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행정구역 개편/대한민국/역사)] [include(틀:한국 행정구역의 시대별 변천사)] [include(틀:조선의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선23부명칭기입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선 이십삼부 지도.svg|width=100%]]}}} || ||<-2> [[https://arca.live/b/city/704456|23부제 지도]] [[https://blog.naver.com/thirdbad/220980528715|23부제 지도]] [[http://gsnu.info/data//1003/thumb-2090454699_cf3a8228_ECA780EB8F84_700x1020.jpg|휴전선 이남지역의 23부제 지도]] || [목차] == 개요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부터 [[1896년]] [[8월 4일]]까지 실시된 [[조선]] 말기 지방 [[행정구역]]이다. 이 행역으로 개편한 뒤인 1896년 1월 1일(음력 1895년 11월 18일)에 표준 달력을 기존 [[태음태양력]]에서 [[태양력]]으로 바꿨기 때문에 개편날짜에 [[음력]]을 병기한다. 제2차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진행된 행정구역 개편으로, 조선 건국 이래 500여년간 지속되어 온 [[8도]]를 해체하고 전국을 8도보다 좀 더 세분화된 23부(府) 337군(郡)[* 이후 가평군이 폐지되고 지도군, 완도군, 돌산군이 신설되면서 339군이 되었다.]으로 분할하였다. 조선의 기존 행정구역은 [[도(행정구역)|도]](道) 아래에 [[부(행정구역)|부]]·대[[도호부]]·[[목(행정구역)|목]]·도호부·[[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현(행정구역)|현]] 등 다양한 등급의 행정구역이 혼재되어 혼란을 초래하고 있었다. 이를 부-군 체계로 이원화하여 행정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 것이 개혁의 취지. 실제로 전통적인 8도 체제는 제정된 지 시일이 상당히 지난 탓에 도 간의 인구격차가 크고, 실제 생활권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여러 문제가 있었다. 조선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남부지방이 겨우 3개 도([[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로 편성된 데 비해 인구밀도가 희박하면서 면적이 거대한 북부지방은 2개 도([[평안도]], [[함경도]])로 편성되었고, 생활권이 서로 다르던 [[영동]]과 [[영서]]가 같이 [[강원도]]에 묶였는가 하면, 생활권이 비슷한 충주를 중심으로 한 남한강 수계 일대는 충청도와 강원도로 양분되었다. [[원산]] 일대는 [[영동 방언]]을 쓰는 지역이었지만 강원도가 아닌 함경도에 소속돼 있었다.[* 남북분단 이후 북한은 원산과 주변지방을 강원도로 옮겨서 생활권 불일치를 해결했다.] 23부제 개혁은 인구분포 및 생활권을 보다 실질적으로 반영하고, 지역편차가 큰 도를 더 작게 나누는 방향으로 이뤄졌다. 도 아래의 하위 행정구역이었던 부[* 23부제 이전의 '부'는 도 아래에 있는 군현이었다. 수장은 '유수' 혹은 '부윤'이었다.]·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은 모두 군으로 일원화되었다. 또한 각 부의 명칭을 정할 때 그 부 소속이 최대도시(부 소재지)의 이름을 차용했다.[* [[원산시|원산]]을 제외한 3대 개항장 지역은 제외. 