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범세계적 사건사고]][[분류:대기근]][[분류:이상 저온]]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1 4.2-kiloyear event}}} == 개요 == 기원전 2200년 경에 시작되어 최소 100년 이상 계속된 대규모 [[가뭄]]이다. 이름을 통해 알 수 있다시피 지질학에서도 중요한 사건으로, 이 사건을 기점으로 [[홀로세]]의 노스그립절(Northgrippian)이 끝나고 메갈라야절(Meghalayan)이 시작된 것으로 본다. 4.2천년 사건으로 인해 당대에 번성했던 문명들은 큰 피해를 보았으며, [[아카드 제국]] 및 [[고대 이집트|이집트 고왕국]]의 몰락 원인이기도 하다. 다만 8.2천년 사건 등 다른 [[기후 변화]] 사건과는 다르게 그린란드 빙하 코어(Gisp2) 자료에서 관측되지 않으며, 학계 일부에서는 전세계적인 기후 변화로서의 4.2천년 사건을 부정하기도 한다. == 전개 ==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기원전 2200년 경부터 약 300년에 걸쳐 극심한 가뭄이 지속됐으며, 평균기온도 이전에 비해 약 2℃ 정도 하락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퍼져 나갔고, 자신들의 거주지가 농경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사람들은 점차 남쪽으로 이주하였다. 이로 인하여 남부 지역은 식량난을 겪었으며, 결과적으로 당대 메소포타미아의 집권 왕조였던 [[아카드 제국]]이 멸망하게 되었다.[[https://www.sciencetimes.co.kr/news/%EA%B8%B0%ED%9B%84-%EA%B1%B4%EC%A1%B0%ED%99%94%EC%99%80-%EC%95%84%EC%B9%B4%EB%93%9C-%EC%A0%9C%EA%B5%AD%EC%9D%98-%EB%A9%B8%EB%A7%9D/|#]] [[고대 이집트]]에서도 비슷한 기후 변화가 나타나 [[나일강]]의 유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식량 생산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이는 이집트 고왕국이 멸망한 뒤 여러 개의 왕조가 난립하는 시기인 제1중간기가 시작되는 원인이 되었다.[[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521601023|#]] [[나일강]]은 이집트가 아니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발원하는데, 이로 미루어 보면 4.2천년 사건이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 국한되지 않고 넓은 지역에 걸쳐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킬리만자로 산]]의 빙하에도 변화가 발생한 흔적이 남아있다.[[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11075718_Kilimanjaro_Ice_Core_Records_Evidence_of_Holocene_Climate_Change_in_Tropical_Africa|#]] [[아리아인]]의 대이동과 [[인더스 문명]]의 몰락에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 관련 문서 == * [[기후 변화]] * [[아카드 제국]] * [[고대 이집트]] * [[가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