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노선명=60번 지방도,공사구간=다수의,공사진행상황=미개통,노선개통예정일=미정,색=#FFBF00)] [include(틀:국가지원지방도 목록)] ||||<#FFBF00> '''60번 국가지원지방도''' || |||| '''무안 ~ 기장''' || || '''시점''' ||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현경교차로 || || '''종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임랑삼거리 || || '''총 구간''' || 316.5km || || '''경유지''' || [[전라남도]] [[함평군]], [[나주시]][br][[광주광역시]] [[남구(광주)|남구]], [[동구(광주)|동구]], [[북구(광주)|북구]][br][[전라남도]] [[담양군]], [[곡성군]][br][[전라북도]] [[남원시]][br][[경상남도]] [[함양군]], [[산청군]], [[합천군]][br][[경상남도]] [[의령군]], [[함안군]], [[창원시]][br][[경상남도]] [[김해시]], [[양산시]], [[부산광역시]] [[기장군]] || [목차] == 개요 ==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은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과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을 동서로 길게 잇는 [[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이다. 국도 및 다른 지방도와 중복된 구간은 제외하고,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무안읍 구간(공항로), 담양군 고서면 일부 구간(창평현로), 곡성군 삼기면-곡성읍 구간(곡성로), 의령군 부림면 우회도로(부림로), [[창원시]] 북면-대산면 구간([[낙동로(창원)|낙동로]]), [[양산시]]([[공단로(양산)|공단로]]~[[동서로(양산)|동서로]])-[[기장군]]([[정관로]]~[[해맞이로(울주)|해맞이로]](종점)) 구간은 왕복 4차로 이상이다. 다만, 2021년 현재까지 미완성 구간이 많으므로 일주를 하거나 해당 지방도를 따라 [[시내버스 여행]]을 하기에는 좀 부적절하다.[* 애초에 지방도를 따라가는 시내버스 여행은 1군데도 개척되지 않았다(...) 국도도 주로 [[7번 국도]]를 위주로 하지 나머지 국도는 거의 하지 않고 있다.] == 노선 == === [[전라남도]] === * 공항로(무안군) : 현경면 현경교차로에서 [[77번 국도]]와 직결되는 모양으로 [[24번 국도]] 및 [[77번 국도]]와 만나면서 시작하고, 곧이어 [[무안광주고속도로]] [[북무안IC|북무안 나들목]]이 있다. 무안읍 교촌교차로에서 [[1번 국도]]에 합류한다. 이후, [[함평군]]과 [[나주시]]를 거쳐 [[광주광역시]] 남구까지 [[1번 국도]]와 중첩된다. === [[광주광역시]] === [[남구(광주)|남구]]에서 [[대남대로|22번 국도]]로 갈아타고, [[동구(광주)|동구]]로 간 다음 [[필문대로|29번]] [[동문대로|국도]]로 갈아타고 [[담양군]] 고서면까지 이어진다 === [[전라남도]] === ==== [[담양군]] ==== * [[창평현로]] : 고서면에서 [[29번 국도]]로부터 분기가 된 이후, 곡성군까지 [[호남고속도로]] 옆을 따라간다. 고서면 소재지(고서교차로)에서 [[887번 지방도]]와 교차하며, [[창평IC|창평 나들목]]을 통해 [[호남고속도로]]로 진출입이 가능하다. 대덕면 소재지를 지나면, 야트막한 고개가 하나 나오는데, 해발 고도 차이로 인해 오르막만 있고 내리막이 없다. 