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LC)] [include(틀: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include(틀:KLC 역대 대회)] ||<-3> [[파일:KLC_logo.png|width=100]] || ||<-3><#d59d50> {{{+1 {{{#fff '''2022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레전드 챔피언쉽'''}}}[br]{{{-2 {{{#fff '''2022 Kartrider Rush Plus Legend Championship'''}}}}}}}}} || ||<#d59d50> '''대회 기간''' ||<-2> 2022년 12월 19일 ~ 2022년 12월 25일 || ||<#d59d50> '''주최''' ||<-2> [[넥슨]] || ||<-3><#d59d50> '''중계'''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 ||<|2> {{{#white '''중계 플랫폼'''}}} ||<-2> {{{-3 {{{#white '''온라인'''}}} }}} || ||<-2> [[https://kartrideresports.nexon.com/KRPL/Info/Contents|[[파일:KLC_logo.png|width=30]]]] [[https://www.youtube.com/channel/UCl2qcZPs6MxnCVheGlLc1i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witch.tv/kartriderrushplusesports/|[[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bj.afreecatv.com/krpl|[[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 ||<-3> '''중계진''' || || {{{-2 '''캐스터'''}}} ||<-2> [[김규환(게임 캐스터)|김규환]], [[최시은]], 이성훈 || ||<|2> {{{-2 '''해설자'''}}} ||<-2> [[정준(게임 해설가)|정준]], [[김대겸]], [[김승래]],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박인재]] || }}}}}}}}} || ||<-3> '''일정'''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팀전''' || || {{{-3 '''조별 경기'''}}} || 12.19(월) ~ 12.21(수) || || {{{-3 '''포스트 시즌'''}}} || 12.22(목) ~ 12.24(토) || ||<-3> '''개인전''' || || {{{-3 '''16강'''}}} || 12.22(목) ~ 12.23(금) || || {{{-3 '''승자/패자전'''}}} || 12.23(금) || || {{{-3 '''패자부활전'''}}} || 12.24(토) || || {{{-3 '''최종전'''}}} || 12.25(일) || ||<-3> '''결승전''' || || {{{-3 '''개인전 / 팀전'''}}} || 12.25(일) || }}}}}}}}} || ||<-3> '''결과'''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 ||<|2> {{{+1 '''우승'''}}} || '''팀전''' || '''개인전''' || || {{{+1 '''SGA Incheon'''}}} || {{{+1 '''[[박상원(프로게이머)|RAMGONG]]'''}}} || ||<|2> '''준우승''' || '''팀전''' || '''개인전''' || ||GAMECOACH|| [[이진건|VEGA]] || }}}}}}}}} || [목차] [clearfix] == 개요 == '''Kartrider Rush Plus Legend Championship. 한중 대항전.''' 아시아 챔피언스 컵 대신 열리는 경기이다. == 참가팀 == [include(틀:KLC 참가팀)] == 경기 일정 == || {{{#000 '''날짜'''}}} || {{{#ffffff '''팀전'''}}} || {{{#ffffff '''개인전'''}}} || || {{{#000 '''12월 19일 (월)'''}}} || 조별 경기 1~8경기 ||<|3><#c0c0c0> || || {{{#000 '''12월 20일 (화)'''}}} || 조별 경기 9~16경기 || || {{{#000 '''12월 21일 (수)'''}}} || 조별 경기 17~24경기 || || {{{#000 '''12월 22일 (목)'''}}} || 포스트시즌 승자전 1단계 || 16강 A/B조 || || {{{#000 '''12월 23일 (금)'''}}} || 포스트시즌 패자전 1단계 || 16강 승자/패자전 || || {{{#000 '''12월 24일 (토)'''}}} || 포스트시즌 승자/패자전 2단계 || 16강 패자부활전 || || {{{#000 '''12월 25일 (일)'''}}} || 최종전/결승전 || 결승전 || == 경기 진행 == [include(틀:KLC 경기 진행)] == 규정 == * 팀전 그룹 스테이지 * 조별로 한 그룹에 4팀간 더블 라운드 로빈 경기 진행 * SET 1 : 스피드 팀전 5판 3승제 4 vs 4 * SET 2 : 아이템 팀전 5판 3승제 4 vs 4 * SET 3 : 에이스 결정전 * 2개의 SET 선취 시 경기 승리 * 각 조 1, 2위 포스트시즌 승자전 1단계 진출, 각 조 3위 포스트시즌 패자전 1단계 진출. * 동률 시 세트 득실-승자승-트랙 득실 비교. 