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반응/우크라이나 지지)] [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목차] == 개요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우크라이나 지지 오세아니아 국가들의 반응을 정리한 문서. |||| 러시아의 전쟁 중단 및 군대 철수에 대한 투표 || || ✓ || 찬성 || || ✗ || 반대 || || △ || 기권 || || □ || 불참 || 유일하게 나우루만 없다.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출력=, 크기=40)] [[호주]] ✓ == *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잔인하고 도발적이라고 규탄했다. 이어 그는 "침략의 책임이 있는 군 관계자와 러시아 [[용병]], 군사 기술과 무기 개발 및 판매에 관련된 [[기업]]을 대상으로 규제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https://www.kdf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7794|#]] * 호주 정부가 러시아 뿐만 아니라 벨라루스의 빅토르 흐레닌 국방장관을 포함한 개인 및 단체 13명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032018|#]] * 스콧 모리슨 총리가 중국에 대해 대러 제재 참여를 촉구했다.[[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ukraine-russia-putin-news-03-06-22/h_18e8ef4928dd47bca9a9230d20bc6c57|#]][[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400902&page=1|#]] * 3월 20일. AFP 통신에 따르면 알루미늄 주원료인 알루미나와 보크사이트의 대러시아 수출을 즉각 금지한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20320039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3월 31일. 러시아, 벨라루스 최혜국 대우를 폐지한다.[[https://www.theguardian.com/australia-news/live/2022/mar/31/australia-news-live-updates-rain-weather-floods-nsw-qld-scott-morrison-election-budget-zelenskiy-covid-coronavirus?filterKeyEvents=false&page=with:block-62452a418f08c4416418f106#block-62452a418f08c4416418f106|#]] * 4월 22일. 푸틴 대통령의 두 딸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딸에 대해 입국 금지 및 자산동결 제재를 가했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20422150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출력=, 크기=40)] [[뉴질랜드]] ✓ == *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와 나나이아 마후타 외교부 장관은 러시아를 규탄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작전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러시아 관리에 대해 [[여행금지]], 외교적 참여 제한 등 다양한 제재 조치도 시행됐다. [[https://www.rnz.co.nz/news/political/462227/new-zealand-announces-bans-on-russia-in-response-to-ukraine-invasion|#]] * 우크라이나에 400만 달러(약 33억 원)를 추가로 지원하는 한편 뉴질랜드 거주 우크라이나인들이 가족을 초청할 수 있도록 4천여 명에게 비자를 주기로 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3150887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4월 6일. 모든 러시아 상품에 35% 관세를 부과한다.[[https://m.yna.co.kr/view/AKR202204060846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5월 23일, 우크라이나군을 훈련시키기 위해 영국에 뉴질랜드군 30명을 파견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523120400009|#]] == [include(틀:국기, 국명=피지, 출력=, 크기=40)] [[피지]] ✓ == * 아이야즈 사예드 카이윰 법무 및 경제부 장관은 모든 적대 행위와 국제법 위반의 종식을 요구하는 우크라이나에서의 러시아의 행동을 규탄하고 러시아가 "외교 테이블로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https://www.fbcnews.com.fj/news/fiji-condemns-russias-actions/|#]] == [include(틀:국기, 국명=미크로네시아 연방, 출력=, 크기=40)] [[미크로네시아 연방]] ✓ == *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러시아와 외교관계를 단절했다. 데이비드 파뉴엘로 미크로네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폭력적이고 부당한 침략을 당했다"면서, 러시아 정부가 인간애를 보여주어야만 관계가 재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https://www.barrons.com/news/federate-states-of-micronesia-breaks-ties-with-russia-over-ukraine-war-01645774507|#]] == [include(틀:국기, 국명=팔라우, 출력=, 크기=40)] [[팔라우]] ✓ == *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에 관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 표결에 대한 미국 주도의 공동성명에 참여했다.[[https://usun.usmission.gov/joint-statement-following-a-vote-on-a-un-security-council-resolution-on-russias-aggression-toward-ukraine/|#]] == [include(틀:국기, 국명=마셜 제도, 출력=, 크기=40)] [[마셜 제도]] ✓ == * 러시아를 규탄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공동 후원했다.[[https://usun.usmission.gov/remarks-by-ambassador-thomas-greenfield-recognizing-additional-cosponsors-of-a-un-security-council-resolution-condemning-russias-aggression/|#]] == [include(틀:국기, 국명=키리바시, 출력=, 크기=40)] [[키리바시]] ✓ == * 러시아를 규탄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공동 후원했다.[[https://usun.usmission.gov/remarks-by-ambassador-thomas-greenfield-recognizing-additional-cosponsors-of-a-un-security-council-resolution-condemning-russias-aggression/|#]] == [include(틀:국기, 국명=파푸아뉴기니, 출력=, 크기=40)] [[파푸아뉴기니]] ✓ == * 러시아를 규탄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공동 후원했다.[[https://usun.usmission.gov/remarks-by-ambassador-thomas-greenfield-recognizing-additional-cosponsors-of-a-un-security-council-resolution-condemning-russias-aggression/|#]] == [include(틀:국기, 국명=사모아, 출력=, 크기=40)] [[사모아]] ✓ == * 우크라이나에 관한 유엔 총회 긴급 특별 회의에서 러시아의 침공을 "도발적"이라고 비난했다.[[https://talamua.com/2022/03/03/samoa-stands-in-solidarity-with-the-people-of-ukraine/|#]] == [include(틀:국기, 국명=솔로몬 제도, 출력=, 크기=40)] [[솔로몬 제도]] ✓ == *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에 관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 표결에 대한 미국 주도의 공동성명에 참여했다.[[https://m.solomontimes.com/news/solomon-islands-votes-in-favor-of-un-resolution-denouncing-russia-over-ukraine-invasion/11655|#]] == [include(틀:속령, 속령명=북마리아나 제도, 출력=, 크기=40)] [[북마리아나 제도]] == * 랄프 토레스 북마리아나 제도 지사가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게시물을 올렸다.[[https://twitter.com/GovernorCNMI/status/1498107254763307009|#]]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반응/우크라이나 지지, version=78, paragraph=5.4, title2=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반응/우크라이나 지지, version2=78, paragraph2=5.5, title3=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반응/우크라이나 지지, version3=78, paragraph3=12)]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