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지원지방도 목록)] ||||<#FFBF00> '''49번 국가지원지방도''' || |||| '''해남 ~ 원주''' || || '''시점'''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구지교차로 ||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사거리 || || '''총 구간''' || 479.0km || || '''경유지''' || [[전라남도]]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나주시]][br][[광주광역시]] [[광산구]][br][[전라남도]] [[장성군]][br][[전라북도]] [[고창군]], [[순창군]], [[정읍시]][br][[전라북도]] [[완주군]], [[임실군]][br][[전라북도]] [[진안군]], [[무주군]][br][[충청북도]] [[영동군]][br][[경상북도]] [[상주시]][br][[충청북도]] [[괴산군]], [[음성군]], [[충주시]][br][[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목차] == 개요 ==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은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출발하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이다. 1994년에 49번 국도로 지정하려 하였으나, 국도 승격이 되지 않은 대신 국가지원지방도가 되었다. 이로 인해 현재 국지도 중에서는 가장 긴 노선이며, 유일하게 400km가 넘는다.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영암군]] 삼호읍,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완주군 [[구이면]] 구간 등이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다. == 노선 == === [[전라남도]] === ==== [[해남군]] ==== * [[관광레저로]] 화원면 구지교차로에서 [[77번 국도]]와 만나며 출발한다. --바다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자-- * 금호갑문 서해안을 따라가는ㄷ 도로다. * 금호도 * 달도갑문 * 산이면 구성삼거리에서 [[806번 지방도]]와 만난다. - 여기서 806번 지방도를 따라가면 영암 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구성지구 개발사업 지역이 시작된다. * 영암금호방조제, 영암갑문, 삼포대교 - 해당도로는 해남과 영암의 경계가 되는 다리이다. ==== [[영암군]] ==== * 관광레저로 오른쪽으로 F1 자동차 경주장이 보인다. 삼호읍 삼포교차로에서 [[810번 지방도]]와 만난다. 삼호읍 난대교차로에서 [[810번 지방도]]와 만난다. * [[녹색로(전라남도)|녹색로]] 호등교차로에서 [[녹색로(전라남도)|녹색로]] 방면으로 우회전. 삼호읍 서호교차로에서 왕복 4차로로 포장된 [[2번 국도]]에 합류한다. 해당 구간 이후로는 아직 미개통 구간으로, [[2번 국도]]-[[819번 지방도]]로 연결하고 있다. 사동삼거리에서 영산로를 통해 [[821번 지방도]]와 간접교차. 채지교차로에서 [[819번 지방도]]와 교차. 학산교차로에서 [[2번 국도]]와 분기. * [[영암로]] 금계교차로에서 [[819번 지방도]]와 중첩되는 동시에 2차로 도로로 빠져나가야 하는데 문제는 바로 나가는 것이 불가능하다. 바로 앞에 있는 교차로를 이용해 빠져나간후 좌회전을 이용해 [[819번 지방도]]에 진입해 2차로 도로로 가야 한다. * [[독천로]] 빠져 나간 후 3시 방면으로 돌자. 여기서부터는 [[819번 지방도]]와 중첩된다. 학산면독천리교차로에서는 11시 방면과 12시 방면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 [[망월천로]] 월창교 독천터미널앞사거리에서 [[821번 지방도]]와 만난다. 우회전하여 학산면 방면으로 가자. * [[영산로(전라남도)]] 망월교 [[독천터미널]] [[영암순천고속도로]]를 따라가나 이용이 불가능하다. 이용하려면 중간에 학산면내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커뮤니티센터앞삼거리에서 좌회전후 다시 금계교차로로 온 후 3시 방면으로 돌아 [[서호학산IC]]를 이용해야 하는데, 순천방향의 진입이 불가능하며 진입하자마자 [[서영암TG]]가 나온다. 순천방면으로 가려면 2시 방면으로 돌아 [[2번 국도]]에 합류한 후 계속가다가 남성전삼거리에서 [[830번 지방도]]로 좌회전 한 후 신제교를 건너 신제교차로에서 [[강진무위사IC]]를 이용해야 한다. [[서영암IC]]가 있으나 49번 지방도에서의 진입은 불가능하다. 