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JR 큐슈|[[파일:JR 큐슈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red '''JR 큐슈 {{{+1 811계 전동차}}}'''[br]JR 九州 811系 電車[br]{{{-1 JR Kyushu}}} 811 series (EMU) }}} ||}}} || ||<-2> [[파일:1024px-Kyushu_Railway_-_Series_811-100_-_01.jpg|width=100%]]|| ||<-2> {{{#e50012 외부(100번대)}}} || ||<-2> [[파일:JRQ_811_PM1504.jpg|width=100%]]|| ||<-2> {{{#e50012 외부(1500번대)}}} || ||<-2>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광역, 도시철도 입선용 [[근교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량 수''' || 4량 1편성 || || '''도입년도''' || 1989년 ~ 1993년 || || '''제작회사''' || [[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파일:히타치 제작소 로고.svg|width=120]]]][br][[킨키차량|[[파일:긴키차량 로고.svg|width=120]]]][br][[JR 큐슈|[[파일:JR 큐슈 로고.svg|width=150]]]][* [[코쿠라 종합 차량센터|JR 큐슈 코쿠라 공장]]] || || '''소유자''' ||<|2> [[JR 큐슈|[[파일:JR 큐슈 로고.svg|width=150]]]] || || '''운영자''' || ||<-2> '''차량 제원''' || || '''전장''' || 20,000㎜ || || '''전폭''' || 2,950㎜ || || '''전고''' || 3,670㎜ || || '''궤간''' || 1,067㎜ || || '''사용전류''' || [[교류]] 20,000V 60Hz [[가공전차선]] || || '''영업최고속도''' || 120km/h || || '''설계최고속도''' || 120㎞/h || || '''기동 가속도''' || 2.2km/h/s || || '''운전보안장치''' || [[열차자동정지장치|ATS-SK, ATS-Dk]] || || '''제어 방식''' || 0·100번대 : 사이리스터 위상제어[br]1500번대 : [[히타치 제작소|히타치]] [[VVVF]] - [[탄화 규소|Hybrid SiC]] || || '''동력 장치''' || 0·100번대 : MT61QA형 직권 정류자 전동기[br]1500번대 : MT405K형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제동 방식''' || 0·100번대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br]1500번대 : 발전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모터 출력''' || 150Kw || || '''전동차 비''' || 2M 2T || [목차] == 설명 == [[JR 큐슈]]가 운용하는 교류 근교형 전동차이다. [[키타큐슈]], [[후쿠오카(도시)|후쿠오카]] 대도시권에 쾌속열차를 증편하기 위해서 개발되었으며, 오래된 [[415계 전동차|421계]]를 교체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1989년]] [[7월]] [[후쿠오카]] 모모치하마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박람회(일명 요카토피아) 개최에 맞춰 투입되었으며, 모든 차량이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미나미후쿠오카 차량기지]]에 소속되어 있다. [[가고시마 본선]]([[모지코역]] ~ [[아라오역]])과 [[닛포 본선]]([[고쿠라역]] ~ [[우사역]]), [[나가사키 본선]]([[토스역]] ~ [[히젠오우라역]])간에 투입되고 있다. == 형식 == === 0번대(PM1 ~ PM17) === 이 차량의 기본 타입으로, 쾌속열차에 투입하기 위해 만들었기 때문에, 양 끝을 제외하고는 전환식 크로스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총 17편성이 재적중이였으나 PM2편성은 충돌사고로 인해 폐차되었고, 남은 전두부의 일부분을 큐슈철도기념관에 가져다 놓고 운전시뮬레이터로 활용 중이다. [[http://ongakukan.cocolog-nifty.com/blog/photos/uncategorized/2011/03/27/001.jpg|사진]] 이 때 도입된 차량의 특징으로는 'NEW RAPID TRAIN 811'이라는 문구가 오른쪽 아래 써있으며, 개조되면서 이 문구는 사라지고 'Commuter Train 811'이라는 문구로 바뀐다. 참고로 PM17편성은 100번대 차량과 좌석이 똑같다고 하며, 30년이 지난 모델은 1500번대로 개조 중이다. === 100번대(PM101 ~ PM111) === [[1992년]]에 제조된 차량으로, 0번대에서 마이너 체인지를 거친 모델이다. 문 가까이에 있는 좌석이 고정식 크로스시트로 변경되었으며, 좌석의 두께가 얇아지고 손잡이를 설치하여 정원 수를 늘렸다. === 1500번대(PM1504, PM1511) === 오래된 0번대를 완전히 리뉴얼 한 모델로, [[2016년]]부터 [[코쿠라 종합 차량센터]]에서 개조되기 시작했다. 각종 장비를 전부 갈아치우고, 제어장치도 사이리스터 위상제어에서 VVVF-Hybrid SiC 인버터 제어[* JR 큐슈 최초이다.]로 교체되었다. 전동기 또한 기존의 직류전동기에서 유도전동기로 교체되었으며, 더블암이였던 팬터그래프도 싱글암으로 교체되었고, 제동방식도 기존의 발전제동에서 효율적인 회생제동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실내조명도 LED화하는 등 기존차량에 비해서 30%, 415계에 비해서는 49%의 밖에 전력을 소모하지 않게 되었다. JR 큐슈의 디자인 고문인 미토오카 에이지가 Old is New ~伝統と革新の電車(전통과 혁신의 전철)~이라는 컨셉으로 디자인을 담당하였으며, 크로스시트에서 롱 시트로 변경된 좌석에 고쿠라나 하카타 직물등의 무늬를 넣었고 JR큐슈 근교형 전철의 특징인 CT(Commuter Train)로고가 곳곳에 들어갔다. 기존의 NEW RAPID TRAIN 811도 'Commuter Train 811'이라는 문구로 교체되었다. 또한 롱 시트 끝은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처럼 유리벽이 설치되어 있고, LED형 안내표시기도 새로 달렸으며 문개폐 예고 램프등이 새로이 설치되었다. 기존에 있던 화장실도 서양식으로 바뀌었으며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었다. 다만 [[305계 전동차|최신]] [[BEC819계 전동차|차량]]에서 쓰이는 수도권 도어 차임 대신 기존에 있던 도어 차임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우선 PM4편성과 PM11편성이 개조되어 PM1504, PM1511편성이 되었으며, 2024년까지 총 27편성이 추가로 개조될 예정이라고 한다. == 이야깃거리 == PM11호는 쾌속 [[스페이스월드역|스페이스월드]]호라는 이름으로 스페이스 월드의 로고와 캐릭터등이 랩핑된 적이 있다. 차내에는 우주를 표현한 테마로 구성되었고, 좌석도 파일럿 시트를 닮은 등받이가 높은 좌석이 설치되었으나, 쾌속 스페이스월드호가 폐지되어 일반열차와 함께 운용하다가 [[2009년]]에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왔다.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JR 큐슈]] * [[전동차]]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JR 큐슈]][[분류:전동차]][[분류:1989년 출시]][[분류:1993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