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남도의 지방도)] [include(틀:목포시의 교통)] [include(틀:장흥군의 교통)] [목차] == 개요 == [[지방도]] 제820호선은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과 [[장흥군]] 장평면을 잇는 [[전라남도]]의 지방도이다. 일부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거나 비포장이다. == 노선 == === [[무안군]] === * 영산로 목포IC에서 [[1번 국도]]와 직결하며 출발한다. === [[목포시]] === * 영산로 * 녹색로 === [[무안군]] === * 임성로 삼향읍 임성리부터 일로읍 월암리까지의 우회도로 개설 공사가 진행 중이다. * 삼일로 삼향읍 용포리에서 [[2번 국도]]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일로읍 월암교차로에서 [[815번 지방도]]와 만난다. 삼향읍과 일로읍을 연결한다고 해서 삼일로인듯 하다. [[전라남도청]]의 [[남악신도시]] 이전 등으로 인해서 가장 가까운 [[서해안고속도로]] [[나들목]]인 [[일로IC]]에서 목포시 옥암동 청호육교까지 기존 2차로의 구불구불한 도로를 4차로로 확장하는 공사가 진행중이긴 한데. [[티스푼 공사]]라서 좀처럼 안 끝나고 있다. 그나마 청호육교에서 상용마을입구(전남도청입구)까지는 공사가 진행되어서 2009년부터 쓰고 있긴 한데, 문제는 예산이 딸리는지 이후로 5년이 흐른 2014년 3월까지도 아직도 추가구간 개통이 안 됐다. 일로방향으로 갈 때 상용마을을 지나면 갑자기 길이 쪼그라들어서 무내미 언덕을 타고 넘는데, 무내미를 넘는동안 공사 현장이 내려다보이는데 아무리 봐도 변화가 없다. 이러는 동안 [[2번 국도]] 대체 우회도로 남악IC가 개통돼버려서 [[서해안고속도로]]에서 [[남악신도시]]로 바로 진입할 수 있게 되어서 개통할 필요성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특이하게도 상용마을까지는 기존 도로의 선형을 대체로 따라가는데,[* 살짝 직선화되기는 해서 [[임성리역]] 앞 도로나 상용마을 입구 등이 구 도로의 흔적이다.] 이후 부터는 전혀 다른길로 가서, 무내미 언덕을 오르내리는 일도 없이 용포, 극배, 계두 마을 등을 관통한 후 일로읍내 옆을 살짝 긁고 일로IC로 간다. 결국 2014년 7월 개통했다. [[http://www.mua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9171|링크참조 #]] 일로읍 월암리에서 [[49번 지방도]]와 만나며 '''길이 끊긴다'''. 여기부터 영암군 시종면 구산리까지는 '''도로가 개설되어 있지 않다.''' [[영산강]]으로 가로막혀 있으며, 이 구간의 개설을 위해 [[http://blog.daum.net/bakci/17|2013년 기사]] 기준으로 실시설계 진행 중이다. [[825번 지방도]] 영산강변 미개설 구간이 개설되면 [[825번 지방도]]와 교차할 예정이다. === [[영암군]] === * 구산로 시종면 내동리사거리에서 [[801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 마한로 시종면 시종터미널앞에서 [[801번 지방도]]와 분기하며 [[821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 고분로 === [[나주시]] === * 고분로 반남면 흥덕리에서 [[821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중간에 다시 [[영암군]](신북면 양계리, 학동리 일대)을 잠깐 지난다. 왕곡면 양산리 양산삼거리에서 [[13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13번 국도와 중첩되다가 세지면 죽동삼거리에서 분기한다. * 세지로 세지면 동창사거리에서 좌회전 * 동창로 세지면 세지교차로에서 [[23번 국도]]와 교차한다. 봉황면 덕림리삼거리에서 [[55번 지방도]]와 만난다. 우회전하자. * 덕룡로 봉황면 덕곡리에서 '''왕복 1차로 시멘트 길'''로 좁아진다. 봉황면 덕곡리 덕용마을에서 '''비포장 산길'''이 된다. 좁은 산길 고개를 조심히 넘자. === [[영암군]] === * 내산로 비포장 산길을 내려오다가, 금정면 세류리에서 왕복 2차로 길로 돌아온다. 그러나 금정면 청용리에서 다시 '''비포장'''이 된다. 폭이 좁고 옆에는 계곡물이 흐르고 있으므로 운전할 때 매우 조심해야 한다. === [[장흥군]] === * 내산로 * '''아직 비포장이다.''' * 보림사로 * 유치면 대천리에서 [[817번 지방도]]와 만나며 드디어 왕복 2차로 길로 돌아온다. 이 구간의 [[817번 지방도]]는 2019년 1월 초에 개통되었다. * 유치면 보림삼거리에서 보림리와 보림사로 갈 수 있다. * 용문길 * 보림터널 * 용문교. 다리를 건너면 바로 앞에 삼거리가 있는데, 피재로로 진입해야한다. * 피재로 * 용문길과 만나는 구간부터 유치교차로까지 왕복 2차로로 유지된다 * 유치교차로. 여기서부터 왕복 4차로로 넓어지며, 유치~이양 구간 지방도 확장공사의 시작점이다. * 봉림교차로. [[839번 지방도]]와 만나며 종료된다. [[분류:전라남도의 지방도]][[분류:820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