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정치범수용소)]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white 북한}}}]]의 [[정치범수용소/북한|{{{#white 정치범수용소}}}]]'''}}}[br]{{{#!wiki style="margin: -10px -10px" ||[[북한|[[파일:북한 국장.svg|height=60]]]]||'''{{{+1 83호 병원 [br] Hospital 83 [br] 八十三號病院}}}'''|| }}} || || '''다른 이름''' ||83호 관리소 || || '''설립''' ||미상 || || '''목적''' ||✔ 체제 반대세력에 대한 [[숙청#정치|숙청]] 및 [[보복|응징]][br]✔ [[정치범]]에 대한 생체실험[br]✔ 지적장애인의 말살 || || '''규모''' ||미상 || ||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보건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보건성 마크.png|width=20]] 보건성]] [br] [[국가보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보위성 휘장.png|width=20]] 국가보위성 농장감시국]] || || '''운영 여부''' ||'''운영 중'''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정치범수용소/북한|정치범수용소]]. == 특징 == 이 곳은 병약한 정치범이나 장애인들을 '''생체실험하면서''' 각종 의약품과 [[생화학무기]]를 테스트하는 곳으로 그 악명은 [[T4 작전]]과 [[731 부대]]에 뒤지지 않는다. 북한도 이 점이 발각되는 것을 원하지 않아 명목상으로는 신경 계통의 병원으로 위장하고 있지만 이미 북한 주민들도 이 곳을 '''한 번 들어가면 다시는 나올 수 없는 장소'''로 인식할 정도이다. 당국에서는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범법자 내지는 장애인의 가족에게 가족 관계 포기 각서를 쓰라고 요구한다고 한다. 그렇게 병원으로 끌려간 사람은 누구도 더 이상 영영 찾을 수 없는 존재가 되고야 만다. 시설은 복수의 탈북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교차검증 해본 결과 각 정치범수용소나 지역 마다 여러 개의 병동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데일리NK]]에 의하면 2016년에 병원원장이 [[보위국]]의 검열로 인해 제대로 죽탕을 맞아 2년 동안 보위국 수감시설에 수감되어 모진 고문을 당하다가 [[자업자득|끝내 죽는 일이 발생했다고 한다.]][[https://www.dailynk.com/20210910-2/|#]] == 참고 링크 == *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3/10/2013031090060.html|[특별한 초대] 북한의 생체실험 '83호 병동의 실체']] * [[https://www.nocutnews.co.kr/news/5919352|인권보고서가 전하는 北장애인의 삶 '난쟁이 마을과 생체실험']] [[분류:정치범수용소/북한]][[분류:북한의 인권 침해]][[분류:장애인 학대]][[분류:의학 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