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4월은 너의 거짓말}}}''' (2016)[br]''四月は君の嘘''[br]''Your Lie in Apri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월은 너의 거짓말 국내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로맨스}}}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신조 타케히코}}}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타츠이 유카리}}} || ||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라카와 나오시]] 《[[4월은 너의 거짓말]]》}}}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우에하라 쥬이치, 야오 카스미}}}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히로세 스즈]], [[야마자키 켄토]] 외}}}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요시마타 료]]}}} || || '''촬영 기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2015년 10월 ~ 2015년 11월}}}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C&I 엔터테인먼트}}}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에이원엔터테인먼트]]}}}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팝엔터테인먼트]]}}}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9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4월 20일}}}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21분}}} || ||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4억 2000만엔[* 2017년 3월 기준.]}}}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로맨스 영화로 2016년 9월 10일에 개봉하였다. 감독은 [[내 첫사랑을 너에게 바친다#영화]], '깨끗하고 연약한',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 등을 작업한 신조 타케히코(新城毅彦), 각본은 '별의 금화', [[스트로베리 나이트]] 시리즈 등을 작업한 타츠이 유카리(龍居由佳里), 음악은 [[요시마타 료]]. 한국에는 개봉한 지 6년이 다 되어가는 2022년에 [[에이원엔터테인먼트]]가 수입하여 등급 심의를 받고 4월 20일에 개봉했다. 배급사는 [[팝엔터테인먼트]]. == 예고편 == ||
{{{#f70a28,#f70a28 '''국내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9px -12px" [youtube(PEf7HtPyIu0)]}}} || == 시놉시스 == 완전무결하고 정확 무비한 연주로 '휴먼 메트로놈'이라 불린 천재 피아니스트 아리마 코세이([[야마자키 켄토]])는 어머니 사키([[단 레이]])의 죽음을 계기로 더 이상 피아노를 연주할 수 없게 된다. 고등학교 2학년[* 원작보다 연령이 상향되었다.]이 된 4월의 어느 날, 코세이는 소꿉친구 사와베 츠바키([[이시이 안나]])와 와타리 료타([[나카가와 타이시]])에게 이끌려 바이올리니스트 미야조노 카오리([[히로세 스즈]])와 만난다. 활발한 성격의 소유자인 카오리의 풍요롭고 흥겨운 연주를 본 코세이는 그것을 계기로 피아노, 그리고 '어머니와의 추억'과 다시금 마주한다. 한편, 카오리가 안고 있던 '비밀'에도 큰 변화가 찾아오고……. == [[4월은 너의 거짓말/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4월은 너의 거짓말/등장인물)] == OST == ||
{{{#f70a28,#f70a28 '''주제가(엔딩곡): [[이키모노가카리|{{{#f70a28,#f70a28 이키모노가카리}}}]] - 라스트 신(ラストシーン)'''}}} || || {{{#!wiki style="margin: -6.9px -12px" [youtube(qxY5WFJGvUk)]}}} || 이 곡은 일본에서 영화가 개봉한 2016년에 열린 제58회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우수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그 외에 이 영화에서 연주된 곡은 다음과 같다. * 24 Caprices Solo for Violin Op. 1 No. 24 - [[니콜로 파가니니]] ([[히로세 스즈]] 솔로 연주) * Introduction et Rondo Cappricioso - [[카미유 생상]] ([[히로세 스즈]], [[야마자키 켄토]] 듀엣 연주) * [[사랑의 슬픔#s-1|Liebesleid(사랑의 슬픔)]] - [[프리츠 크라이슬러]] ([[야마자키 켄토]] 솔로 연주)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5672048, user=6.8)]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55934, user=2.6)] [[파일:external/i3.ruliweb.com/157176a05b3228fcd.png]] [[파일:external/i1.ruliweb.com/157176a079d228fcd.png]] '''평이 심히 안 좋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라면 원작과 애니메이션을 먼저 보자.''' >"만화나 애니에서나 통할 대사를 부끄럼도 없이 친다" >"별 1개도 과분한 졸작" >"연기가 서툴고 각본이 잡스럽다" >"원작팬인 아내와 같이 봤는데, 아내가 자신이 사랑하는 작품이 엉망이 되었다며 통곡했다"[* 출처: 리뷰 글] 일본산 실사 영화의 수준을 익히 알던 사람에게는 너무 뻔한 소식일지도 모르겠지만, 역시 망해버렸다. 아무리 원작이 좋아도 그걸 영화용으로 다듬는 작업이 부실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17년에 뮤지컬화도 되었고 2020년 7월 프랭크 와일드혼에 의해 다시 한 번 뮤지컬화했다. 2017년 뮤지컬은 그래도 영화보다 낫다는 평을 듣는 것 같지만 각자의 평가에 맡긴다. == 기타 == * [[히로세 스즈]]와 [[야마자키 켄토]]는 각각 바이올린 연주와 피아노 연주를 위해 영화의 크랭크인 반년 전 정도부터 연습했다고 한다. * 원작에서는 중3인 주요 인물들이 이 작품에서는 고2로 설정이 변경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4월은 너의 거짓말, version=831, paragraph=8.4)] [[분류:4월은 너의 거짓말]][[분류:2016년 영화]][[분류:일본의 로맨스 영화]][[분류:일본 만화 원작 영화]][[분류: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