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3년 지진]][[분류:모로코의 사건 사고]][[분류:나무위키 지진 프로젝트]]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HypnoticRaggedDisgustedJail, 합의사항1=문서의 표제를 '2023년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으로 하기)]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include(틀:21세기 사망자 수순 지진)] ||<-3> '''{{{#fff {{{+1 2023년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br]2023 Marrakesh-Safi earthquake[br],,,2023 زلزال مراكش-آسفي,,,}}}''' || ||<-3> [[파일:2023moroccoearthquake.png |width=313px]] || ||<-2> '''{{{#fff 발생}}}''' ||[[2023년]] [[9월 8일]] 23시 11분 00.98초^^(UTC+1)^^|| ||<-2> '''{{{#fff 진앙}}}'''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0.9983 -8.4448&zoom=5, 너비=100%, 높이=140px)]}}}[include(틀:국기, 국명=모로코)] [[마라케시]] 남서쪽 71.8km 지역 || ||<-2> '''{{{#fff 진원의 깊이}}}''' ||18.0km[*USGS] / 10.5km[*CNRST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et Technique. (모로코 지질조사국)] || ||<-2> [[리히터 규모|'''{{{#fff 규모}}}''']] ||M,,ww,, '''6.8'''[*USGS][br]M,,wp,, '''7.1''' / M,,L,, '''7.4'''[*CNRST] || ||<-2> [[진도(지진)|'''{{{#fff 최대 진도}}}''']] ||<#4c2600>{{{#fff '''Ⅸ'''}}}[* '''MMI 계측진도 8.606'''] || ||<-2> '''{{{#fff 여진}}}''' ||최대 여진:'''M,,L,, 5.7'''[*EMSC][br]기록된 여진 정보(M,,L,, 2.5 이상) '''200회 이상''' || ||<|2> '''{{{#fff 인명피해}}}''' || '''{{{#fff 사망}}}''' ||'''최소 2,946명'''[* 추가 사망자 발생 추정.] || || '''{{{#fff 부상}}}''' ||'''최소 5,674명'''[* 중상 1,404명.] || ||<-2> '''{{{#fff 재산피해}}}''' ||다량의 건물 붕괴 등 피해 발생||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9월 8일]] 23시 11분 00.98초(한국시각 2023년 9월 9일 07시 11분 00.98초)에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방의 알 하우즈 주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7.1 / 리히터 규모 7.4의 강진. 정확한 진앙은 [[마라케시]] 남서쪽 71.8km 육상으로, 모로코에서 지진이 주로 발생하는 [[지중해]] 연안과는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이다. 최대 계측 진도는 Ⅸ(8.606)이다. [[USGS]]는 이 지진이 [[1960년]] [[아가디르]]에서 1만 2천여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1960년 아가디르 지진|아가디르 지진]] 이후 60여 년만에 모로코를 강타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며 [[20세기]] 이후 모로코 내륙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 최대 규모라며 최대 1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90911380005634?did=NA|#]][[https://www.news1.kr/articles/5166050|#]] == 경과 == [[마라케시]] 등 [[모로코]] 남부 지역의 도시는 물론 수도 [[라바트]]와 심지어 [[이베리아반도]]의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도 감지될 만큼의 강진이었다. 마라케시의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있는데 이 지진으로 건물 일부가 무너지는 등 피해를 입었다. 현지 방송은 [[모스크]]의 첨탑이 무너진 모습을 보도했다. [[9월 9일]] 모로코 내무부는 모로코 국영 방송을 통해 "잠정 보고에 따르면 알하우즈, 마라케시, [[와르자자트]], 아질랄, 치차우아, [[타루단트]] 등지에서 296명이 사망했고 부상자는 현재까지 15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909025451009?input=1195m|#]] 9일 오후 2시 기준으로 사망자 1037명, 부상자 1200명으로 집계되었다. [[https://v.daum.net/v/20230909190613067|#1]], [[https://v.daum.net/v/20230909223821162|#2]], [[https://v.daum.net/v/20230909193731344|#3]] [[9월 10일]] 모로코 국영방송에 따르면 사망자 2012명, 부상자 2059명(중상 1404명)이라고 하며 사망자는 지역별로 알하우즈 1293명, 타루단트 452명, 와르자자트 41명 등이다. [[https://v.daum.net/v/20230910091541277|#1]], [[https://v.daum.net/v/20230910101521172|#2]], [[https://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3966|#3]] 구조대원들은 밤새 구조작업을 진행했으나 피해 지역이 대부분 좁은 골목에 건물 밀집도가 높은 중세 고도 도시이거나 산악 지대 마을인 탓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아틀라스산맥]]을 따라 고지대 지역은 도로 곳곳이 끊기거나 막혀 접근조차 어려워 주민, 당국, 모로코군 등의 구호활동이 지연되었다. 