무정면 오례삼거리에서 [[13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 [[곡성군]] ==== 겸면 평장삼거리까지는 [[13번 국도]]와, 삼기면 삼기사거리까지는 [[27번 국도]]와 중첩[* 두 국도와 중첩되면서 중간에 호남고속도로 [[옥과IC]], [[곡성IC]]와 만난다.]된다. * [[곡성로]] : 괴티재를 넘어서 곡성읍 기차마을사거리([[곡성역]] 앞)에서 [[840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이후, 곡성역 회전 교차로에서 곡고로로 이어지는데, 이 일대가 전부 회전교차로로 이뤄졌으니, 주행에 주의하길 바란다.[[http://kko.to/mM3BGGqYM|카카오 맵]] * [[곡고로]]~[[고주로]] : 여기서부터 다시 왕복 2차로이며, 곡성읍 읍내교차로에서 [[17번 국도]]와 교차한다. 여담으로 고달면으로 들어서기 전에는 마을 한 가운데를 거쳐갔지만, 2014년 이후에는 우회도로가 개설되었다. 고달교를 통해 [[섬진강]]을 건넌 이후에 고달면사무소 앞 회전교차로에서 좌회전하면서 고주로로 이어진다. 이 곳 역시 2012년 이후에는 우회도로가 깔린 상태이다. === [[전라북도]] === ==== [[남원시]] ==== * 고주로 : [[순천완주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수지면 고평리 고정마을 부군에 2019년에 우회도로가 개설되었다.[* 이전에는 마을 앞으로 자나가면서 부근 저수지로 인해 선형이 좋지 않았다.] 주천면에서 하주교 건너고 우회전 * 쑥고개로 : 주천면 송치리 웅치삼거리 구간이 급 드리프트가 있다. 운행할 때 조심하자. 이후, 장안교차로에서 [[19번 국도]]와 교차[* 19번 국도의 구례 방면과 전주 방면에서 60번 지방도로 빠져나갈 수 있지만, 진입은 못한다.]하고, 주천교차로에서 [[19번 국도]]과 접속하는 도로 및 [[730번 지방도]]와 만난다. 우회전하자. * 정령치로 : 위의 주천교차로와 이후에 호경삼거리(지금은 회전교차로로 개량)에서 각각 우회전하면서 [[지리산]][[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에 진입하면서 구룡계곡을 따라 올라간다.[* 주변에 지리산국립공원 전북사무소와 [[춘향]]묘가 자리하고 있다.] 좁디좁은 계곡을 따라가다보면 갑자기 넓은 고원이 나타나는데, 이 일대가 주천면과 운봉읍의 경계 지대이다. 그리고 그 곳의 고기삼거리에서 [[737번 지방도]][* 정령치를 넘는 매우 험한 고갯길이다.]와 만나서 좌회전을 한다. * 운봉로~[[황산로(남원)|황산로]] : 원래는 운봉읍 시가지를 지나서 북천삼거리에서 [[24번 국도]]에 합류했지만, 2018년에 우회도로가 개설되면서 운봉교차로에서 24번 국도와 합류한다. 이후 인월면까지는 24번 국도와 중첩된다. * 인월로-[[천왕봉로]] : 인월면 신촌교차로에서 [[24번 국도]]로부터 분기하면처 람천[* 남원시 운봉읍 전북학생수련원 근처에서 발원해서 시계방향으로 흐르다가 함양군 마천면 소재지에서 임천과 만나면서 함양군 유림면과 산청군 생초면의 경계에서 [[남강]]과 만나는 하천. [[황산대첩]]이 이 하천 상류인 운봉과 인월 일대에서 벌어졌다.]을 따라 가다가, 산내면 대정삼거리에서 [[861번 지방도]][* 뱀사골과 성삼재(노고단), 천은사가 이 지방도 주변에 있다.]와 만난 후 동쪽으로 이동한다. 천년고찰인 [[실상사]]가 주변에 있다. === [[경상남도]] === ==== [[함양군]] ==== * [[천왕봉로]]-[[동의보감로]] : 마천면 마천시장 앞에서 [[1023번 지방도]][* [[지리산]][[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을 뚫고 지나가는 길로 깊숙한 곳은 차량 통행이 불가능하다.]와 합류해 금계마을에서 분기한다. 