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수학 교과]][[분류:7차 교육과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7차 교육과정)] ||<-5>
'''[[대한민국|{{{#fff,#ddd 대한민국}}}]]의 [[수학(교과)|{{{#fff,#ddd 수학 교육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6차 교육과정/수학과|6차 교육과정]][br]('92 고시)}}} || → ||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7차 교육과정'''[br]('97 고시)}}} || → ||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2007 개정 교육과정/수학과|2007 개정 교육과정]][br]('07 고시)}}} || [목차] == 개요 == [[7차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에 대한 설명이다. == 특징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고1)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고2~3)으로 구분된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수학 내용은 수와 연산, 도형, 측정, 확률과 통계, 문자와 식, 규칙성과 함수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 교육과정에서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영역명이 동일하지만,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의 영역과 중학교 및 고1 과정의 영역 구분이 상이해졌다는 차이점이 있다. === 목표 === 수학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 실생활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가. 여러 가지 생활 현상을 수학적으로 고찰하는 경험을 통하여 수학적인 기초 개념, 원리, 법칙과 이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나. 수학적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생활 주변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수학적으로 관찰, 분석, 조직, 사고하여 해결 할 수 있다. 다.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지고, 수학적인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태도를 기른다. == 초등학교 == == [[/중학교|중학교]] == 하위 문서 참고. == [[/고등학교|고등학교]] == [include(틀: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 하위 문서 참고. (10단계) 수학[* 당시의 교과서는 '10-가'와 '10-니'로 나뉘어 있었다.], 수학Ⅰ, 수학Ⅱ, 미분과 적분, 이산수학, 확률과 통계, 실용수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수학은 필수 이수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후 수학Ⅰ, 수학Ⅱ, 미분과 적분, 이산수학, 확률과 통계의 5개 심화 선택 과목중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1개 이상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다. 실용수학은 수학의 이수에 상관 없이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는 일반 선택 과목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