삼호읍 은곡리 석포교차로에서 [[821번 지방도]]에서 분기되어 [[2번 국도]]에 진입한다. 좌회전 후 우측으로 가자. * [[무영로(전라남도)]] 학산교 [[무영대교]] - [[영산강]]을 건너며 [[무안군]] 일로읍과 [[영암군]] 삼호읍의 경계이다. ==== [[무안군]] ==== * 일로로 일로읍 남악교차로에서 [[2번 국도]]로부터 분기. * [[남악동강로]] 2019년에 만들어진 새 도로다. 영산강대교로 [[영산강]]을 건너 군 경계까지 이어진다. ==== [[나주시]] ==== * 남악동강로 직진하다가 동강교차로에서 23번 국도와 합류한다. 그 이후 나주서부로가 된다. * [[나주서부로]] 공산교차로에서 [[801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공산교 복사초리삼거리에서 [[821번 지방도]]가 분기한다. 23번 국도와 중첩되다가 동수교차로에서 1번국도와 중첩된다. 우측 광주 방면으로 빠지자. * [[빛가람장성로]] 1번 국도와 중첩된다. 궁삼면 장산리 왕곡교차로에서 [[13번 국도]]와 교차한다. 만봉천교 부덕교차로에서 [[23번 국도]]와 교차하며 [[818번 지방도]]와도 교차하나 연결이 되지 않는다. [[광주전남혁신도시]]를 외곽으로 통과한다. 금천교차로에서 [[1번 국도]]로 부터 분기한다. 우측으로 돌 시 1번 국도를 따라 남구를 지나 광주시내로 진입하므로 그대로 직진하자. 승용교 - 해당 교량은 [[나주시]]와 [[광주광역시]]의 경계이다. === [[광주광역시]] === 광주광역시 구간은 [[빛가람장성로]]로 통일되어 있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0156269|2013년에 개통]]한 왕복 4차로 도로다. [[남구(광주)|남구]]를 잠깐 지나고 [[광산구]]로 들어간다. * 광산구 동곡동 본덕교차로에서 [[13번 국도]]와 교차한다. * [[호남고속선]]과 교차하나 역은 없다. * 광산구 평동 연산교차로에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진출입할 수 있는 [[서광산IC|서광산 나들목]] 진입로가 연결되어 있다. * 광산구 지평동 지평교차로에서 [[22번 국도]]와 교차한다. * 2022년 12월 20일에 개통한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로 진출입할 수 있는 [[남광산IC]]가 있다. 추후 승용교에서 남광산IC까지는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에 편입할 계획이 있다.[* 어차피 사실상 고속도로이므로 지금 편입해도 이상하지 않다.] * 용진터널 * 광산구 오산동 오산교차로에서 [[816번 지방도]]와 만난다. * 광산구 오산동 월산IC에서 [[816번 지방도]]와 만난다. === [[전라남도]] === ==== [[장성군]] ==== * [[함장로]] 동화면 동화IC교차로에서 [[24번 국도]]에 합류한다. 여기서 고속화도로 구간은 끝난다. 우회전하자. 황룡교차로에서 [[816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장성읍내 남부를 통과하며 [[장성공용버스터미널]], [[장성역]] 등이 있다. 24번 국도를 따라간 뒤 장성교차로에서 좌회전하여 [[1번 국도]]로 들어가자. [[호남고속도로]] 바로 옆으로 가나 중간에 나들목은 없으며, 장성교차로에서 우측으로 가서 [[호남고속도로]] [[장성IC]]를 이용해야 한다. * [[하서대로]] [[고창담양고속도로]]와도 교차하나 나들목은 없다. 야은교차로에서 [[708번 지방도]]와 만난다. 구신재를 넘는다. 여기서 [[898번 지방도]]와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쭉 가다가 북하면 북하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15번 지방도]]와 잠시 중첩되다가 북하면소재지로 들어간 뒤 우회전하여 약수교를 건너지 말고 좌회전하여 작은 개울 옆으로 난 길을 따라가자. 직진하면 [[장성댐]]이 나온다. * 백양로 조금 가다보면 백양교라는 다리가 보이는데, 우회전하여 이 다리를 건너야 한다. * 단풍로 중평리교차로에서 우회전하자. * 감성굴재 중평터널이 있으며 고갯길을 넘는 방식이 P턴 방식으로 고개를 넘는 방식이다. 고개 정상이 아니라 고개를 넘은 뒤 왕복 4차로가 시작되는 부분이 장성군과 순창군의 경계다. === [[전라북도]] === ==== [[순창군]] ==== * 백방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988992|2012년에 개통된]] 왕복 4차로다. 