9월 10일 모로코는 3일간의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했다. 여진이 이어지면서 그로 인한 추가 붕괴가 우려되었다. [[주모로코 대한민국 대사관]]에 따르면 모로코에 거주하던 한국 교민은 360명, 마라케시 인근에 거주하던 교민은 10여 명으로 파악되었는데 현재까지 강진에 따른 교민 피해는 아직 접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181848?rc=N&ntype=RANKING|#]] 모로코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피해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이 발생한 진앙지와 멀리 떨어진 곳에 있어 사고를 피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https://www.news1.kr/articles/?5167140|#]] 당시 마라케시에서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총회가 열리고 있었는데 지차체 공무원 등 77명의 한국인이 방문했으며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을 위해 지난 5일 모로코로 간 제주 대표단 6명도 지진으로 현지에서 노숙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들은 "여진에 대한 걱정 때문에 빨리 모로코를 벗어나고 싶지만 불가능한 처지다. 예약한 월요일 항공편을 앞당기려고 했지만, 항공편이 모두 매진돼서 조기 귀국은 어려워졌다. 다행히 제주 대표팀은 늦어도 12일 새벽에는 모로코를 떠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https://v.daum.net/v/20230910091826321|#1]] [[https://v.daum.net/v/20230910162348822|#2]] 일부는 이미 귀국했으며 대부분 9월 10일(현지시각) 16시에 귀국했다. 제주도는 “관련 일정 전면 취소를 검토중이며, 현지에 있는 대표단과 상시 연락을 취하고 있다. 이들이 조기 귀국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https://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19106|#]] 이 지진은 모로코의 지진 관측 120년 역사상 해당 지역 인근에서 발생한 가장 강한 지진에 해당한다. 이 지진 이전에는 규모 6 이상의 지진은 전혀 없었으며 규모 5점 대의 지진 역시 극히 일부가 전부였던 점을 감안하면 과학적으로 잠재적으로 이 지진 그 이상의 강한 지진이 가능하다는 가능성이 연구되었던 지역임에도 타지에 비해 비교적 안전한 지역이라는 [[안전불감증|심리적인 안정감]]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대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2016년 경주 지진]] 및 [[2017년 포항 지진]] 이전까지 [[대한민국]]의 지진을 대하는 인식과 비슷한 정도였을 것이다. 그러한 지역에서 이런 강진이, 그것도 늦은 밤에 발생했기 때문에 굉장한 피해로 이어지는 건 필연적이었을 수도 있는 문제다. 국민들이 고통받는 와중에도 외국인 관광객들의 궁전 투어는 이뤄져서 논란이 됐다.[[https://tv.news1.kr/video/?17020&cid=31|#]] 9월 12일 모로코 국영TV는 사망자 2901명, 부상자 5530명이라고 밝혔다. == 반응 ==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은 [[인스타그램]]에 지진 피해자들을 추모하고 생존자들을 돕기 위해 협력하자는 글을 게시했으며 부상자들을 위해 전원 [[헌혈]]에 참여했다. 모로코 혼혈 축구선수 [[라민 야말]]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지진 피해자들을 추모하는 글을 게시했다. [[2021년]] 모로코와의 [[국교단절|국교를 단절했던]] [[알제리]]는 다시 국경을 개방하고 모로코 국적기의 알제리 영공 통과를 허가하였으며 의료진 및 물자 지원 의사를 밝혔다.[[https://www.tf1info.fr/international/video-seisme-au-maroc-l-algerie-ouvre-son-espace-aerien-aux-vols-humanitaires-malgre-des-relations-diplomatiques-rompues-2269198.html|#]]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대통령]]은 [[2023 G20 뉴델리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이동하던 중 소식을 접하고 피해자들을 추모하는 한편 [[프랑스 정부]] 차원의 지원 의사를 밝혔다. 유년기를 모로코에서 보낸 야권 인사 [[장뤼크 멜랑숑]]도 트위터에 피해자들을 추모하는 글을 게시했다.[[https://www.leparisien.fr/politique/seisme-au-maroc-emmanuel-macron-bouleverse-la-classe-politique-francaise-fait-part-de-son-emotion-09-09-2023-R6QF3MIGXBCF3A4XCDLSWIM4PU.php|#]] 미국도 추모와 함께 지원 의사를 밝혔다.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statements-releases/2023/09/09/statement-from-president-joe-biden-on-the-earthquake-in-morocco/|백악관 성명]] 중국이 모로코 적신월에 200,000달러를 제공했다.