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화포)] [include(틀:화포 둘러보기)] ||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11491266843_f34dd9b9a7_b.jpg|width=100%]] || || [[파일:external/a2537e864148354194fbf1fdd50a3c34c90a0c599a073f15dcf7a54296b22f6a.jpg|width=100%]] || ||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11491162765_b974944249_b.jpg|width=100%]] || || '''3-inch gun M1918''' || [목차] == 개요 == [[1918년]]에 도입된 미국제 구경 3인치(76.2mm) 44구경장 [[대공포]]. == 상세 == M1918 대공포는 3인치 M1903 해안포의 길이를 줄이고 주포 상승각을 높인 신형 마운트에 장착하면서 개발되었다. 이는 원본 포가 이동식 대공포로 쓰이기 지나치게 무거웠기 때문이다. [[1931년]]에는 업그레이드 버전인 T8과 T9이 개발되고 있었으나 1938년에 [[90mm 대공포]] M1이 채택받으면서 개발이 취소되었다. 1940년에는 3인치 M1918 대공포 기반의 [[대전차포]]가 개발되었다. T9 버전을 기반으로 [[M2 / M101 계열 105mm 곡사포|M2 105mm 곡사포]]의 반동 시스템과 장약을 빌려왔으며, 이후 이렇게 개발된 대전차포는 [[3인치 M5 대전차포]]라는 이름으로 채택되었다. == 실전 == 대공능력의 경우에는 타국의 76mm급 대공포보다 약간 떨어지는 성능을 보였다. 특히 730m/s의 포구초속과 +10도에서 +85도의 포신부앙각도 및 +85도에서 7.9km이라는 대공유효사정거리는 2차대전에서 추축국이 실전배치한 상당수의 항공기가 쉽게 회피하여 더 높은 고도에서 공격이 가능할 정도의 처참한 성능을 자랑했다. 덕분에 [[태평양 전쟁]]의 [[남방작전]]에서 [[일본군]]이 [[필리핀 자치령]]을 침공할 당시 [[드럼 요새]]로 대표되는 필리핀 만의 입구를 방어하는 4개의 [[해안포]] [[요새]] 및 바탄 반도에서 해당 대공포를 사용하였으나 일본군 폭격기의 폭격을 제대로 방해하지도 못해서 궁여지책으로 요새 일부에 배치된 305mm 대구경 후미장전식 박격포의 포탄의 신관을 시한신관으로 교체해서 대공사격하는 사태까지 발생하게 된다. == 종류 == * M1917 - 1917년에 등장한 3인치 M1903의 포신을 기반으로 개발된 고정식 대공포. * M1918 - 3인치 M1898의 포신을 새로운 마운트에 결합한 이동식 대공포. * M1 대공포 - 제거 가능한 포신 라이너를 장착한 M1918의 파생형. 50구경장. * M2 대공포 - 제거 가능한 포신 라이너를 장착한 M1917의 파생형. * [[3인치 M3 대공포|M3 대공포]] - 제거 가능한 포신 라이너를 장착한 M1917의 파생형이지만 이동식 마운트에 장착되었다. * M4 대공포 - 라이너를 두껍게 하여 생산 과정을 쉽게 만든 M2. * [[3인치 M5 대전차포|M5 대전차포]] - [[대전차포]]로 사용하기 위해 도입된 T9의 개량형. * M6 대전차포 - 3인치 M5 Gun Motor Carriage에 탑재된 T9 버전 포. * M7 대전차포 - [[M6 전차]]와 [[M10 GMC]]의 주무장으로 탑재된 M5 대전차포. M5보다 포신이 조금 길어지면서 50구경장이 되었다. == 차량 탑재 == 위력 덕분에 [[M6 전차]]같은 [[전차]]나 [[M10 GMC]]같은 [[대전차 자주포]]의 주무장으로도 탑재되었다. 다만 상대가 [[독일 국방군]]이고 운영하던 전차들 중에서 [[5호 전차 판터]]나 [[6호 전차 티거]]가 있었는지라 전투 현장에서 위력부족 문제를 겪고 [[90mm 대공포]] 기반의 화포를 장착한 기갑차량으로 빠르게 교체된다. [[분류:76mm]][[분류:대공포]][[분류:대전차포]][[분류:전차포]][[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미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