이후 유림면에서 [[1001번 지방도]](사주교란 다리를 건너면서)와 [[1034번 지방도]](면 소재지(유림삼거리))를 연거푸 만나면서 우회전을 하면서 산청군으로 넘어간다. ==== [[산청군]] ==== * [[동의보감로]]-[[동의보감로]]150번길-[[동의보감로]] : 해당 구간은 초반 금서면 소재지를 지날 때까지는 평탄하지만 이후에는 왕산과 봉화산 사이의 특집재를 포함한 산길로 인해 드리프트가 심하다. 그나마 금서면 특리 일부 구간은 직선화([[동의보감로]]150번길)하긴 했다. * [[친환경로]] : 금서면 매촌삼거리[* 2018~2019년에 동쪽([[산청IC]]진입도로)으로 새로 길을 냈다.]에서 [[59번 국도]]에 합류한 이후 산청읍 중심지를 거쳐서 산청교차로까지 [[59번 국도]]와 중첩된다. * [[산청대로]] : 산청교차로에서 접속도로를 이용하여 우회전하여 [[3번 국도]]에 올라타고 나서 외정교차로(이후에 정곡삼거리)까지 중첩된다. * [[정곡척지로]]-[[황매산로(산청)|황매산로]]178번길-연동길 : 산청읍 정곡삼거리에서 [[3번 국도]]로부터 분기한 후 신등면 방향으로 가다가 모례리에서 [[1006번 지방도]]와 합류하고 면 소재지인 단계리에서 [[1006번 지방도]]와 분기하고 [[1089번 지방도]]와 중첩된 채 이어지다가 합천군까지 이어진다. ==== [[합천군]] ==== * 연동길-[[황매산로(합천)|황매산로]]-[[신등가회로]]-[[서부로(합천)|서부로]] : 가회면 장태삼거리에서 [[1089번 지방도]]와 분기된 이후 삼가면까지 이어진다. 군데군데 보이는 벚나무가 벚꽃 필 무렵은 장관. * [[삼가로(합천)|삼가로]]-[[합천대로]] : 삼가면 삼가회전교차로에서 합천방향으로 면 소재지를 지난 후 양전교차로에서 [[33번 국도]]에 합류해 쌍백면까지 중첩된다. * [[쌍백중앙로]]-[[청정로(의령)|청정로]]-평구묵골길 : 쌍백면소재지를 지난 후 북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도로명도 자주 바뀌다가 '''쌍백면 대곡리에서 봉수면 청계리 사이의 구간(한산재)은 길이 없다.''' 네이버 지도나 다음 카카오맵을 보면 뭔가 두 지역 사이에 길을 놓기 좋은 골짜기가 눈에 보이는데 바로 그 구간에 길이 개설(쌍백-봉수 국지도 개설공사, 9.7㎞ 2차로)되고 있다. 2013년에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현재는 공사 중인 상황이니 느긋하게 기다리는 것이 상책이다. 일단은 왔던 길을 되집은 후에 대양면까지 이동해서 [[1011번 지방도]]를 이용하여 돌아가자. ==== [[의령군]] ==== * [[청계로(의령)|청계로]]-[[대한로(의령)|대한로]] : 봉수면 청계리 방계마을에서 다시 길이 시작되면서 서암리 서암마을에서 [[1011번 지방도]]와 만난 후 중첩되면서 이동하다가 신현마을에서 다시 분기한다. * [[부림로(의령)|부림로]]-[[신번로]]-[[의합대로]] : 부림면 서득교삼거리에서 우회전해 이후 동동삼거리까지는 부림로, 동동삼거리에서 의령 방면으로 가다가 [[20번 국도]]에 합류되기 전까지는 신번로였다가 이후 유곡면 세간교삼거리까지는 의합대로로서 [[20번 국도]]와 중첩된다. * [[박진로]]-[[고루로]] : 위의 세간교 삼거리에서 분기하면서 창녕군으로 넘어가기 적전에 [[1008번 지방도|멀쩡한 길]]을 놔두고 웬 1차로 골목길로 빠진다(…). 뭔가 막장의 냄새가 느껴지지 않는가? 미리 알리지만, 이 길은 '''끊긴 길'''이다. 박진고개를 넘어 지정면으로 이어지는데 '''갑자기 길이 사라졌다!''' 여기서 남강을 건너고 싶다면 개설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으니 [[1041번 지방도]] 쪽으로 돌아가는 편이 낫다. --차라리 중첩을 하게 하지 왜 이 길을... 이 도로뿐만 아니라 모든 국도와 지방도들을 재지정을 해야지...