세 가지 모두 같은 팀은 각 팀 대표 1인이 스피드 개인전 1 vs 1 9전 5선승제 타이브레이커 진행. * 포스트시즌 * 6팀 간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 * 승자전 1단계: 각 조 1, 2위 간 경기. 승자 승자전 2단계 진출, 패자 패자전 1단계 진출. * 패자전 1단계: 각 조 3위 vs 승자전 1단계 패배 팀. 승자 패자전 2단계 진출. * 승자전 2단계: 승자전 1단계 승리팀 간 경기. 승자 결승전 진출, 패자 최종전 진출. * 패자전 2단계: 패자전 1단계 승리팀 간 경기. 승자 최종전 진출. * 최종전: 승자전 2단계 패자 vs 패자전 2단계 승자. 승자 결승전 진출. * 결승전: 승자전 2단계 승자 vs 최종전 승자. * 포스트시즌은 3페이즈 제도로 진행. 1, 2페이즈 각각 스피드 5전 3선승, 아이템 5전 3선승, 에이스 결정전 단판의 3세트. 3페이즈 승자연전. 2개의 페이즈 선취 시 경기 승리.[*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부터 채택된 팀전 결승전 방식을 생각하면 된다.] == 출전 선수 == === 팀전 === 2022 KRPL 시즌 2 상위 4팀과 중국 카러플 리그인 P1 상위 4팀이 선발된다. 그 중 한 팀이 불참한다면 차순위 팀이 선발된다. ==== KRPL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KLC_SGA.png|width=100%]]}}} || ||<-2> [[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파일:SGA Inchon.png|width=70]]]] ||<-3> '''{{{+2 [[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ffffff SGA Incheon}}}]]}}}''' || || '''{{{-1 HYBRID}}}''' [[파일:crwn.png|width=15]] || '''{{{-1 SWEEPER}}}''' || '''{{{-1 SPEED ACE}}}''' || '''{{{-1 RUNNER}}}''' || '''{{{-1 ITEM ACE}}}''' || || {{{#000 [[최준영(프로게이머)|최준영]][br]'''{{{-2 HELLEN}}}'''[br]'''{{{#c8ab37 {{{-2 ★★★}}}}}}'''}}} || {{{#000 [[김윤수(프로게이머)|김윤수]][br]'''{{{-2 LIGHT}}}'''[br]'''{{{#c8ab37 {{{-2 ★}}}}}}'''}}} || {{{#000 [[김성수(2003)|김성수]][br]'''{{{-2 SEONGSU}}}'''[br]'''{{{#c8ab37 {{{-2 ★}}}}}}'''}}} || {{{#000 [[황희준]][br]'''{{{-2 SORYEONG}}}'''[br]'''{{{#c8ab37 {{{-2 ★}}}}}}'''}}} || {{{#000 [[이준석(2001)|이준석]][br]'''{{{-2 BAZZI}}}'''[br]'''{{{#c8ab37 {{{-2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KLC_GCA.png|width=100%]]}}} || ||<-2> [[게임코치|[[파일:game coach logo.png|width=80]]]] ||<-4> '''{{{+2 [[게임코치|{{{#ffffff 게임코치}}}]]}}}''' || || '''{{{-1 SPEED ACE}}}''' [[파일:crwn.png|width=15]] || '''{{{-1 RUNNER}}}''' || '''{{{-1 HYBRID}}}''' || '''{{{-1 RUNNER}}}''' || '''{{{-1 ITEM ACE}}}''' || || {{{#000 [[민기(프로게이머)|민기]][br]'''{{{-2 RUNMINGI}}}'''[br]'''{{{-2 {{{#silver 준우승}}}}}}'''}}} || {{{#000 [[최림(프로게이머)|최림]][br]'''{{{-2 LIMIT}}}'''[br]'''{{{-2 {{{#silver 준우승}}}}}}'''}}} || {{{#000 [[박효준(프로게이머)|박효준]][br]'''{{{-2 ROXY}}}'''[br]'''{{{-2 {{{#silver 준우승}}}}}}'''}}} || {{{#000 [[박상원(프로게이머)|박상원]][br]'''{{{-2 RAMGONG}}}'''[br]'''{{{-2 {{{#silver 준우승}}}}}}'''}}} || {{{#000 [[신정원(프로게이머)|신정원]][br]'''{{{-2 JUNGWON}}}'''[br]'''{{{-2 {{{#c0c0c0 준우승}}}}}}'''}}}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KLC_ROX.png|width=100%]]}}} || ||<-2> [[ROX Gaming/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파일:ROX-Gaming-logo.png|width=60]]]] ||<-3> '''{{{+2 [[ROX Gaming/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ffffff ROX Gaming}}}]]}}}''' || || '''{{{-1 SPEED ACE}}}''' [[파일:crwn.png|width=15]] || '''{{{-1 RUNNER}}}''' || '''{{{-1 SWEEPER}}}''' || '''{{{-1 MIDDLE}}}''' || '''{{{-1 ITEM ACE}}}''' || || {{{#000 [[한종문]][br]'''{{{-2 JJONG}}}'''[br]'''{{{#c8ab37 {{{-2 ★★★}}}}}}'''}}} || {{{#000 [[권민준]][br]'''{{{-2 SSEAL}}}'''[br]'''{{{#c8ab37 {{{-2 ★}}}}}}'''}}} || {{{#000 [[범세현]][br]'''{{{-2 WIZONE}}}'''[br]'''5위'''}}} || {{{#000 [[성시우]][br]'''{{{-2 SIWOO}}}'''[br]'''{{{#c8ab37 {{{-2 ★}}}}}}'''}}} || {{{#000 [[서정민(프로게이머)|서정민]][br]'''{{{-2 JEONGMIN}}}'''[br]'''{{{#c8ab37 {{{-2 ★}}}}}}'''}}}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KLC_NM.png|width=100%]]}}} || || [[파일:2022S2_NM_logo.png|width=80]] ||<-3> '''{{{+2 {{{#000000 NUTMITE}}}}}}''' || || '''{{{-1 RUNNER}}}''' || '''{{{-1 SPEED ACE}}}''' [[파일:crwn.png|width=15]] || '''{{{-1 HYBRID}}}''' || '''{{{-1 RUNNER}}}''' || || {{{#000000 [[이진건]][br]'''{{{-2 VEGA}}}'''[br]'''{{{#cd7f32 {{{-2 3위}}}}}}'''}}} || {{{#000 [[한승철]][br]'''{{{-2 IRON}}}'''[br]'''{{{#000000 {{{-2 4위}}}}}}'''}}} || {{{#000 이윤하[br]'''{{{-2 YUNHA}}}'''[br]'''{{{#000000 {{{-2 4위}}}}}}'''}}} || {{{#000 양준혁[br]'''{{{-2 JuNyeoK}}}'''[br]'''{{{#000 {{{-2 4위}}}}}}'''}}} || ==== P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KLC_APR.png|width=100%]]}}} || ||<-2> [[파일:APR.png|width=70]] ||<-3> '''{{{+2 {{{#ffffff AP Racing FC}}}}}}''' || || '''{{{-1 SPEED ACE}}}''' [[파일:crwn.png|width=15]] || '''{{{-1 RUNNER}}}''' || '''{{{-1 SWEEPER}}}''' || '''{{{-1 HYBRID}}}''' || '''{{{-1 ITEM ACE}}}''' || || '''{{{-2 AXIN}}}''' || '''{{{-2 AFAN}}}''' || '''{{{-2 TOUTOU}}}''' || '''{{{-2 NAINIU}}}''' || '''{{{-2 LUOYE}}}'''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KLC_XC.png|width=100%]]}}} || ||<-2> [[파일:XC.png|width=70]] ||<-3> '''{{{+2 {{{#1a1869 XC E-Race}}}}}}''' || || '''{{{-1 SPEED ACE}}}''' [[파일:crwn.png|width=15]] || '''{{{-1 RUNNER}}}''' || '''{{{-1 SWEEPER}}}''' || '''{{{-1 HYBRID}}}''' || '''{{{-1 ITEM ACE}}}''' || || '''{{{-2 ZHUYAN}}}''' || '''{{{-2 848}}}''' || '''{{{-2 