[[https://global.chinadaily.com.cn/a/202309/10/WS64fd05a6a310d2dce4bb4e26.html|#]] 스페인, 영국, 튀르키예, 튀니지, 카타르가 구호를 지원하였다.[[https://m.yna.co.kr/view/AKR20230910050551081?section=international/all|#]] UEFA는 9월 21일까지 국가대표팀과 클럽 경기에서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묵념을 발표했다.[[https://www.uefa.com/insideuefa/news/0285-18f053704693-805de96cce37-1000--moment-of-silence-in-memory-of-victims-of-earthquake-in-mo/|#]] 국제 사회의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같은 북아프리카 국가인 [[리비아]]에서 [[2023년 리비아 대홍수|더 큰 규모의 참사]]가 발생하여 안타까움을 샀다. == 논란 == 모로코 정계에서 ‘국왕인 [[모하메드 6세]]가 언급해야만 국가 중대사를 정치권에서 다룰 수 있다’는 불문율 때문에 논란이 커졌다[* 심지어 [[https://www.yna.co.kr/view/AKR20230912047900009|지진 발발 당시 프랑스 파리의 사저에 머물고 있었던 것]]이 알려지면서 비난이 거세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911129000081|#1]] [[https://v.daum.net/v/20230913092504760|#2]] ==# 관련 보도 #== * [[https://v.daum.net/v/20230909145602962|모로코 강진에 건물 곳곳 '와르르'…"사망자 1만명 넘을 수도"]] * [[https://v.daum.net/v/20230909190626068|모로코 강진에 무너진 '천년고도'…마라케시 랜드마크도 훼손]] * [[https://v.daum.net/v/20230909170809792|심야 '아비규환' 모로코…"잠들지 않아 천만다행" 탈출의 순간들]] * [[https://v.daum.net/v/20230909174422245|피 흘리며 "사람살려!"···20초 강진 속 '아비규환' 된 모로코]] * [[https://v.daum.net/v/20230909151753299|"밤 지새웠다"…거리 위 공포 질린 지진 모로코 생존자들]] * [[https://v.daum.net/v/20230909170509748|교민이 전한 모로코 강진 순간 "1분 이상 강한 진동…곳곳 비명"]] * [[https://v.daum.net/v/20230909163441400|모로코 강진 사망자 최소 820명으로…“산악 지형에 구조대 접근 못해”]] * [[https://v.daum.net/v/20230909195100460|모로코 지진 사망자 820명…얕은 진원에 '천년고도' 강타]]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416|모로코 덮친 '6.8 강진' 피해 눈덩이…사상자 계속 늘어]]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415|한순간 무너진 건물에 비명…'제3의도시' 마라케시 비극]]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3230_36199.html|잠자고 있는데 6.8 강진‥모로코, 사망자 최소 820명]]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3231_36199.html|모로코 지진 피해 왜 컸나‥'튀르키예 지진과 닮은꼴']]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0864|한순간에 무너진 건물…모로코 강진 사망자 최소 800명]]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0889|한밤중 모로코 덮친 규모 6.8 강진…필사적인 맨몸 구조]]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0866|재앙 덮친 모로코의 '천년고도'…세계문화유산 무너졌다]]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69645|모로코 규모 6.8 강진…사망자 8백 명 넘어]]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69646|모로코 지진 왜 피해 컸나? 한인 피해는?]]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479|'사망 2천명 훌쩍' 강진에 초토화…마라케시 문화유산도 피해]]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468|모로코 한국대사관 "현재까지 교민 피해 없는 것으로 확인"]]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477|모로코 '120년 만의 대지진' 무방비…피해 커진 이유는]]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3358_36199.html|모로코, 맨손으로 건물 더미 헤집어 구조‥사망자 2천여 명]]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3359_36199.html|모로코 현지 연결‥"탁자 아래 매트리스 깔고 자겠다"]]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3360_36199.html|상하 좌우로 심하게 요동‥얼마 안 돼 건물이 '풀썩']]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3361_36199.html|교민이 전해온 현지 참상‥국제 행사 참석 공무원 귀국 난항]]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1567|모로코 강진 사망자 2천 명 넘어…현장에서 본 아비규환]]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1569|"한 명이라도 더" 곳곳서 분투…극적 구조 장면도 나왔다]]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1570|120년 만에 모로코서 가장 강력한 지진…무방비로 당해]]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69922|‘비극의 모로코’ 맨손으로 필사의 구조…사망자 2천 명 넘어]]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69923|‘골든타임’ 다 돼가는데…피해 더 커지는 이유는?]]