-- ==== [[함안군]] ==== * [[구암로(함안)|구암로]]-장암길-[[대부로]]-[[이산로(함안)|이산로]] 구암로 쪽은 위쪽 의련에서 내러오면서 '''길이 끊긴''' 구간이다. 게다가 이 일대도 도로명이 많이 바뀌다가 대산면 부목삼거리에서 [[1021번 지방도]]와 만나는데 여기서 '''60이라는 글씨가 또 사라졌다!''' 여기부터 칠서면까지 도로가 개설되어 있어야 하나 '''길이 없다'''. [[1021번 지방도]]와 [[1041번 지방도]]를 이용해 돌아가는 수밖에 없다.[* 여담으로 [[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A%B0%80%EC%A7%80%EC%9B%90%EC%A7%80%EB%B0%A9%EB%8F%84_%EC%A0%9C60%ED%98%B8%EC%84%A0#%EA%B2%BD%EC%83%81%EB%82%A8%EB%8F%84|한국어 위키백과]]에는 대산면 부목리 신촌마을에서 칠서면 태목리 이곡마을을 거쳐 칠북면 화천리(화천1길과 화천길)로 이어지도록 되어 있는데 해당 구간들이 미개통이거나 좁은 마을길이다.] * 화천길-[[칠북로(함안)|칠북로]]-[[단내로]] : 칠북면 소재지(칠북면사무소 뒤쪽)에서 [[1040번 지방도]]와 만난 후 동쪽으로 이어진다. 위의 화천길에서 [[5번 국도]]와 교차하지만 연결하지는 못한다. ==== [[창원시]] ==== * [[단내로]]-[[천주로]] : 함안군 칠북면에서 남동쪽으로 쭉 이어지는 내곡리에는 주변에 고려 말 조천 초의 명장인 [[최윤덕]]장군의 생가지가 있으며 그 일대는 택지 개발이 예정되어 있다. 이후 내곡삼거리에서 좌회전하다가 [[북면(창원)|북면]] 면사무소 앞에서 우회전을 한다. * [[신촌본포로]]-[[정렬대로]]-[[낙동로(창원)|낙동로]] : 마산교차로에서 [[79번 국도]]와 합류한 이후에 월계교차로까지 중첩[* [[79번 국도]] 월계교차로 이후로는 공사 예정이다.]되며 이후로는 대산면 북부리 북부교차로까지는 2019년에 왕복 4차로로 확장이 완료된 상태이다. [[동읍]] 본포교차로에서 [[30번 지방도]]와 교차하며 [[25번 국도]]와는 대산북로를 통해 모산사거리에서 간접적으로 교차한다. * [[대산북로]]-[[유등로(창원)|유등로]] : 해당 구간은 '''좁은 마을길'''이라 통행에 불편하다. 경유하는 마을들 옆으로 김해시로 가는 도로(한림-생림)가 4차로로 공사중이나 빨라야 [[2023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 [[김해시]] ==== * [[한림로(김해)|한림로]]816번길-[[한림로(김해)|한림로]]-[[장재로(김해)|장재로]] : 앞의 유등로에서 이어지는데 [[낙동강]]을 따라가다가 면 소재지로 가다가 동쪽 생림면으로 가는 구조이다. 이후 [[생림면]] 소재지인 봉림리까지 이어진다. * [[생림대로]] : 생림면 봉림교차로에서 상나전교차로[* 2018년 이전에는 사촌교 앞 사촌삼거리까지였다.]는 [[58번 국도]]와 중첩되며 이후 대감교차로까지는 왕복 4차로의 새 도로로 이동하면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광재IC]]와 만난다. 대감교차로 이후로는 다시 왕복 2차로에 주거지역과 공장들의 [[난개발]] 속을 지나는데[* 주변에는 [[롯데 자이언츠]] 2군 구장인 [[상동 야구장]]도 있다. 그것도 공장들 한 가운데에...] [[중앙고속도로]] [[상동IC]]와 만나면서 대감교차로에서 매리1교 앞까지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지만 사고가 있어 개통이 매우 늦어질 듯 하다. [[https://youtu.be/4BCIVi0e3no?si=xtbbWMrnfi8LzOx8|기울어진 건물 결국 붕괴 (2023.09.25/뉴스데스크/MBC경남)]] 다만 이후 [[양산시]]로 넘어가는 건... '''다리가 없다!''' 