원래는 종2품 부윤이 다스리던 최상급 행정구역이던 부(상기했듯이 도의 아랫단위)로써 과거 경상좌도의 중심도시였던 [[경주시|경주]]가 개항 후 급부상하던 [[부산광역시|동래]](오늘날의 부산)에게 소속 부의 타이틀을 빼앗기는 일이 발생했고, 인천의 경우에는 [[수원시|수원]]이 유수부의 지위를 잃으면서 인천부의 관할이 되었다.] 23부 각 부 수장은 관찰사(觀察使)였으며, 부차적으로 부장관(府長官)이라는 직함을 사용했지만 공식 직함은 관찰사였다. 군에 [[군수]](郡守)를 두었다. 이때 집권층 성향대로 동시대 일본에서 단행한 [[폐번치현]]과 [[도도부현]](당시 청부현) 체제를 따라한 것 같다. 23개 부 면적도 일본 43개 현과 비슷하다. 일본도 전통적으로 한국처럼 [[고키시치도|오기칠도]]라고 해서 전국을 7개 도로 나누었고 교토와 오사카 등 간사이 지역은 '[[긴키]]'라고 해서 별도 행정구역으로 삼았던 것을, [[메이지 유신]] 때 기존 오기칠도 체계 대신[* 공식적으로 폐지한 것은 아니다. 다만 도도부현이 실질적인 광역행정구역이 되면서 행정구역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함에 따라 자연히 사문화된 것이다.] 에도시대의 번에 기반한 부와 현으로 개편하고 이름을 부, 현에 속한 군이나 최대도시(구, 정. 1899년 4월에 구를 시로 개칭)에서 차용했다. == 23부/산하 군 목록 == ||
<:><-20> '''23부''' || ||<:>부 ||<:>소속 군 (郡) || ||<:>한성부(漢城府) ||<:>[[서울특별시|한성]], [[고양시|고양]], [[파주시|파주, 교하, 적성]], [[양주시|양주]][* 지금의 양주시 뿐만 아니라 의정부, 동두천, 구리, 남양주와 서울 동북부 일대(도봉, 노원, 중랑)를 관할하던 큰 고을이었다.], [[포천시|포천, 영평]], --[[가평군|가평]]--[* 포천군 편입], [[연천군|연천]], [[광주시|광주(廣州)]][* 지금의 광주시 뿐만 아니라 성남, 하남, 의왕과 서울 동남부 일대(강남, 송파, 강동)를 관할하던 큰 고을이었다.] || ||<:>인천부(仁川府) ||<:>[[인천광역시|인천]], [[부평구|부평]][* 지금의 인천 부평구, 계양구 및 부천 일대.], [[강화군|강화, 교동]], [[김포시|김포, 통진]], [[양천구|양천]][* 지금의 서울 양천구, 강서구 일대.], [[시흥군|시흥]][* 현 [[시흥시]]와는 다르다. 지금의 서울 금천구 [[시흥동(서울)|시흥동]]을 중심으로 서울 서남부(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와 경기 [[광명시]] 일대를 관할하던 고을이었다.], [[과천시|과천]], [[안산시|안산]], [[수원시|수원]][* 지금의 수원시 뿐만 아니라 오산, 화성(구 [[남양군]] 제외), 평택 서부까지 관할하던 고을이었다.], [[남양군|남양]][* 지금의 화성시 [[남양읍]] 등.] || ||<:>충주부(忠州府) ||<:>[[충주시|충주]], [[제천군|제천, 청풍]], [[단양군|단양, 영춘]], [[음성군|음성]], [[진천군|진천]], [[괴산군|괴산, 연풍]], [[청안군|청안]][* [[2003년]] [[청안군]]의 일부가 독립하여 [[증평군]]이 된다.], [[여주시|여주]], [[이천시|이천(利川), 음죽]], [[용인시|용인, 양지]], [[안성시|죽산]][* 지금의 안성시 [[일죽면]]~[[삼죽면]], 용인시 [[원삼면]], [[백암면]] 일대.], [[원주군|원주]], [[평창군|평창]], [[정선군|정선]], [[영월군|영월]] || ||<:>홍주부(洪州府) ||<:>[[홍성군|홍주, 결성]], [[예산군|예산, 덕산, 대흥]], [[서산시|서산, 해미]], [[태안군|태안]], [[청양군|청양, 정산]], [[아산시|아산, 온양, 신창]], [[당진시|당진, 면천]], [[보령시|보령, 남포]], [[서천군|서천, 비인, 한산]], [[부여군|임천, 홍산]][* 지금의 부여군 임천면, 홍산면 일대.] || ||<:>공주부(公州府) ||<:>[[공주시|공주]][* [[대전광역시]] 일대(구 회덕군, 