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 [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include(틀:국내외 주요 금융 위기)] [목차] == 개요 ==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의 5월 상황을 정리한 문서. == 2일 == * 헝가리 대통령의 대변인은 EU의 대러시아 에너지 제재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밝혔다.[[https://twitter.com/KyivIndependent/status/1521037866482245633|#]] 그러나 이후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와 함께 입장을 바꿔 제재에 동참하기로 했다.[[https://ukrainetoday.org/2022/05/02/three-eu-countries-withdraw-veto-on-oil-embargo-against-russia-zdf/|#]][[https://m.dcinside.com/board/war/2624129?headid=260|#]] == 6일 == *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이 일주일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62105?sid=104|#]] == 7일 == * 가스프롬은 유럽 고객사들에게 가스 대금과 관련해 루블화 결제 방법을 제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62709?sid=104|#]] == 9일 == * 서방의 대러 제재가 이어지면서 러시아 극동의 항공사들이 파산위기를 맞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65384?sid=104|#]] == 10일 == * 동유럽 국가들의 반발로 결국 유럽연합은 대러시아 원유 금수 제재조치를 '''철회'''했다.[[https://news.v.daum.net/v/20220510191448554|#]] == 11일 == * 미국 재무부가 러시아 경제에 실질적인 피해를 주려면 100달러 지폐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989401?sid=104|#]] == 16일 == * 결국 유럽연합 국가들이 푸틴의 대EU 가스제한 제재 등에 '''사실상 항복하고 말았다.'''[[https://news.v.daum.net/v/20220516210154355|#]] == 17일 == * 이탈리아 최대 에너지업체 [[에니]](Eni)가 러시아산 가스 대금을 결제하고자 러시아 가스프롬 은행에 루블화 계좌를 개설한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20518003200109?section=international/all|#]] * 파산을 신청한 [[구글]] 러시아가 러시아 당국으로부터 러시아 은행 계좌를 압류당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518170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21일 == * 비탈리 사벨리예프 러시아 교통부 장관이 서방의 제재로 자국 내 물류가 사실상 파괴됐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205220043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24일 == * [[스타벅스]]가 러시아에서 철수한다. 스타벅스는 이미 3월에 러시아에서 영업을 중단한 바 있다.[[https://twitter.com/KyivIndependent/status/1528761219565461506|#]] == 27일 == * 독일의 이미용 제품 전문 기업 [[웰라]](Wella)가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를 선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996563?sid=104|#]] == 28일 == * 러시아내 글로벌 기업들이 대다수가 철수해 그 자리를 짝퉁 브랜드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29211?sid=104|#]] == 31일 == * EU의 6차 대러시아 제재 패키지가 27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통과했다. 이번 제재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의 2/3를 차지하는 바다를 통한 수입을 금지하도록 했다. 파이프라인을 통한 수입은 헝가리의 반대로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폴란드와 독일이 파이프라인 수입을 그만두기로 약속하면서 실질적으로 90%의 원유 수입을 중단하는 조치가 되었다. 기한은 2022년 말까지로 결정했다.[[https://www.bbc.com/news/world-europe-61638860|#]] 또한 러시아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도 [[SWIFT 코드]]에서 제외키로 결정하였다. 이번 조치는 5월 4일 발표되었지만 주로 헝가리의 반대로[[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2/may/04/ursula-von-der-leyen-says-putin-must-pay-high-price-as-she-proposes-oil-ban|#]][[https://www.aljazeera.com/news/2022/5/24/hungary-unlikely-to-agree-on-oil-embargo-before-eu-summit|#]] 협상이 늦어졌었다. [[https://www.npr.org/2022/05/30/1102083611/eu-agree-partial-russian-oil-embargo|#]][[https://www.aljazeera.com/news/2022/5/4/eu-chief-proposes-russian-oil-ban-in-new-round-of-sanctions|5월 4일 기사]] ||<-4> 2월 27일 SWIFT 결제망서 퇴출 결정된 은행[[https://www.euronews.com/my-europe/2022/03/02/these-are-the-7-russian-banks-banned-from-swift-and-the-two-exempted|#]] (5위권 내 은행은 볼드체) || || 총 자산 순위[br](아래 출처 기준) || 은행명 || 총 자산(백만 루블 단위) || || '''2''' || '''[[VTB 은행]]''' || '''15,813,216''' || || || '''VEB.RF''' || '''3,406,100''' ([[https://veb.ru/en/press-center/48087/|#]]) || || 7 || Bank Otkritie || 2,530,760 |||| || 8 || 프롬비아즈방크(Promsvyazbank) || 2,503,499 || || 9 || 소브콤방크(Sovcombank) || 1,576,708 || || 13 || 뱅크 로씨아 || 1,025,076 || || 20 || 노비콤방크(Novikombank) || 512,103 || ||<-4> [[https://www.kommersant.ru/doc/4603509|2020년 12월 기준 러시아 은행 자산 출처]] || ||<-4> 5월 31일 SWIFT 결제망서 퇴출 결정된 은행[[https://www.bnnbloomberg.ca/russia-s-biggest-lender-sberbank-targeted-in-eu-sanctions-plan-1.1772624|#]] || || 총 자산 순위 || 은행명 || 총 자산(백만 루블 단위) || || '''1''' || '''[[스베르방크]]''' || '''32,421,026''' || || '''5''' || '''러시아 농업 은행(Rosselkhozbank)''' || '''3,539,546''' || || 6 || 모스크바 신용 은행(credit bank of moscow) || 2,988,171 || 스베르방크가 총자산 2위인 VTB도 2배 이상 앞지를 정도로 러시아 최대 규모의 거대한 은행임을 알 수 있다. 스베르방크는 러시아 은행 전체 자산의 1/3을 차지한다.[[https://reuters.com/business/finance/disconnecting-russias-banks-sberbank-faces-swift-removal-2022-05-05|#]] 이번 조치를 통해 러시아 은행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10개 은행이 모두 SWIFT 코드에서 제외되었다. 다만 결정적으로 은행 규모 3위를 차지하는 가즈프롬방크[* 위 자료에 의하면 총자산이 7,613,174 백만 루블로 2위인 VTB 은행과 다시 2배 차이가 난다. 스베르방크와는 4배 이상 차이나는 것.]는 스위프트 거래를 허용했다. 러시아의 가스와 석유 수출을 주로 맡는 국영기업 [[가즈프롬]] 그룹의 자회사로 러시아 은행 시장의 7%를 담당한다. 가즈프롬은 이제 제재 받지 않은 거의 유일한 은행으로, 에너지 수출 면에서 가즈프롬방크의 역할이 매우 커지게 되었다. [[분류: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