해당 구간은 매리-양산 간 도로 공사가 진행중이며, 낙동대교가 완공되면 양산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다. 낙동대교는 2025년 상반기 우선 개통될 예정이며, 나머지는 2028년까지 기다려야 한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10914.33010003566|2021-09-13 국제신문 '양산-김해 국지도 60호선 2단계, 낙동대교만 2025년 우선 개통']] 현재는 [[광재IC]]나 [[상동IC]]를 통해 고속도로에 진입해서 [[물금IC]]까지 갈 수 밖에 없다. ==== [[양산시]] ==== 양산시 구간은 양산시 중심지를 기준으로 서쪽과 동쪽이 판이하게 다른데 서쪽(김해시 [[상동면(김해)|상동면]] 매리~양산시 유산동)은 아직까지 공사를 하지 않은 상태인데다가 구간 선형과 관련해서 양산시와 [[부산지방국토관리청]]간의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0300&key=20201208.22008002268|갈등이 진행]][[http://www.yangsa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8823|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구간 중에서 [[낙동강/교량#양산 낙동대교|낙동대교(가칭)]](김해시 상동면 매리 -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구간)는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서 우선 개통할 예정이라고 한다.[* 김해-양산 간 지방도가 개통되기 전 까지는 일반도로를 이용하려면 부산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 [[공단로(양산)|공단로]]-[[동서로(양산)|동서로]] : 동쪽인 공단로 구간 중 양산교의 재가설 공사가 예정되어 있으며 [[35번 국도]]가 교차한다. 이후부터는 동서로와 직결되면서 옛 [[양산IC]]의 하부 구간을 이용하고 왕복 4차로의 새 도로가 기장군 정관읍까지 이어진다. 주변에 [[동원과학기술대학교]]가 지리한다. === [[부산광역시]] === ==== [[기장군]] ==== * [[정관로]]-[[신정관로]]-[[정관로]] : 정관읍 월평교차로에서 [[동서로(양산)|동서로]]와 직결하며 임곡교차로에서 [[7번 국도]]와 교차한다. 이후, [[정관신도시]] 북동쪽 외곽을 지나는 신정관로가 되다가 다시 예림교차로에서 정관로와 다시 합친다. * [[좌천로(기장)|좌천로]]-[[좌해로]]-[[해맞이로(울주)|해맞이로]] : [[장안읍]] 좌천사거리에서 [[14번 국도]]와 교차하면서 좌천로로 직결되며 이후 임랑교차로에서 [[31번 국도]]와 교차한 이후 임랑삼거리에서 옛 [[31번 국도]]와 만나면서 60번 지방도 구간은 끝난다. 여담으로 임랑교차로에서 종점인 임랑삼거리 구간은 [[38번 국도]] 두문동재 구간처럼 울주군 방향과 일광읍 방향이 나눠져 있다. == 고속도로 및 국도 접속 == === 고속도로 === 현경교차로에서 시작하자마자 [[무안광주고속도로]] [[북무안IC]]가 나온다. 이후 [[1번 국도]]에 합류하면 [[서해안고속도로]] [[무안IC]]와 교차한다. 광주까지는 고속도로 음영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고속도로와 교차하지 않는다. 광주 진월동에서 고속도로는 아니지만 고속화도로인 제2순환도로와 교차한다. 이후 광주에서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와 교차하고 제2순환도로 [[각화IC]] 및 [[문흥IC]]와도 간접교차한다. 