BOLUO}}}''' || '''{{{-2 CHUAN}}}''' || '''{{{-2 QIAN}}}'''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KLC_XP.png|width=100%]]}}} || ||<-2> [[파일:XP GAMING Logo.png|width=70]] ||<-3> '''{{{+2 {{{#3ec8ed XP Gaming}}}}}}''' || || '''{{{-1 SPEED ACE}}}''' [[파일:crwn.png|width=15]] || '''{{{-1 RUNNER}}}''' || '''{{{-1 SWEEPER}}}''' || '''{{{-1 HYBRID}}}''' || '''{{{-1 ITEM ACE}}}''' || || '''{{{-2 AYF}}}''' || '''{{{-2 LXL}}}''' || '''{{{-2 SKYKING}}}''' || '''{{{-2 BEIYING}}}''' || '''{{{-2 13}}}'''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KLC_19.png|width=100%]]}}} || ||<-2> [[파일:19esports.png|width=70]] ||<-3> '''{{{+2 {{{#a29f9a 19 ESPORTS}}}}}}''' || || '''{{{-1 SPEED ACE}}}''' [[파일:crwn.png|width=15]] || '''{{{-1 RUNNER}}}''' || '''{{{-1 SWEEPER}}}''' || '''{{{-1 HYBRID}}}''' || '''{{{-1 ITEM ACE}}}''' || || '''{{{-2 PEKZ}}}''' || '''{{{-2 KAOSHAN}}}''' || '''{{{-2 HEINIU}}}''' || '''{{{-2 COLA}}}''' || '''{{{-2 MIAO}}}''' || === 개인전 === ==== KRPL ==== 선수 이름 아래의 문구는 해당 선수가 2022 시즌 2 개인전 성적을 의미한다. 대회용 계정 닉네임은 ||<-4> {{{#ffffff '''KRPL'''}}} || || [[한종문|[[파일:2022S2_JJONG.png|width=100%]]]] || [[이진건|[[파일:2022S2_VEGA.png|width=100%]]]] || [[민기(프로게이머)|[[파일:2022S2_RUNMINGI.png|width=100%]]]] || [[파일:2022S2 SSEAL.png|width=100%]] || || [[한종문|{{{#fff '''JJONG'''}}}]] || [[이진건|{{{#white '''VEGA'''}}}]] || [[민기(프로게이머)|{{{#ffffff '''RUNMINGI'''}}}]] || [[권민준|{{{#white '''SSEAL'''}}}]] || || {{{#FF7F00 ★}}} || {{{#c0c0c0 '''준우승'''}}} || 4위 || 5위 || || [[파일:2022S2 LIMIT.png|width=100%]] || [[파일:2022S2_SIWOO.png|width=100%]] || [[파일:2022S2_RAMGONG.png|width=100%]] || [[파일:2022S2_RUNPILMO.png|width=100%]] || || [[최림|{{{#white '''LIMIT'''}}}]] || [[성시우|{{{#white '''SIWOO'''}}}]][*참고 기존 시드였던 [[황희준|SORYEONG]]과 [[김성수(2003)|SeonGSu]] 그리고 차순위였던 [[최준영(프로게이머)|HELLEN]]도 기권하면서 [[성시우|SIWOO]], [[박상원(프로게이머)|RAMGONG]], [[정필모(프로게이머)|RUNPILMO]]가 올라오게 되었다.] || [[박상원(프로게이머)|{{{#fff '''RAMGONG'''}}}]][*참고] || [[정필모(프로게이머)|{{{#fff '''RUNPILMO'''}}}]][*참고] || || 6위 || 9위 || 10위 || 12위 || ==== P1 ==== ||<-4> {{{#ffffff '''P1'''}}} || || [[파일:|width=100%]] || [[파일:|width=100%]] || [[파일:|width=100%]] || [[파일:|width=100%]] || || A-XIN || PEKZ || A-FAN || TOU TOU || || || || || || || [[파일:|width=100%]] || [[파일:|width=100%]] || [[파일:|width=100%]] || [[파일:|width=100%]] || || NAI-NIU || KAO-SHAN || XIAO-HAI || BEI-YANG || || || || || || == 결과 == ||<-9>
