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2022년 식량 위기)] [목차]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인도폭염_ESA.jpg|width=100%]]}}} || || '''[[4월 29일]] 인도 지역의 지표온도(LST)'''[* 코페르니쿠스 센티넬-3 위성이 촬영한 자료를 바탕으로 유럽우주국([[ESA]])이 분석한 것이다.] || {{{+1 2022 South Asian heat wave}}} == 개요 == [[2022년]] 3월부터 5월까지 [[인도]] 및 [[파키스탄]] 등의 [[남아시아]] 지역에서 일어났던 [[폭염]], [[이상 고온]] 사태. 4월에 접어들면서 본격화되었고 상당수의 지역에서 4월 최고 기온 기록이 경신되었다. 또한 파키스탄을 비롯한 [[인더스 강]] 유역에선 여름이 시작되기도 전에 50도에 근접하는 살인적인 더위가 기록되었다. 주변 해역의 수온도 비정상적으로 높아졌으며, 정전 사태가 발생하는 등 곳곳에서 피해가 잇따랐다. 때이른 폭염으로 인해 세계 농업에서 큰 지분을 담당하는 인도의 작황이 좋지 않아져 물가 상승과 식량난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도 하였다. 다만 남아시아 지역의 폭염에 대해서 평가할 때에는 한반도에서의 한여름인 7~8월보다 [[4월]]과 [[5월]]에 더 높은 최고 기온을 보이는 남아시아의 기후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 경과 == === 3월 === 인도의 3월 평균 최고기온이 33.1℃를 기록하면서 기상 관측 이래 121년만의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파키스탄의 경우 상황이 더 심각하여 3월 하순에 들어서자 최고기온이 40℃를 넘는 지역이 속출했으며, 특히 신드주(Sindh)의 샤히드베나지라바드(Shaheed Benazirabad) 지구에서는 [[3월 27일]]과 [[3월 28일]]에 걸쳐 45.5℃가 기록되었다. === 4월 === [[4월 9일]]에 이미 [[델리]]에서 42.4℃[* 이는 [[2017년]] [[4월 21일]]에 기록된 43.2℃보다 낮은 것이나, 10일 이상 더 이른 것임을 고려해야 한다.]가 기록되는 등 때이른 폭염이 기승을 부렸다.[[https://www.indiatoday.in/india/story/imd-delhi-heatwave-to-continue-temperature-expected-to-fall-from-tuesday-rainfall-predicted-in-india-1935897-2022-04-11|#]] [[4월 11일]]에는 델리의 기온이 42.6℃까지 올라갔으며, 이는 평년 기온보다 약 7도나 더 높은 것이다.[[https://www.preventionweb.net/news/south-and-central-asia-reel-under-early-heatwave|#]] 이후 더위는 잠시 소강 상태를 보이는가 싶더니, 4월 하순에 들어 다시 시작되었다. [[4월 26일]] 인도 [[라자스탄|라자스탄주]] Barmer의 관측소는 45.1℃의 기온을 기록하였으며, 같은 날 파키스탄의 관측소는 47℃를 기록하였다.[[https://edition.cnn.com/2022/04/27/weather/extreme-heat-wave-india-pakistan-monsoon-climate-change/index.html|#]] [[4월 28일]]에는 인도 북서부와 파키스탄의 많은 지역에서 최고기온이 43~46℃에 도달하였다.[[https://news.un.org/en/story/2022/04/1117272|#]] [[4월 30일]]에는 파키스탄 신드주 자코바바드(Jacobabad)에서 49.0℃의 최고기온이 기록되었다.[[https://www.pmd.gov.pk/cdpc/Pakistan_Monthly_Climate_Summary_April_2022.pdf|#]] === 5월 === [[5월 1일]], 파키스탄 신드주 샤히드베나지라바드에서 49.5℃가 기록되었다. 5월 중순부터는 파키스탄에서 '''50℃를 넘기는 지역'''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도에서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46℃ 이상의 초고온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5월 14일]]에는 자코바바드에서 '''51.0℃''', 나와브샤에서 '''50.5℃''', [[모헨조다로]] 유적지에서는 '''50.0℃'''가 기록되었다. [[5월 15일]] 인도 [[델리]]의 문게슈푸르(Mungeshpur)에서 49.2℃의 최고 기온이 기록되었는데, '''이는 [[1998년]] [[5월 26일]]에[* 상술했듯 인도는 [[한반도]]에선 한여름으로 취급되는 7~8월보다 4~6월에 기온이 더 높은 기후적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최고 기온 기록도 대부분 4~6월, 특히 [[5월]]에 집중돼 있다.] 팔람(Palam) 주거 지역에서 기록된 48.4℃의 최고 기온 기록을 0.8℃ 더 높게 경신한 것이다.''' == 피해 == 더위로 인해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폭염이 심한 [[라자스탄]]주, [[펀자브]]주 등을 중심으로 정전 사태가 잇따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폭염 뿐만 아니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발전소를 가동시킬 [[석탄]]의 가격이 올라 수급이 원활하지 않게 된 것도 존재한다. 