이후 광주에서 곡성까지 [[호남고속도로]]를 따라가며, 창평에서 [[호남고속도로]] [[창평IC]], 옥과에서 [[호남고속도로]] [[옥과IC]], 곡성에서 [[호남고속도로]] [[곡성IC]]와 교차하고 곡성읍내를 통과한다. 곡성읍내를 통과해 수지에서 [[순천완주고속도로]]와 교차하나 나들목은 없다. 이후에는 고속도로 음영 지역을 지난다. 이후 구원릉을 넘어 운봉에서 인월까지 잠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비슷하게 가나 나들목은 없으며 가장 가까운 나들목은 [[지리산IC]]다. 이후 산청읍까지 고속도로 음영지역이다. 산청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 [[산청IC]]와 간접교차한다. 이후 함안 칠서까지 다시 한동안 고속도로 음영 지역을 지난다. 끊긴 구간등 산전수전 다 겪으면 [[중부내륙고속도로]]를 따라가다가 [[칠서IC]]에서 벗어난다. 이후 김해까지 다시 고속도로 음영지역이며, 김해에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광재IC]]와 교차한다. 그 이후 끊긴 구간을 또 지나면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나 나들목은 없다. 가장 가까운 나들목은 [[양산IC]]이며 거길 이용하자. 이후 [[동해고속도로]]와 교차하나 나들목은 없고 [[31번 국도]]를 통해 [[장안IC]]와 간접교차하는데 여기가 끝이다. === 국도 === 현경교차로에서 [[77번 국도]] 및 [[24번 국도]]와 분기된다. 이후 무안에서 광주까지 [[1번 국도]]와 중첩되며 광주시내 ~ 고서 구간에서는 [[22번 국도]] 및 [[29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후 무정에서 [[13번 국도]]에 합류하고 옥과에서 분기되고 동시에 [[27번 국도]]에 합류한다. 곡성읍내에서는 [[17번 국도]]와 교차하고 남원 주천면에서 [[19번 국도]]와 교차한다. 이후 구원릉을 넘어 운봉에서 인월까지 [[24번 국도]]와 중첩된다. 경상도로 넘어오면 유림에서 산청으로 내려와서 [[59번 국도]]에 합류하고 산청교차로에서 [[59번 국도]]에서 분기 되어 [[3번 국도]]에 합류한다. 이후 정곡삼거리에서 [[3번 국도]]와 분기하고 삼가까지 고속도로 음영 지역이다. 삼가에서 [[33번 국도]]에 에 합류하며 대양까지 올라간다.[* 정식 경로는 아니나 현재는 끊긴 구간이 있어 우회해야 한다.] 이후 신반에서 [[20번 국도]]에 합류하고 세간까지 중첩된다. 그리고 칠서에서 [[5번 국도]]와 교차한다. 이후 창원시 북면까지 음영 지역이고 북면에서 [[79번 국도]]와 교차하고 대산면에서 [[25번 국도]]와 교차한다. 이후 김해 상동에서 잠시 [[58번 국도]]와 중첩 후 양산에서 [[35번 국도]]와 교차하며 법기터널을 지나면 [[7번 국도]]와 교차한다. 이후 부산 기장으로 넘어오면 좌천에서 [[14번 국도]]와 교차하고 해안 쪽으로 조금 더 가서 임랑에서 [[31번 국도]]와 교차하며 끝난다. === 요약 === 고속도로는 [[무안광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직접교차하거나 간접교차한다. 국도는 [[1번 국도]], [[3번 국도]], [[5번 국도]], [[7번 국도]], [[13번 국도]], [[14번 국도]], [[17번 국도]], [[19번 국도]], [[20번 국도]], [[22번 국도]], [[24번 국도]], [[25번 국도]], [[27번 국도]], [[29번 국도]], [[31번 국도]], [[33번 국도]], [[35번 국도]], [[58번 국도]],[[59번 국도]], [[77번 국도]], [[79번 국도]]와 중첩되거나 교차한다. [[분류:60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