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WCK 역대 대회)] [[분류:Wild Rift Champions Korea]] [[파일:2022_WCK_Champions_RY.jpg|width=100%]] ||<-3>
<#fff> [[Wild Rift Champions Korea|[[파일:WCK.png|height=120]]]] || ||<-3> {{{#white '''2022 Wild Rift Champions Korea Spring '''}}} || || {{{#white '''대회 기간'''}}} ||<-2> [[2022년]] [[2월 21일]]~[[2022년]] [[4월 24일]] || || {{{#white '''주최'''}}} ||<-2><|2> [[라이엇 게임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svg|width=100]]}}}]] || || {{{#white '''주관'''}}} || || {{{#white '''경기장'''}}} ||<-2> [[LoL PARK]] || || {{{#white '''패치 버전'''}}} ||<-2>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0A(1 ~ 2주차)[br]3.0B(3 ~ 5주차)[br]3.1(6 ~ 7주차)[br]3.1A(8주차 ~ 4강)[br]3.1B(3·4위전, 결승) }}}}}} || ||<-3> {{{#white '''중 계''' }}}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white '''중계 플랫폼'''}}} ||<-2> {{{-3 {{{#white '''온라인'''}}} }}} || || [[한국어|[[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https://game.naver.com/esports|[[파일:네이버 e스포츠 아이콘.ico|width=20]]]] [[https://bj.afreecatv.com/wildrift|[[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wildrift 공식 방송국] [[http://bj.afreecatv.com/aflol|[[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LoL_공식 방송국] [[https://twitch.tv/LCK_korea|[[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LCK_Korea 채널] [[https://twitch.tv/riotgames_korea|[[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RiotGames_Korea 채널] [[https://twitch.tv/wildriftesportskr|[[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wildriftesportskr 채널] [[https://youtube.com/channel/UCOKQpmfKrtu7Nu719CVSw1A|[[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https://youtube.com/c/wildriftesports/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8> {{{#white '''중계진'''}}} ||<-2> {{{-3 {{{#white '''캐스터'''}}} }}} || || [[한국어|[[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김의중]], [[성승헌]] || ||<-2> {{{-3 {{{#white '''해설자'''}}} }}} || || [[한국어|[[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강범현]],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김효종(1992)|김효종]],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 ||<-2> {{{#white {{{-3 '''분석 데스크'''}}}}}} || ||<-2> [[강범현]], [[김효종(1992)|김효종]], [[이서행]] || ||<-2> {{{#white {{{-3 '''분석 호스트'''}}}}}} || ||<-2> [[윤수빈]], [[이정현(아나운서)|이정현]] || ||||}}}}}} || ||<-3> {{{#white '''일 정''' }}}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hite '''정규시즌'''}}} ||<-2> 2월 21일~4월 12일 || ||<|6> {{{#white '''플레이오프'''}}} ||<-2> {{{-3 {{{#white '''4강 플레이오프'''}}} }}} || ||<-2> 4월 16일~17일 || ||<-2> {{{-3 {{{#white '''3~4위전'''}}} }}} || ||<-2> 4월 23일 || ||<-2> {{{-3 {{{#white '''결승전'''}}} }}} || ||<-2> 4월 24일 || ||||}}}}}} || ||<-3> {{{#white '''결 과''' }}}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white '''우승'''}}} }}} ||<-2> [[Rolster Y|[[파일:kt 롤스터 Y 로고.svg|width=25]]]] {{{+1 '''[[Rolster Y]]'''}}} || || {{{#white '''준우승'''}}} ||<-2> [[광동 프릭스/와일드 리프트|[[파일:광동 프릭스 아이콘.svg|width=25]] [[광동 프릭스/와일드 리프트|Kwangdong Freecs]]]] || || {{{#white '''3위'''}}} ||<-2> [[T1/와일드 리프트|[[파일:T1 로고.svg|width=35]]]] [[T1/와일드 리프트|T1]] || || {{{#white '''4위'''}}} ||<-2> [[Team GP/와일드 리프트|[[파일:Team_GP_logo.png|width=35]]]] [[Team GP/와일드 리프트|Team GP]]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uBC9rMpZiAQ)] || || [youtube(es-KbzTOT0M)] || > '''Be Iconic''' [[2022년]] [[2월 21일]]부터 [[2022년]] [[4월 24일]]까지 개최된 [[Wild Rift Champions Korea]] 대회. [[와일드 리프트 e스포츠]] 출범 이후 개최되는 첫 정규 시즌이다. == 참가팀 == [include(틀:WCK 참가팀)] LCK 프로팀 4팀과 오픈예선 상위 2팀으로 구성된다. == 대회 상금 == ||<-2> '''{{{#fff 총 상금}}}''' || ||<-2> {{{+1 {{{#000 '''₩ 100,000,000'''}}}}}} || || '''{{{#fff 결과}}}''' || '''{{{#fff 상금}}}''' || || {{{#000 '''우승'''}}} || {{{#000 '''₩ 30,000,000'''}}} || || {{{#000 준우승}}} || {{{#000 ₩ 20,000,000}}} || || {{{#000 3위}}} || {{{#000 ₩ 16,000,000}}} || || {{{#000 4위}}} || {{{#000 ₩ 13,000,000}}} || || 5위 || ₩ 11,000,000 || || 6위 || ₩ 10,000,000 || == 이모저모 == * WCK 출범 이후 처음으로 유관중으로 진행되는 대회이다. [[LCK]]와 마찬가지로 [[인터파크]]에서 예매를 진행하며 티켓 가격은 당일권 3,000원이다.[* 평일은 LCK 입장료의 33%, 주말은 27%이며, 이 가격은 결승전 같이 7꽉이 뜰 경우 가성비가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보다도 훨씬 좋다.''' ] * 정규 시즌 경기는 LCK 일정이 없는 매주 월, 화요일 오후 7시에 시작해 하루 두 경기가 진행된다. * 이번 대회부터 밴 카드가 3개에서 5개로 늘어난 5밴 5픽 [[리그 오브 레전드/시스템#s-2.2.3|토너먼트 드래프트]] 제도가 도입된다. * 정규 시즌은 3전 2선승제 더블 라운드 로빈으로 진행된다. * 플레이오프는 정규 시즌 상위 4팀이 진출하는 싱글 토너먼트로 4강과 3/4위전은 5전 3선승제, 결승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 * 우승팀은 2022 와일드 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 본선에 직행하고, 준우승과 3위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 오픈 예선 3~10위 팀을 대상으로 하부 리그인 [[2022 WCK Challengers Spring]]을 진행한다. * 신규 챔피언으로 [[유미(리그 오브 레전드)|유미]]와 [[세트(리그 오브 레전드)|세트]]가 추가되었고, 대회 중 3.1 패치로 [[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카르마]]와 [[쉔]]이 추가되었다. * WCK 공식전 최초의 펜타킬이 나왔다. 해당 챔피언은 [[아칼리]]이다. == 대회 진행 == [include(틀:2022 Wild Rift Champions Korea Spring 경기진행)] === 정규시즌 === ||<#FFF>