결국 인도 철도 당국까지 나서서 석탄 수송 열차를 긴급 편성해 전력 발전을 돕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한편 파키스탄 북부 지역에서는 [[빙하]]가 빠르게 녹으면서 인근 호수의 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다량의 물이 강으로 흘러들어 급류와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일 간 새로 만들어진 빙하호는 3000개가 넘을 정도이며, 이는 기존에 비해 40% 이상 증가한 것이다. [[5월 7일]]에는 [[길기트 발티스탄]] 지역에서 급류에 다리가 붕괴하여 떠내려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today/article/6367483_35752.html|#]] 인도 전역에서는 [[탈수]] 증상을 겪는 [[새]]들이 날마다 수십 마리씩 하늘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http://www.segye.com/newsView/20220513512527|#]] === 식량 위기 가능성 === [[밀]]이 익는 시기가 폭염으로 당겨지면서 인도 내 밀 수확량이 최대 50%까지 감소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인도는 밀 생산량 부문에서 세계 2위 자리를 거머쥐고 있는데, 인도의 폭염이 지속되면 안 그래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불안정해진 식량 공급에 치명타를 넣게 되어 식량 위기를 불러오지 않겠냐는 것. 심지어 수출 제한 조치 가능성까지 언급되고 있다. 스리 수단슈 판데이(Shri Sudhanshu Pandey) 인도 식량부 차관은 [[5월 6일]] 일단 밀에 대한 수출 제한 계획이 없음을 밝히는 한편 밀의 수확량이 5% 정도의 감소에 그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항간에 떠도는 소문을 일축했다. 그러나 [[5월 13일]] 밤, 인도는 갑작스레 입장을 바꿔 '''즉각적인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수출 금지국/인도|밀 수출 금지]] 결정'''을 발표하였다.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2022년 초유의 식량 위기]]동안 수출을 규제한 국가 중 규모가 러시아, 우크라이나 다음으로 크다고 본다. == 원인 == 인도 기상청은 폭염의 원인이 [[지구 온난화]]에 따른 봄철의 강수량 부족이라고 해석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261007?sid=104|#]] 제트 기류가 아라비아 해 동쪽 부근에 자리잡고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적도 부근의 뜨거운 열기를 펌프질 하며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는것이 주된 원인으로 이로 인해 인도 중북부와 파키스탄에 '''[[열돔 현상]]'''이 생긴것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9fuq2M4FOUY|#]] == 여담 == 동시기 한국도 이상 고온 현상이 찾아왔다. 반면 3~4월의 호주, 유럽 지역과 5월 기준 중국 남동부, 동남아 지역은 평년보다 낮은 지역이 더 많았다. 반대로 유럽은 5~6월 이후 더워졌다. 그나마 6월 초중순 무렵에 폭염은 끝났지만, 이 폭염이 파키스탄 몬순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쳐 [[2022년 파키스탄 폭우 사태|파키스탄 대부분 지역은 이후 물바다가 되어버렸다.]] 또한 역시 몬순에 악영향을 받은 남아시아 각국에서도 홍수가 빈발해 아프가니스탄에서만 670명이 사망했고, 인도와 방글라데시에서도 각각 177명,141명이 사망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 관련 문서 == * [[폭염]] * [[폭염/사례]] * [[이상 고온]] * [[이상 고온/사례]] * [[2020년 남아시아 폭우 사태]] * [[지구 온난화]] * [[기후변화]] == 참고 == * [[https://mausam.imd.gov.in/|인도 기상청]] * [[https://internal.imd.gov.in/pages/heatwave_mausam.php|인도 지역 폭염 예보 및 영향 안내]] * [[https://mausam.imd.gov.in/imd_latest/contents/climate_services_daily_temeprature_maps.php|일간 기온 지도]] * [[https://mausam.imd.gov.in/imd_latest/contents/all_india_forcast_bulletin.php|일간 기후 요약 및 기온·강수량 자료]] * [[https://www.pmd.gov.pk/en/|파키스탄 기상청]] * [[https://ffd.pmd.gov.pk/public/temps/temps_May.htm|2022년 5월 파키스탄 최저·최고기온 기록]] * [[https://ffd.pmd.gov.pk/data/ffd-weather.asp|일간 관측 자료 요약]] [각주] [[분류:2022년 재난]][[분류:폭염]][[분류:인도의 재난]][[분류:파키스탄의 재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