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628|골든타임 '72시간' 끝나가는데…"잔해 속에 사람들 갇혀 있다"]]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627|모로코 당국의 부실한 대비, 허술한 대책…험악해지는 민심]]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3736_36199.html|콘크리트 더미에서 구해낸 갓난아기에 '환호성'‥그래도 골든타임은 '째깍째깍']]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3737_36199.html|진앙지 부근 마을에 가 봤더니‥MBC기자 헌혈 동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3738_36199.html|지구촌 구호 나섰다‥정작 모로코는 소극적]]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3013|골든타임 11시간 남았는데…피해 주민 "아무도 안 와요"]]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3014|취재 중에도 '여진'…진앙지서 20km 마을 가보니]]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3016|'또 무너질까' 공포에 사흘째 노숙…"도움 필요"]]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3018|지질 전문가도 예상 못 한 재앙…긴박했던 그날]]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0833|‘최대 피해’ 진앙지 근처를 가다…열악한 환경 속 필사의 구조]]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0834|계속되는 여진에 탈출 또 탈출…관광객은 “헌혈이라도”]]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0835|“죽는구나 생각”, 혼란 속에서 헌혈도…귀국 공무원이 전한 참상]]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0836|모로코 강진 아틀라스 산맥 주목]]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817|가족·이웃 잃은 모로코 주민들…구조 사투에도 늘어나는 사상자]]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816|'지원의 손길' 가려서 잡는 모로코…4개 나라서만 원조 받아]]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4125_36199.html|"흙더미 아래 공기층 없어"‥모로코 지진 사망자 3천 명 육박]]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4126_36199.html|진앙지 산악 마을 르포‥언제 끝날지 모를 생존자들 고통]]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24127_36199.html|특파원이 돌아 보니‥구조·지원 없는 지진 참사 현장]]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4629|"시신으로 돌아오다니" 희망이 절망으로…모로코 강진 구조 현장]]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4631|모로코 국왕은 파리서 호화 생활…지원도 거부]]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1864|‘통곡의 모로코’ 골든타임 지나…기적 바라야 하나]]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1865|생존자들, 또 다른 시련에 눈물…구호 손길도 줄이어]]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3978|모로코 사망자 3천명 육박…골든타임 지났어도 "포기란 없다"]]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6350|폐허 복구에 안간힘…모로코 주민 "그래도 살아야죠"]]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46366|야외 결혼 잔치 덕분에…마을 주민 600여 명 생존]]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2983|‘골든타임’ 지나고 복구 본격화…낙석에도 줄잇는 구호 차량]]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4098|지진 강타 모로코, 일상회복 안간힘…“그래도 살아야죠”]]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5062|한쪽은 노숙, 한쪽은 관광객 맞이…참사 현장의 두 얼굴]]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5463|희생자 몰린 아미즈미즈, 여전한 공포]]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76708|“세간살이 하나라도”…폐허 딛고 복구 작업 시작]]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81250|“잔해 속 가족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모로코 지금은?]] == 둘러보기 == [include(틀:21세기 사망자 수순 지진)] [include(틀:지진/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