<:>[[Wild Rift Champions Korea|[[파일:WCK.png|width=25]]]]||<:><-8><#00BFFF>{{{#FFFFFF '''2022 Wild Rift Champions Korea Spring[br]정규시즌 순위표'''}}} || ||<:>'''순위'''||<-2><:>'''팀'''||<:>'''승'''||<:>'''패'''||<:>'''세트 득실'''||<:>'''득실차'''||<:>'''연속'''||<:>'''비고'''|| || {{{#000,#e5e5e5 '''1'''}}} || [[Rolster Y|[[파일:kt 롤스터 Y 로고.svg|height=18]]]] || '''[[Rolster Y|RY]]''' || 8 || 2 || 18-5 || +13 || 1승 || 1R 전승 || ||<:>'''2'''|| [[광동 프릭스/와일드 리프트|[[파일:광동 프릭스 아이콘.svg|height=25]]]] || '''[[광동 프릭스/와일드 리프트|KDF]]''' || 7 || 3 || 16-9 || +7 || 1승 || || || {{{#000,#e5e5e5 '''3'''}}} || [[Team GP/와일드 리프트|[[파일:Team_GP_logo.png|height=25]]]] || '''[[Team GP/와일드 리프트|GP]]''' || 6 || 4 || 13-12 || +1 || 2패 || || ||<:>'''4'''|| [[T1/와일드 리프트|[[파일:T1 로고.svg|height=12]]]] || [[T1/와일드 리프트|'''T1''']] || 5 || 5 || 13-12 || +1 || 3승 || || || {{{#000,#e5e5e5 '''5'''}}} || [[Liiv SANDBOX/와일드 리프트|[[파일:Liiv SANDBOX 로고.svg|height=25]]]] || [[Liiv SANDBOX/와일드 리프트|'''LSB''']] || 4 || 6 || 11-15 || -4 || 1패 || || || {{{#000,#e5e5e5 '''6'''}}} || [[Team CreScent|[[파일:Team CreScent logo.png|height=25]]]] || [[Team CreScent|'''TCS''']] || 0 || 10 || 2-20 || -18 || 10패 || 전패 || ||<-9> {{{-2 {{{#97ecab,#006118 녹색}}}{{{#white : PO 진출 |}}} {{{#ff9,#b29a00 노란색}}}{{{#white : PO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 === 플레이오프 === ||
<-9>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Wild Rift Champions Korea|[[파일:WCK_white.png|height=50]]]] ||<(> {{{+1 [[2022 Wild Rift Champions Korea Spring|{{{#fff '''2022 Wild Rift Champions Korea Spring'''}}}]]}}}[br]{{{#fff '''{{{#FFFFFF,#E0E0E0 플레이오프 대진표}}}'''}}} || }}}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2 '''장소:''' [[LoL PARK]]}}}}}} || || '''{{{#FFFFFF,#E0E0E0 결승}}}''' ||<-4> {{{-2 '''결승전'''[br]4/24[br]}}} {{{#!wiki style="width: 36px; vertical-align: 3px; display: inline-block" [[Rolster Y|[[파일:kt 롤스터 Y 로고.svg|width=30]]]]}}} {{{+1 4 : 3 }}} {{{#!wiki style="width: 36px; vertical-align: 3px; display: inline-block" [[광동 프릭스/와일드 리프트|[[파일:광동 프릭스 아이콘.svg|width=30]]]]}}} ||<-2> {{{-2 '''3/4위전'''[br]4/23[br]}}} {{{#!wiki style="width: 36px; vertical-align: 3px; display: inline-block" [[T1/와일드 리프트|[[파일:T1 로고.svg|width=30]]]]}}} {{{+1 3 : 0 }}} {{{#!wiki style="width: 36px; vertical-align: 3px; display: inline-block" [[Team GP/와일드 리프트|[[파일:Team_GP_logo.png|width=30]]]]}}} || ||<|2> '''{{{#FFFFFF,#E0E0E0 4강}}}''' ||<-3> {{{-2 '''4강 1경기'''[br]4/16[br]}}} {{{#!wiki style="width: 36px; vertical-align: 3px; display: inline-block" [[Rolster Y|[[파일:kt 롤스터 Y 로고.svg|width=30]]]]}}} {{{+1 {{{#373a3c,#dddddd 3 : 2}}}}}} {{{#!wiki style="width: 36px; vertical-align: 3px; display: inline-block" [[T1/와일드 리프트|[[파일:T1 로고.svg|width=30]]]]}}} ||<-3> {{{-2 '''4강 2경기'''[br]4/17[br]}}} {{{#!wiki style="width: 36px; vertical-align: 3px; display: inline-block" [[광동 프릭스/와일드 리프트|[[파일:광동 프릭스 아이콘.svg|width=30]]]]}}} {{{+1 {{{#373a3c,#dddddd 3 : 0}}}}}} {{{#!wiki style="width: 36px; vertical-align: 3px; display: inline-block" [[Team GP/와일드 리프트|[[파일:Team_GP_logo.png|width=30]]]]}}} || == 주요 기록 == === 펜타킬 === ||<-7>
