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파업]][[분류:2023년 철도사고]][[분류:서울교통공사]]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서울교통공사]]의 양대 [[노동조합]]인 [[http://www.stlu.kr/|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과 [[http://www.smlu.or.kr|서울교통공사통합노동조합]]이 [[2023년]] [[11월 9일]] 9시부터 다음날인 10일 18시까지 진행했던 [[파업]]. == 원인 == * [[구조조정]]에 대한 노조의 반발: [[오세훈]] 서울시장이 국회 국토교통위 국정감사에서 2026년까지 2212명의 인력을 감축하는 등 경영합리화에 나서겠다고 말한 것이 발단이었다.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10231733011/amp|#]] 2022년에도 같은 이유로 총파업에 돌입했고, 사측이 한 발 물러서는 것으로 정리된 바 있다. 노조 측은 강제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기로 한 2022년 합의를 지키라는 입장이다. == 경과 == * 11월 8일 늦은 밤에 노조가 결렬을 선언하며 9일부터 10일까지 경고파업에 돌입한다. [[https://v.daum.net/v/20231108212401671|#1]]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51439|#2]]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6&bbsIdx=2216872|임시 시간표]] * 11월 9일 * 오전 서울교통공사노조 조합원들이 [[서울시청]]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https://v.daum.net/v/20231109114803490|#]] * 오후 5시가 넘어 본격적으로 혼잡해지기 시작했다. 오후 5시 45분경부터 서울교통공사에서 "노조 파업으로 퇴근시간대 지하철 혼잡이 예상된다. 파업기간 동안 증회운행중인 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을 이용해 주시기 바란다"는 [[안전문자]]를 여러 차례 발송했으며 역사 내에서 대체 교통 수단 이용 안내방송도 수시로 보냈다. [[https://theqoo.net/square/2994888164|#]] * 안전사고에 대비해 배치된 경찰과 공사 직원들이 하루 종일 지하철 역을 통제를 했다. 퇴근 시간에는 [[신도림역]], [[사당역]] 등 주요 환승역을 중심으로 평소보다 밀집도가 크게 높아졌다. 어디를 특정할 것 없이 많은 역에서 '[[승강장]]에 사람이 쌓이고 있다', '30분째 차가 안 온다'는 말이 나왔으며 [[개찰구]] 밖까지 줄이 섰다거나 [[계단]]에 사람들이 꽉 찼다는 제보도 계속 들어왔다. 퇴근길 인파가 몰리는 [[역삼역]]에서 한때 승강장이 꽉 차는 바람에 개찰구가 통제되기도 했다. 낮 시간대 일부 노선에서는 8호선 14분 30초, 6호선 13분 등평균 배차 간격이 10분을 넘었는데 이는 평소보다 2배 수준이었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51592|#1]]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41988_36199.html|#2]]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417791|#3]]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814255|#4]] * 전체 지하철 운행률이 평상시 대비 82%, 퇴근 시간대에는 87% 수준으로 떨어졌다. 노조는 서울시와 공사의 입장 변화가 없으면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1월 16일 수능]] 특별수송 이후에 2차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https://v.daum.net/v/20231109182206089|#]] * 11월 10일 * 오전 출근 시간대인 오전 7시~ 9시 지하철을 정상 운행해 별 혼잡은 없었다. 낮 서울 지하철 운행률은 평소 75% 수준이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14489|#1]]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today/article/6542105_36207.html|#2]]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418048|#3]] * 오전 파업 결의대회에서 민주노총 노조는 사측이 인력 감축을 계속 밀어붙이면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6일 수능일]] 이후 전면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42364_36199.html|#]] * 오후 6시 예정대로 노조가 업무에 복귀했다. 그러나 낮 시간대 평소 4분~7분 사이인 배차 간격이 14분까지 늘어난 탓에 앞선 열차들이 뒷 열차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쳐 오후 8시에도 파업 여파로 열차 운행이 일부 차질을 빚었다. [[강남]] 일대 지하철역은 승객들이 몰려 [[전동차]] 문을 한 번에 못 닫는 상황이 반복됐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51743|#1]]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815126|#2]] * 11월 15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노조가 기자회견을 열고 2차 파업 계획을 공개한다. 2차 총파업 예정일은 11월 22일이다. [[https://v.daum.net/v/20231114174841331|#]][* 경진여객 노동조합이 동조파업을 예정하고 있다.] * 11월 21일 노사 협상이 타결되어 22일에 예정된 파업이 철회되었다.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seoul/2023/11/21/73Z3DSXA2NFSTP5UTS35GGWZCE/|#]] == 논란 및 사건사고 == == 각계 대응 == * 서울시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해 출•퇴근 시간대 100% 운행, 비상열차대기, 시내•마을버스 증편 등의 대책을 시행한다.[[https://m.yna.co.kr/amp/view/AKR20231108174600004|#]] == 여담 == * 제3노조인 [[올바른노동조합]]은 파업에 참가하지 않고, 별도의 단체행동에 나설 예정이다. [[https://mobile.newsis.com/view_amp.html?ar_id=NISX20231020_0002491165|#]] 올바른노동조합은 교섭 주체가 아니지만. 교섭창구 단일화 참여 노조로서 사측이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과 서울교통공사통합노동조합의 쟁의행위를 방해하는 업무명령(파업 대체근무 등)을 할 시 거부할 권리가 있다. * 첫날 [[한국노총]] 소속 노조도 파업 철회를 선언하면서 불참했다. 이로서 파업에는 [[민주노총]] 소속 노조만 참여했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51591|#]] == 둘러보기 == * [[서울교통공사]] * [[파업]] * [[철도 파업 및 태업]] * [[2023년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