{{{#ffffff '''팀전 순위'''}}} || || 최종[br]순위 || 조별리그[br]순위 || 팀 || 승 || 패 || 세트[br]득실 || 트랙[br]득실 || 상금 || 비고 || || {{{#000 '''우승'''}}} ||<#adf> {{{#000 B조 2위}}} || [[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파일:SGA Inchon white.png|width=25]] {{{#white '''SGA 인천'''}}}]] || 8 || 2[* B조 1, 2위 Tie Breaker 1패 포함] || || || 120,000 CNY || 결승전 승[* 21-2 이후 프로팀 최초 2연속 우승] || || {{{#000 '''준우승'''}}} ||<#adf> {{{#000 A조 1위}}} || [[게임코치|[[파일:게임코치 white logo.png|width=30]] {{{#white '''GAME COACH'''}}}]] || 8 || 3 || || || 80,000 CNY || 결승전 패 || || {{{#000 '''3위'''}}} ||<#adf> {{{#000 B조 1위}}} ||<#c00707> [[파일:ROX 하얀색 로고.png|width=20]] {{{#fff '''ROX Gaming'''}}} || 7[* B조 1, 2위 Tie Breaker 1승 포함] || 3 || || || 40,000 CNY || 최종전 패 || || {{{#000 4위}}} ||<#ADF> {{{#000 A조 2위}}} ||<#CD853F> [[파일:2022S2_NM_logo.png|width=20]] {{{#fff '''NUTMITE'''}}} || 5 || 4 || || ||<|5> - || 패자전 2단계 패 || || {{{#000 5위}}} ||<#CFC> {{{#000 A조 3위}}} ||<#fff> [[파일:APR.png|width=20]] {{{#f81d2e '''AP RACING FC'''}}} || 3 || 4 || -1 || -10 || 패자전 1단계 패 || || {{{#000 6위}}} ||<#cfc> {{{#000 B조 3위}}} ||<#ce352a> [[파일:XC.png|width=20]] {{{#1a1869 '''XC E-RACE'''}}} || 2 || 5 || -4 || -10 || 패자전 1단계 패 || || {{{#000 7위}}} || {{{#000 B조 4위}}} ||<#152655> [[파일:XP GAMING Logo.png|width=30]] {{{#3ec8ed '''XP GAMING'''}}} || 0 || 6 || -11 || -25 ||<|2> 전패 || || {{{#000 8위}}} ||<#fcc> {{{#000 A조 4위}}} || [[파일:19esports.png|width=20]] {{{#a29f92 '''19 ESPORTS'''}}} || 0 || 6 || -12 || -21 || ||<-9> {{{-2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adf;font-size:.9em" {{{#000 파란색}}}}}} 승자전 진출 |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97ecab;font-size:.9em" {{{#000 진한 초록색}}}}}} 패자전 진출 |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ffcccc;font-size:.9em" {{{#000 빨간색}}}}}} 탈락}}}[br]{{{-1 5 ~ 8위는 승률 → 세트득실 → 트랙득실 순서대로 나열함.}}} || ||<-6> {{{#ffffff '''개인전 순위'''}}} || || 순위 || 선수 || 평균 점수 || 결과 || 상금 || 비고 || || {{{#000 '''우승'''}}} || RAMGONG || 4.96 || 결승전 2R 승 || 30,000 CNY || || || {{{#000 '''준우승'''}}} || VEGA || 5.69 || 결승전 2R 패 || 20,000 CNY || || || {{{#000 ''' 3위 '''}}} || RUNMINGI || 2.35 || 결승전 1R 3위 || 10,000 CNY || || || {{{#000 4위}}} || LIMIT || 4.21 || 결승전 1R 4위 || || || || {{{#000 5위}}} || JJONG || 4.42 || 결승전 1R 5위 || || || || {{{#000 6위}}} || PEKZ || 3.26 || 결승전 1R 6위 || || || || {{{#000 7위}}} || SIWOO || 2.90 || 결승전 1R 7위 || || || || {{{#000 8위}}} || SSEAL || 3.36 || 결승전 1R 8위 || || || || {{{#000 9위}}} || NAI NIU || 3.25 || 16강 최종전 5위 || || || || {{{#000 10위}}} || TOU TOU || 3.37 || 16강 최종전 6위 || || || || {{{#000 11위}}} || A XIN || 3.27 || 16강 최종전 7위 || || || || {{{#000 12위}}} || RUNPILMO || 1.72 || 16강 최종전 8위 || || || || {{{#000 13위}}} || KAO SHAN || 2.92 || 16강 패자전 5위[* TIE-BREAKER 패] || || || || {{{#000 14위}}} || A FAN || 3.23 || 16강 패자전 6위 || || || || {{{#000 15위}}} || BEI YING || 1.23 || 16강 패자전 7위 || || || || {{{#000 16위}}} || XIAO HAI || 1.00 || 16강 패자전 8위 || || || == 퍼펙트 게임 == === 개인전 === === 팀전 === ||<-5>
