입국에 부담을 느껴 스튜디오 중계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 [[SBS]]는 생중계를 하지 않고 정규 프로그램인 [[맨 인 블랙박스]]와 [[미운 우리 새끼]]를 정상 방송한 뒤 당일 23시 05분부터 딜레이 녹화 중계했다.[* 올림픽 폐막식 딜레이 중계는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 12년만으로, 앞서 SBS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의 개폐막식과 [[2020 도쿄 패럴림픽]] 폐막식도 딜레이로 중계를 했다. 후자는 타 사들도 모두 녹화 중계로 진행하기도 했다.] * KBS 중계진들은 폐막식 중계를 끝마치면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2022 베이징 동계 '''비장애인''' 올림픽을 마친다는 말을 이어서 했으며, MBC 중계진 역시 베이징의 열기를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패럴림픽]]에서 이어갈 것이라고 마무리를 지었다. SBS 중계진 역시 런던 올림픽 폐막식 이후, 런던 패럴림픽에서 넘어오면서 나온 광고 '''[[https://www.dandad.org/awards/professional/2013/writing-for-advertising/20066/thanks-for-the-warm-up/|Thanks For The Warm-Up! (준비운동은 끝났다!)]]'''라는 광고를 인용하여, 올림픽은 끝났지만 올림픽 정신은 패럴림픽에서 계속 이어진다는 것을 상기시켰다. * KBS는 엔딩 크레딧에 선수들의 모습을 띄우며 마무리를 했고, MBC는 [[방탄소년단|BTS]]의 [[MAP OF THE SOUL : PERSONA#s-2.3|소우주]]를 선곡하며 선수들의 모습을 먼저 하이라이트로 보여주고, 후반부에는 엔딩 크레딧과 함께 서울 상암동 본사와 베이징 현지에서 중계를 한 캐스터들과 해설진들의 사진을 띄우며 마무리를 했다. 반면 SBS는 별 다른 엔딩 크레딧 없이 방송을 끝냈다. * 시청률은 KBS 1TV가 4.1% MBC가 2%를 기록하여 총합 6.1%를 기록했다. 녹화 중계한 SBS는 1%를 기록했다. 이는 [[2020 도쿄 올림픽/폐막식|도쿄 폐막식]]보다 낮은 수치이며, 개막식과 비교해도 반토막난 수치이다. 그리고 동시간대에 방송한 [[KBS 2TV]] [[신사와 아가씨]](36.8%)는 물론, SBS [[미운 우리 새끼]](13.7%)[* 당일 초콜릿만 녹여먹고 남겨둔 아몬드 등이 널부러져 있는 [[서남용]] 집의 충격적인 위생 상태가 또 다시 큰 화제를 모았다. SBS가 올림픽 주관방송사임에도 불구하고 폐막식 생중계를 포기하면서까지 정규 방송을 편성했는지 대강 알 수 있는 부분.], [[tvN]] [[스물다섯 스물하나]](8.8%), [[JTBC]] [[뭉쳐야 찬다 2]](5.8%) 등에 크게 밀렸다. [[분류: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