진잠군 제외)는 본래 공주군의 영역이었다.], [[천안시|천안, 목천, 직산]], [[평택시|진위, 평택]], [[안성시|안성, 양성]], [[대전광역시|회덕, 진잠]][* 지금의 대전 회덕동, 진잠동 일대.], [[연기군|연기, 전의]][* 현재는 [[세종특별자치시]]], [[논산시|은진, 연산, 노성]], [[부여군|부여, 석성]], [[청원군|청주, 문의]], [[보은군|보은, 회인]], [[옥천군|옥천, 청산]], [[영동군|영동, 황간]], [[금산군|금산, 진산]] || ||<:>전주부(全州府) ||<:>[[전주시|전주]][* 지금의 전주시 뿐만 아니라 [[완주군]] 일대(구 고산군 제외)를 관할하는 큰 고을이었다.], [[고산군(전라도)|고산]][* 지금의 [[완주군]] 고산면 일대.], [[익산시|익산, 함열, 여산, 용안]], [[옥구군|옥구, 임피]], [[김제군|김제, 금구, 만경]], [[정읍시|정읍, 고부, 태인]], [[부안군|부안]], [[고창군|고창, 흥덕, 무장]], [[장성군|장성]], [[영광군|영광]], [[지도군|지도]][* 지금의 [[신안군]] [[지도읍]]을 중심으로 서해 제도(諸島)를 관할하는 고을이었다.] || ||<:>남원부(南原府) ||<:>[[남원시|남원, 운봉]], [[장수군|장수]], [[무주군|무주]], [[진안군|진안, 용담]], [[임실군|임실]], [[순창군|순창]], [[담양군|담양, 창평]], [[곡성군|곡성, 옥과]], [[구례군|구례]], [[순천시|순천(順天)]][* 조선 초 [[여수시|여수]]가 폐지되고, 순천이 여수까지 관할했다가 [[구한말]]에 복군된다.], [[광양시|광양]], [[돌산군|돌산]][* 지금의 [[여수시]] [[돌산읍]] 일대.] || ||<:>나주부(羅州府) ||<:>[[나주시|나주, 남평]], [[광주광역시|광주(光州)]], [[화순군|능주, 화순, 동복]], [[낙안군|낙안]][* 지금의 순천시 [[낙안면]] 일대.], [[고흥군|흥양]][* 1914년 개칭.], [[보성군|보성]], [[장흥군|장흥]], [[강진군|강진]], [[해남군|해남]], [[영암군|영암]], [[함평군|함평]], [[무안군|무안]][* [[목포시|목포]]는 나주의 월경지였다가 무안으로 편입된다.], [[진도군|진도]], [[완도군|완도]] || ||<:>제주부(濟州府) ||<:>[[제주시|제주]], [[정의군|정의]], [[대정군|대정]] || ||<:>진주부(晉州府) ||<:>[[진주시|진주]], [[산청군|산청, 단성]], [[함양군|함양, 안의]], [[하동군|하동]], [[거창군|거창]], [[사천시|사천, 곤양]], [[남해군|남해]], [[합천군|합천, 초계, 삼가]], [[고성군(경상남도)|고성(固城)]], [[의령군|의령]], [[함안군|함안, 칠원]], [[창원시|창원]], [[진해군]], [[웅천군|웅천]], [[김해군|김해]] || ||<:>동래부(東萊府) ||<:>[[동래군|동래]], [[기장군|기장]], [[양산시|양산]], [[거제군|거제]], [[울산군|울산]], 언양, 경주, [[포항시|연일, 장기, 흥해]] || ||<:>대구부(大邱府) ||<:>[[대구광역시|대구, 현풍]], [[경산시|경산, 하양, 자인]], [[칠곡군|인동, 칠곡]], [[선산군|선산]], [[김천시|김산, 지례, 개령]], [[성주군|성주]], [[고령군|고령]], [[청도군|청도]], [[영천군|영천(永川), 신녕]], [[의성군|의성, 비안]], [[군위군|군위, 의흥]], [[밀양시|밀양]], [[창녕군|창녕, 영산]] || ||<:>안동부(安東府) ||<:>[[안동군|안동]], [[예안군|예안]], [[청송군|청송]], [[진보군|진보]], [[영양군|영양]], [[청하면(포항)|청하]], [[영주시|영천(榮川)]], [[순흥군|순흥]], [[풍기군|풍기]], [[상주시|상주, 함창]], [[문경군|문경]], [[예천군|예천, 용궁]], [[영덕군|영덕, 