[[KLC|[[파일:KLC_logo.png|width=32]]]] '''{{{#white Kartrider Rush Plus Legend Championship}}} {{{#white 퍼펙트 게임}}}''' || || '''달성 팀''' || '''스코어''' || '''상대 팀''' || '''일자''' || '''경기''' || ||<|2> [[파일:Game_Coach_logo 하얀 테두리.png|width=50]] || 6:0 ||<|2> [[파일:19esports.png|width=50]] || 2022.12.19 || 8강 A조 2경기 || || 6:0 || 2022.12.21 || 8강 A조 9경기 || || [[파일:ROX-Gaming-logo.png|width=50]] || 6:0 || [[파일:XP GAMING Logo.png|width=50]] || 2022.12.20 || 8강 B조 5경기 || ==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 == === 스피드 개인전 === === 스피드 팀전 === ||
''' {{{#black 트랙}}}''' || '''{{{#black 기록}}}''' || ''' {{{#black 경기}}}''' || '''{{{#black 팀}}}''' || '''{{{#black 선수}}}''' || '''{{{#black 카트바디}}}''' || ||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 || 2:01:11 || 8강 B조 7경기 || ROX Gaming || JJONG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동화 마녀의 성 || 1:53:39 || 8강 A조 2경기 || 게임코치 || RUNMINGI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브로디 비밀의 연구소 || 2:01:52 || 8강 B조 8경기 || XP GAMING || AYF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차이나 용의 운하 || 1:59:77 || 8강 B조 2경기 || ROX Gaming || JJONG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 || 2:01:52 || 8강 B조 5경기 || ROX Gaming || JJONG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월드 두바이 다운타운 || 1:40:63 || 8강 B조 1경기 || SGA 인천 || SEONGSU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 || 1:54:20 || 8강 B조 2경기 || ROX Gaming || JJONG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해적 상어섬의 비밀 || 2:08:66 || 8강 A조 4경기 || NUTMITE || IRON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공동묘지 마왕의 초대 || 1:42:09 || 8강 A조 6경기 || AP RACING FC || TOUTOU || 아르테미스 ||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2:08:72 || 8강 B조 3경기 || SGA 인천 || HELLEN || 플라즈마 GT || || 월드 뉴욕 대질주 || 1:22:78 || 8강 B조 6경기 || SGA 인천 || SORYEONG || 아르테미스 || || 빌리지 고가의 질주 || 1:37:33 || 8강 B조 4경기 || XP GAMING || BEIYING || 아르테미스 || || 포레스트 지그재그 || 2:05:25 || 8강 A조 5경기 || NUTMITE || VEGA || 아르테미스 || || 노르테유 익스프레스 || 1:48:85 || 8강 B조 5경기 || ROX Gaming || SSEAL || 아르테미스 || || 차이나 서안 병마용 || 1:37:76 || 8강 A조 7경기 || AP RACING FC || AXIN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 || 1:50:91 || 8강 B조 7경기 || ROX