복흥면 반월리에서 [[792번 지방도]]와 만난다. * 복흥터널 쌍치면 신성교차로에서 [[29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 [[정읍시]] ==== * [[칠보산로]] 내장상동 부무교차로에서 [[29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우회전하자. * 피오고개 * 수청저수지 * 칠보터널 칠보면 시산교차로에서 [[30번 국도]]와 교차한다. * 산외로 산외면 산외교차로에서 [[715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 엄재터널 ==== [[완주군]] ==== * [[산외로]] 구이면 상용교차로에서 [[27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 [[구이로]] 구이면 백여교차로에서 [[27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구이면 대덕삼거리에서 [[714번 지방도]]와 만난다. 구이면 염암삼거리에서 우회전. * 신덕평로 완주군과 임실군의 경계이다. 고개가 있었던 구간이었으나 2017년에 직선화 공사가 완료되었다. ==== [[임실군]] ==== * 신덕평로 신덕면 외량삼거리, 삼길삼거리에서 [[749번 지방도]]와 만난다. * 야트막한 고개가 하나 있다. 신평면 원천리 원천교차로에서 [[745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신평면 [[관촌역]] 앞에서 [[17번 국도]]와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 관진로 관촌면 병암삼거리에서 [[17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순천완주고속도로]]와 교차되나 연결되지 않는다. ==== [[진안군]] ==== * 관진로 성수면 좌산리에서 [[721번 지방도]]와 만난다. 성수면 좌산리 좌산삼거리에서 [[721번 지방도]]와 만난다. 마령면 강정교차로 부근에서 [[745번 지방도]]와 만난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진안읍 진안연장농공단지 앞에서 [[26번 국도]]에 합류한다. * 귀상로 부귀면 부귀교차로에서 [[26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정천면 월평리에서 [[795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상전면 월포리를 잇는 금지터널이 2013년 11월 12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592004|개통되었다]]. * 석정터널 * 진성로 상전면 연건교차로에서 [[30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죽도교 ([[금강]]을 건넌다) 상전면 죽도유원지 부근 고갯길에서 180도 커브길이 나타난다. 조심하자. 동향면 자산삼거리에서 [[13번 국도]]와 합류한다. 동향면 대야사거리에서 [[13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동향면 학선삼거리에서 [[635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 [[무주군]] ==== * 진성로 안성면 상하삼거리에서 [[635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 안성로 안성면 사전교차로에서 [[727번 지방도]]와 만나며 [[19번 국도]]에 합류한다. * 치마재로 적상면에서 [[19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 치목터널 적상면 하조사거리에서 [[727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여담으로 상조 방향의 727번 지방도는 2013년 현재 '''끊겨 있다'''. * 구천동터널 설천면에서 [[37번 국도]]에 합류한다. 설쳔면 무항삼거리에서 [[37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 [[충청북도]] === ==== [[영동군]] ==== * 민주지산로 용화면소재지에서 [[581번 지방도]]와 만난다. 도마령. 해발 800m이며 용화면과 상촌면의 경계이다. 매우 험한 고개이므로 주의해서 넘자. 도마령 정상에서 조금 더 올라가면 해발 840m 지점에 '상용정'이라고 하는 팔각정이 있다. 상촌면 상촌삼거리에서 [[901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매곡면 매곡삼거리에서 [[906번 지방도]]와 만난다. 황간면 [[황간역]] 부근에서 [[4번 국도]]에 합류했다가 분기한다.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며 경부고속도로는 [[4번 국도]]에 잇는 [[황간IC|황간 나들목]]을 통해 진출입 가능하다. 황간면은 옛 황간군의 중심지이며 황간향교가 있다. * 황간동로 황간면 남성삼거리에서 [[901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 수봉재 영동군과 상주시의 경계이다. === [[경상북도]] === ==== [[상주시]] ==== * 중화로 모동면 신천삼거리에서 [[68번 지방도]]와 만난다. 