영해]], [[봉화군|봉화]] || ||<:>강릉부(江陵府) ||<:>[[강릉군|강릉]], [[울진군|울진]], [[평해군|평해]], [[삼척군|삼척]], [[양양군|양양]], [[고성군(북한)|고성(高城)]], [[간성군|간성]], [[통천군|통천, 흡곡]] || ||<:>춘천부(春川府) ||<:>[[춘천군|춘천]], [[홍천군|홍천]], [[화천군|낭천(狼川)]], [[횡성군|횡성]], [[양구군|양구]], [[인제군|인제]], [[철원군|철원]], [[김화군|김화, 금성]], [[평강군|평강]], 회양, [[양평군|양근, 지평]] || ||<:>개성부(開城府) ||<:>[[개성시|개성, 풍덕]], [[장단군|장단]], [[삭녕군|삭녕]], [[마전군|마전]], [[이천군|이천(伊川), 안협]], [[금천군|금천]], [[토산군|토산]], [[평산군|평산]], [[수안군|수안]], [[신계군|신계]], [[곡산군|곡산]] || ||<:>해주부(海州府) ||<:>[[해주시|해주]], [[연안군|연안]], 배천, 옹진, 강령, 장연, 송화, 풍천, 안악, 은율, 장련, 재령, 신천, 문화, 서흥, 봉산 || ||<:>평양부(平壤府) ||<:>평양, [[남포시|삼화]], [[룡강군|용강]], [[강서구역|강서]], 증산, 함종, [[중화군|중화]], 상원, 황주, 강동, 삼등, 성천, 양덕, 안주, 영유, 숙천, 순안, 순천(順川), 은산, 자산, 맹산, 영원, 개천, 덕천, 영변, 운산, 희천 || ||<:>의주부(義州府) ||<:>의주, 용천, 선천, 철산, 정주, 곽산, 박천, 가산, 태천, 구성, 삭주, 창성, 벽동 || ||<:>강계부(江界府) ||<:>강계, 후창, 자성, 초산, 위원, 장진 || ||<:>함흥부(咸興府) ||<:>함흥, 덕원, 정평, 영흥, 고원, 문천, 안변, 단천, 이원, 북청, 홍원 || ||<:>경성부(鏡城府)[*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23부제 폐지 직후([[이북5도위원회]] 기준은 현재도) [[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함경북도]] 일원 그 자체다. 물론 이것도 광복 이후 [[남북분단]] 이전 이야기고, 현재는 함북 일부가 [[량강도]]로 편입되어 면적이 오히려 '''부'''일 때보다 작아진 상태.] ||<:>경성, 부령, 길주, 명천, 무산, 회령, 종성, 온성, 경원, 경흥 || ||<:>갑산부(甲山府)[* 예하 군이 단 2개뿐이었다. 그럼에도 다른 부에 꿀리지 않는 넓이가 압권.] ||<:>갑산, 삼수 || == 문제점과 폐지 == 도 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활권을 반영한다는 취지로 편성하였지만 [[탁상행정]]인 한계도 있었다. 예를 들면 충주부는 [[남한강]] 수계를 반영한 것까지는 좋았는데 [[충주시|충주]]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진 [[용인시|용인군]] 및 [[정선군]]까지 관할하고 있었다.[* 당시에는 교통 수단의 낙후로 강변을 따라서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는 했다. 이후 자동차로 인한 도로 교통의 발달로 수로가 쇠퇴한 경우가 많다.] 남원부는 전반적으로 [[섬진강]] 수계를 반영한 듯 하나 현재 전북 동부 산악지역인 [[장수군]]과 [[금강]] 수계에 해당되는 [[무주군]], [[진안군]]까지 남원부에 편제함으로써 남북으로 길쭉한 관할구역이 형성되었다. [[부산항]]으로 가는 배편이 거짐 없는 [[거제군]]을 [[동래부]]에 편제하여 진주부에 속한 [[웅천군]]이 관할하는 [[가덕도]]와 분리된 월경지가 되었다. 그 외에도 기존 군들의 [[월경지]]와 [[땅거스러미]]들을 조정하는 조치 없이 단순히 여러 군들을 묶기만 하였기 때문에 여러 지역에 [[월경지]]가 형성되었다. 게다가 23부제가 실시된 지 1년도 되지 않은 [[1896년]] [[2월 11일]]에 [[아관파천]]이 벌어졌고, 개혁 주체였던 친일 세력들은 참살당하거나 외국으로 망명을 가버려 갑오-을미개혁 자체가 준(準) [[흑역사]]가 되어버렸다. 