Gaming || JJONG ||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 == 논란 및 사건사고 == === [[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SGA 인천]] 우승 상금 미지급 논란 === 2023년 8월 27일, SGA 인천 팀이 상금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다. 2022 KLC에서 우승한 SGA 인천 팀은 2023년 2~3월에 상금이 지급된다고 들었기에 4월달에 상금 지급 동의서를 제출 했으나 9월이 다 되어갈 동안 상금 지급이 안되고 있다는 것이다. == 여담 == * 카러플 대회 최초로 팀전 페이즈 제도가 시행되었다. 다만 결승전만 페이즈 제도로 진행되는 [[카트리그]]와 달리 '''포스트시즌 전 경기'''가 페이즈 제도로 치러졌다. * B조 [[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SGA 인천]]과 [[ROX Gaming/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ROX Gaming]]이 '''매치 5승, 세트 득실 7, 라운드 득실 16의 완전히 동일한 결과'''로 조별풀리그를 마무리하면서 Tie-Breaker Match가 진행되었다. 경기는 9판 5선의 에이스 결정전 방식으로 치러졌다. * 카러플 사상 첫 헌정 카트와 헌정 캐릭터가 제작되는 대회이다. 팀전에서 우승을 차지한 [[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SGA 인천]]과 개인전에서 우승을 차지한 [[박상원(프로게이머)|RAMGONG]] 선수가 그 주인공이 되었다. * 중국 쪽 전력이 우위일 것으로 예상되었던 국가대항전이었지만 최종 결과는 대한민국 팀의 압승으로 끝났다. 팀전에서는 중국 쪽 4팀이 연달아 탈락하면서 생존한 한국 4팀이 [[2022 신한은행 SOL KRPL 시즌2|2022 KRPL 시즌3]]를 진행하는 듯한 모습이 연출되었고[* 공교롭게도 한국 상위 4팀의 최종결과 또한 [[2022 신한은행 SOL KRPL 시즌2|2022 시즌2]]와 완전히 같았다.], 개인전에서는 AXIN, AFAN, TOUTOU 등 중국 리그에서 최강자로 군림했던 선수들이 패자전, 패자부활전[* KRPL로 따지면 최종진출전]에서 모두 탈락했으며, 중국 선수 중 유일하게 PEKZ 선수가 개인전 결승에 진출했지만 최종 순위 6위[* P1리그 개인전 서머시즌 '''우승''', 윈터시즌 '''준우승'''을 차지한 선수치고는 기대 이하의 성적이었다.]에 그쳤다. * 중국 쪽 선수들은 대형쇼핑몰 가운데에 마련된 무대에서 경기를 치뤘는데, 경기장 환경이 플레이에 방해가 되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가장 치명적이었던 것은 천장 조명이었는데, 이후 3일차 경기부터는 조명이 화면에 반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아예 선수 머리 위로 검은 우산을 씌워버리는 웃지 못할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모두가 동일한 중국 현지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르게 된 2023년 KLC에서 '''개인전에 한해서는''' TOUTOU, PEKZ 등이 한국 선수들에게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 걸 보면 어느 정도는 맞는 말로 보인다. 단 팀전에서는 여전히 한국이 우위(...).] * 2개월에 걸쳐 진행되는 [[KRPL]]의 전체 일정을 일주일만에 소화했다[* [[풀리그]]가 아닌 조별리그로 진행되었으나 더블 라운드 로빈으로 전체 경기수가 28경기에서 24경기로 고작 4경기 줄어든 바람에 실제 일정은 풀리그와 크게 차이가 없었고, 포스트시즌은 6강 더블 엘리미네이션에 전 경기가 페이즈제도인 관계로 오히려 전체 경기 시간은 더 늘어났다고 봐야 한다.] 이로 인해 선수들은 리그 기간동안 매일 리그장에 출근해 경기시간과 대기시간을 합쳐 대략 '''6~8시간동안''' 경기장에 머물러야 했다. * 6일차 패자부활전 경기에서 [[민기(프로게이머)|RUNMINGI]] 선수의 이의제기로 인해 경기가 30분 가까이 지연되었다. 중국 쪽 심판진과도 협의가 필요했기 때문인데, 이 30분동안 양국 해설진들은 어떻게든 시간을 끌고 텐션을 유지해야만 했다.--[[눈물의 똥꼬쇼]]-- * NUTMITE 팀의 [[이진건|VEGA]] 선수는 팀전 4위, 개인전 준우승을 차지하며 [[2022 신한은행 SOL KRPL 시즌2|2022 KRPL 시즌2]]와 완전히 동일한 결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분류: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