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 관련 정보]] *[[각종 탄약, 포탄 구경 일람]]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578312640567b1f3868f0eb668138e3afb792c459e98261c54e264d2b6b3c8fb.jpg]] [[파일:external/chivethebrigade.files.wordpress.com/gau-8-a-10-920-16.jpg]] A-10에 장착중인 30×173mm탄 탄띠 구경 [[30mm]]의 기관포탄. [[GAU-8]] 기관포, 즉 [[A-10]]과 [[대한민국 해군]] 함정에도 장착하는 [[CIWS]] [[SGE-30 골키퍼|골키퍼]]에 탑재하는 탄환이다. 각종 장갑차나 차량에서 애용하는 부시마스터 II의 기관포탄도 이 물건이다. 이 기관포탄의 무게만 해도 363g. 이걸 1035m/s의 속도로 발사한다. 40mm 유탄 무게가 200g 수준이다. 다르게 말하면 고폭탄을 사용할 때 유탄급의 화력을 낼 수 있다는것이다. 운동에너지는 194'''kJ''' 즉, 194,000J이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련군]]의 [[대전차소총]] 탄환으로 사용되던 [[14.5×114mm]]도 30kJ 정도이다. 흔히 대물 저격총에서 사용되는 [[.50 BMG]]보다 10배 이상 강하다. 장갑 관통력은 API(철갑소이탄)기준으로 500m에서 69mm, 1000m에서 38mm. [[장갑차]] 정도는 가볍게 뚫을 수 있다. 놀랍게도 개인화기에서도 사용이 되는데, [[Maadi Griffin 30mm]]라는 물건이다. 이 회사 자체가 여러가지 괴악한 총을 만든다고 한다. 크기는 위의 사진만으로는 알아보기 힘들지만 굉장히 큰 편이다. '''소주병만 하다.''' 쉽게 비교하기 위해 다른 탄약과 비교해보자면 [[파일:external/tractioncontrol.well-regulatedmilitia.org/Size1-449x604.png]] 이렇듯 그 크다던 30-06 스프링필드 탄[* [[7.62×51mm NATO]]가(사진 윗줄 왼쪽에서 4번째 총알) 이 총알의 크기를 줄인거다.]은 총알도 아닌 것처럼 만들 정도로 거대한 사이즈를 자랑하며, 고폭탄의 경우는 작약량이 58g으로 직접 안 닿아도 상당히 넓은 범위의 적군은 사살할 수 있다. 비교해보자면 사람을 동강내는 30mm 체인건의 작약량이 22g이고 [[40 mm#s-1.1|40mm 유탄]]의 작약량이 보병용 저속유탄은 32g 정도, 고속유탄은 54g 정도이다. [[http://www.youtube.com/watch?v=PjVR_E7hQGs|이를 감안한다면 그 위력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미군의 A-10들이 지상공격에 가장 많이 사용한 탄종이 이 고폭탄이었다. 즉 A-10이 GAU-8 7연장 기관포로 기총소사를 하면, 보통 [[자동유탄발사기]]들이 분당 300-400발 정도 쏘는 고속유탄보다도 작약이 좀 더 많은 들어간 포탄을 '''초당 70발'''씩 들이부어 준다는 말이다. 참고로 155mm 곡사포용 [[확산탄]]에 유탄 사이즈의 자탄이 최대 88개 정도가 들어가는데, 작약량은 대체로 30×173mm 고폭탄 쪽이 좀 더 많으므로, A-10에게 기총소사 당하는 것은 매초 1발(이상)씩 155mm 집속탄 포격을 당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셈이다...] 그래도 감이 잘 안 잡힌다면 고폭탄 3발의 작약량이 한국군의 주력 수류탄과 동급인 미군 [[M67 세열수류탄]]의 작약량과 거의 같다. 군대에서 수류탄의 위력을 체험한 이라면 어느 정도인지 감이 올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탄종은 [[HEI]](PGU-13/B)와 [[열화우라늄]] 탄두로 유명한 [[철갑소이탄|API]](PGU-14/B)이다. 그외에 훈련탄(TP)인 PGU-15/B가 있다. 그외에 [[철갑탄]]의 일종인 APSE[* Armour Piercing Secondary Effect], [[고폭소이탄]]인 HEI[* High Explosive Incendiary], [[분리철갑탄]]인 APDS[* Armor Piercing Discarding Sabot]가 있다. APSE탄과 HEI탄을 사용할 경우 1070m/s, APDS탄의 경우 1175m/s의 포구 초속을 갖는다. 최대 사거리는 4km에 달한다. APDS탄의 경우 1500m 이상의 거리에서 45도의 입사각으로 40mm장갑판을 관통할 수 있었다. [[http://www.gd-ots.com/MCA_30x173.html|30×173mm탄 종류]] == 사용 == * 30×173 mm 탄약을 사용하는 기관포 * [[GAU-8]]: 7연장 [[개틀링 기관총|개틀링 기관포]]로 대표적인 30×173mm 탄약 사용 기관포 중 하나이다. GAU-8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무기체계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SGE-30 골키퍼]] [[CIWS]]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여러 함정에 탑재되었다. 국내에서는 가장 친숙한 30×173 mm 기관포 사용 무기체계이다. * [[CIWS-II]] - 국산 [[CIWS]] 개발 계획이다. 2020년대 후반부터 해군 함정에 도입될 예정이다. * [[A-10]] 미공군 공격기 - [[GAU-8]]을 탑재하는 무기체계 중 가장 유명하다. 사실상 탑재할 기관포와 항공기가 동시에 개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 [[Mk44 부시마스터 II]] (Bushmaster II) [[https://en.wikipedia.org/wiki/Mk44_Bushmaster_II|#]]: [[M2 브래들리]] 등에 사용되었던 25mm 구경의 [[M242 부시마스터]] [[체인건]]을 바탕으로 개발된 부시마스터 체인건 시리즈의 30mm 버전으로, M242와 부품의 70%를 공유하는 파생형 기관포이다. [[장갑차]]의 주무장 및 함선의 보조무장으로 다수 사용되고 있다. Mk44 부시마스터 II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무기체계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CV90|CV9030]] - 스웨덴의 [[보병전투차]] [[CV90]]의 30mm 기관포를 탑재하는 수출형 버전. * [[스트라이커 장갑차#s-5|M1296 ICV-D(드래군 보병전투장갑차, Infantry Carrier Vehicle - Dragoon)]] -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30×173mm 기관포 무인포탑을 얹은 스트라이커의 IFV 버전으로, 러시아가 [[BTR-80]]을 BTR-82A로 현대화하면서 이를 대비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량형이다. 주 무장으로 Mk.44 Bushmaster Ⅱ 기관포를 [[RWS]]화 및 기타 개량으로 현대화한 [[https://en.wikipedia.org/wiki/Mk44_Bushmaster_II#XM813|XM813]]을 사용한다. * 오리콘 Oerlikon KCA [[https://en.wikipedia.org/wiki/Oerlikon_KCA|#]]: [[사브 37 비겐]] 전투기에 탑재되었던 4약실 [[리볼버 기관포]]. 분당 발사속도 1350발. 사브 37 비겐 외에는 사용된 사례가 없는 듯하다. * 30×173 mm 탄약을 사용하는 '''개인화기''' * [[Maadi Griffin 30mm]] - '''30mm를 사용하는 [[대물 저격총]]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개인화기.''' 애초에 이걸 총이라 불러야 할지 포라 불러야 할지 의문이다.--대물 저격포-- [[분류:30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