모서면 삼포리에서 [[901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 삼포순환로 모서면 지산리에서 [[901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 중화로 화동면 신촌사거리에서 좌회전 화서면 신봉사거리에서 [[25번 국도]]에 합류한다. 25번 국도 구간에 [[서산영덕고속도로]] 화서 나들목이 있다. * 상곡로 화서면 수청거리삼거리에서 [[25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 문장로 화남면과 화북면을 잇는 갈령은 터널화되었다.[* 이 길은 화북면과 상주시의 다른 지역을 잇는 유일한 도로이다.] 화북면소재지에서 [[32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화북면 장암2리에서 [[997번 지방도]]와 만난다. * 장암리와 입석리 사이에 늘재라는 고개가 하나 있다. === [[충청북도]] === ==== [[괴산군]] ==== * 문장로 청천면 송면삼거리에서 [[32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 송문로 청천면 송정삼거리에서 [[922번 지방도]]와 만난다. * 치재터널 * 괴산로 문광면 문광삼거리에서 [[19번 국도]]에 합류한다. * 읍내로 괴산읍 시계탑사거리에서 오른쪽 1시방향으로 [[19번 국도]]를 따라가자. * 괴강로 괴산읍 대덕사거리에서 [[34번 국도]]로 좌회전하여, 괴산교차로까지 직진하자. * [[중부로(충청북도)|중부로]] 괴산읍 대덕교차로에서 직진하여 직결되어있는 [[37번 국도]]로 갈아타고, 옆동네인 [[음성군]] 원남면의 구안삼거리까지 직진하자. ==== [[음성군]] ==== * 충도로 원남면 구안리 구안삼거리에서 [[37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 한불로 소이면 석인리 충도삼거리에서 [[516번 지방도]]와 만난다. 우회전하자. 소이면 금고리에서 516번 지방도로부터 분기된다. * 소이로 이 구간은 2018년 12월 확장 공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구 49번 지방도였던 대장교는 지방도에서 지정 해제되었다. 비산삼거리에서 [[36번 국도]] 충주 방면으로 진입 가능하다. 비산삼거리를 지나면 36번 국도 청주 방면으로 진입 가능한 교차로가 나온다. 좌회전하자. 본래 여기서 충주시 신니면까지 미개통 상태였으나 2016년 도로 개설 없이 [[36번 국도]] - [[306번 지방도]] - [[3번 국도]]를 경유하는 경로로 변경되었다. 기존 계획상으로는 중간에 코렁시설을 지나가야 하기 때문인듯. * [[충청대로]] 평곡사거리에서 36번 국도와 분기되며 306번 지방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 시장로 * 용광로 ==== [[충주시]] ==== * 용광로 대화교차로에서 [[3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여기서 직진하면 [[서충주IC]]로 진입할 수 있다. * [[중원대로]] 신니면 용원교차로에서 [[3번 국도]]와 분기된다. * 덕고개로 노은면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하지만 연결되지 않는다. 노은면 노은삼거리에서 [[525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 감노로 노은면 노은사거리에서 [[525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하고 싶다면 [[520번 지방도]]의 [[북충주IC|북충주 나들목]]으로 가자. * 하너미로 하남고개. 해발 340m 이며 노은면과 [[앙성면]]의 경계다. 앙성면에서 [[38번 국도]]와 교차되며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 앙암로 앙성면 단암삼거리에서 [[335번 지방도]]와 만난다. [[남한강대교]]. [[남한강]]을 건너며 충주시와 원주시의 경계다. === [[강원특별자치도]] === ==== [[원주시]] ==== * 앙암로 [[부론면]]소재지에서 [[531번 지방도]]와 만난다. * 부귀로 * 견훤로 부론면 흥호리에서 [[84번 지방도]]와 만날 '''예정'''이다. [[영동고속도로]] 옆을 따라간다. 문막읍 포진2리에서 [[404번 지방도]]와 만난다. 구 문막교 앞에서 구 [[42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 * 원문로 [[문막IC]]를 통해 [[영동고속도로]]에 진출입 가능하다. 원래 이 원문로 구간은 [[42번 국도]]였으나 42번 국도가 여원로로 대체 지정되어 49번 지방도에 편입된 곳이다. [[문막읍]] 건등사거리에서 [[42번 국도]]에 합류하면서 49번 지방도 구간은 끝난다. [[분류:49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