결국 실시하고 정확히 1년 1개월 만인 [[1896년]] [[8월 4일]]에 23부제는 폐지되었고, 8도를 조금 보완해서 인구가 많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와 면적이 넓은 [[평안도]], [[함경도]]를 남북 및 동서 2개로 쪼개는 [[13도제]]로 행정구역을 재편했다. [[도 폐지|도를 폐지]]하기엔 기존 도 체제가 문제가 있던 것은 아니었기에 [[일제강점기]]에도 [[조선총독부]]는 도 체제를 유지했고, 광복 이후 수립된 현대 [[대한민국 정부]]나 [[북한]] 정권 역시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나 [[황해남도]], [[황해북도]], [[자강도]], [[량강도]] 같은 새로운 도를 신설하거나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직할시(북한)로 별도 승격을 했을지언정 광역행정구역 자체는 13도 체제에 기반을 둔 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수장 및 기관 명칭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각각 도관찰사에서 도장관(1910년), 도지사(1919년 이후)로, 도관찰부에서 도청으로 변경되었다. == 영향 == [[2000년대]]부터 추진되고 있는 도 폐지를 골자로 한 행정구역 개편안은 23부제와 더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리고 [[행정구역 개편/도 폐지|23부제 자체가 도 폐지론자들에게 귀감이 된다]]. 이 때 제대로 되었으면 아마 대한민국 지방행정사가 크게 바뀌었을 것이다. 단 [[부군면 통폐합]]이라는 변수가 있어서 100% 장담은 할 수 없지만. 자세한 사항은 [[행정구역 개편/대한민국]] 항목 참조. 기초행정구역 명칭을 군으로 일원화한 조치는 13도제 시행 후에도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다. 다만 주요 지역은 부로 지정하고 제주군만을 특별히 제주목으로 환원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군의 인구와 면적 편차가 커서 내부적으로는 1등군부터 5등군까지 등급이 있었다. 각 부와 제주목은 1등군과 동급으로 간주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청]]이 [[춘천시]]에 자리잡은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본래 조선시대 강원감영은 [[원주시|원주]]에 있었으나 23부제 실시 당시 원주는 각 부의 수부 지위를 갖지 못해 원주에 있던 강원감영이 폐지되었고, 이후 13도제 시행 당시 원주가 아닌 춘천부의 수부였던 춘천이 새롭게 강원감영 소재지가 된 것이 현재까지 내려오게 되었다. 현재 북한 지역에 해당하는 부감찰부 위치와 영역은 [[북한/행정구역|북한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행정구역]]과 비슷하다. 남한 지역 부분의 경우 [[통일신라]] 때 [[9주 5소경]]과 [[고려]] [[5도 양계]]와 비슷하다. 사실 행정구역은 예나 지금이나 대체로 지형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수렴 진화|누가 언제 손을 봐도 그 형태는 비슷할 수밖에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분류:1895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1896년 폐지]][[분류:실현된 행정구역 개편]][[분류:조선(19세기)]][[분류:조선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