[[파일:WCK_white.png|width=20]] '''{{{#white 2022 Wild Rift Champions Korea Spring}}} [[펜타킬|{{{#white 펜타킬}}}]]''' || || '''이름(ID)''' || '''소속 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기록일''' || '''경기''' || || [[한지훈(2004)|한지훈]](Haku) || [[Team GP/와일드 리프트|[[파일:Team_GP_logo.png|width=50]]]] || [[파일:WCK_MID1.png|width=30]][br]{{{-3 MID}}} || [[아칼리|[[파일:akali_portrait.png|width=50]]]] || [[Team CreScent|[[파일:Team CreScent logo.png|width=40]]]] || 2022.03.01 || 정규시즌 6경기 1세트 || == 사건 사고 == === 네트워크 문제로 인한 경기 일정 연기 === 2022년 3월 22일 정규시즌 19경기 Rolster Y와 Team GP의 경기 도중 네트워크 문제가 발생해 경기가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경기가 중단된 동안 중계진이 관중석에서 와일드 리프트를 플레이하던 관객의 게임을 [[https://clips.twitch.tv/DelightfulYawningMacaroniCoolStoryBro-_Nct1_IrF6klc5-t|중계해주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2시간이 지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WCK 측은 당일 예정되어 있던 Rolster Y와 Team GP, Liiv SANDBOX와 T1의 경기 일정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577040|관련 기사]] 연기된 경기는 정규시즌 종료 후 별도의 일정을 편성해 진행할 예정이라 [[https://www.instagram.com/p/CbcQSbmv0AC/|밝혔으며]], 8주차 화요일인 4월 12일에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 여담 == * 2022년 2월부터 e스포츠계를 덮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제5차 대유행|대유행]]을 WCK도 피할 수 없었다. * 개막 전 2022년 2월 18일 [[Liiv SANDBOX/와일드 리프트|Liiv SANDBOX]] 선수단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7&aid=0000160330|발생해]] 2월 22일 예정되었던 Liiv SANDBOX와 Team GP의 경기 일정이 3월 8일로 [[https://www.instagram.com/p/CaH3SSHPLuI/|연기되었다.]] 2월 22일에는 Team CreScent와 광동 프릭스의 경기만 열리며, 3월 8일에는 평소보다 1시간 일찍 시작해 연기된 경기까지 총 3경기가 진행된다. * 2022년 2월 21일에는 [[T1/와일드 리프트|T1]] 선수단에서 확진자가 발생해 T1과 광동 프릭스의 개막전에서 T1 김영준 감독이 선수로 출전했다. * 2022년 3월 7일에는 월요일 분석 데스크의 [[윤수빈]] 아나운서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화요일 분석 데스크를 담당하던 [[이정현(아나운서)|이정현]] 아나운서가 월요일에도 투입되었고, 여기에 [[김효종(1992)|김효종]] 해설까지 코로나 이슈로 불참하면서 3주차 분석 데스크는 2인 체제로 진행되었다. * 4주차에 앞서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해설이 코로나19 확진 판정,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해설이 신속항원검사 양성 판정을 받아 김효종-[[강범현]] 해설이 4주차 월-화 중계에 투입되면서 4주차 분석 데스크도 2인 체제로 진행되었다. * 2022년 4월 11일 [[Rolster Y]]의 [[정윤호(프로게이머)|라텔]], [[김은수(프로게이머)|제로]], [[한성건|노멜]]과 [[황규범|불보타]] 코치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해당 선수들은 8주차 경기에 온라인으로 [[https://www.instagram.com/p/CcMrM_iPuC_/|참여한다.]] [youtube(_sjEiUd7uFY)] * [[긱블]]에서 새 트로피를 제작해 주었는데, 우승 시 트로피가 우승 팀 상징 색으로 빛나게 설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