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지원지방도 목록)] [include(틀:울릉군의 로)] ||<-3> {{{#fff {{{+1 '''울릉순환로'''}}}[br]鬱陵循環路 | Ulleungsunhwan-ro}}} || || {{{-1 {{{#555,#AAA 기 점}}}}}} || '''{{{#!html
90번
지방도
}}}''' || {{{-1 {{{#555,#AAA 종 점}}}}}} || ||<-3> '''{{{#fff 노선 번호}}}''' || ||<-3> '''90번 지방도''' || ||<-3> '''{{{#fff 기점}}}''' || ||<-3>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 내수전 || ||<-3> '''{{{#fff 연장}}}''' || ||<-3> 44.5km || ||<-3> '''{{{#fff 관리}}}''' || ||<-3> 경상북도 || ||<-3> '''{{{#fff 왕복 차로 수}}}''' || ||<-3> 1~2차로 || ||<-3> '''{{{#fff 주요 경유지}}}''' || ||<-3> 내수전(저동리) - 도동리 - 남서리 - 천부리 - 내수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OKF3-vj1X84)]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선은 [[경상북도]] [[울릉군]]에 있는 국가지원지방도이며, 일명 '''"울릉도 일주도로"'''라고도 부른다. 도로명 주소로는 '''울릉순환로'''에 속한다. 도로 사업 계획이 확정된 지 55년 만인 2018년 12월 28일 완전히 개통되었고, 2019년 3월 29일에 정식 개통했다. 도로명 그대로 [[울릉도]]를 한 바퀴 도는 '''일주도로'''이며, 이 도로를 달리면서 울릉도를 한 바퀴 돌면서 감상할 수 있다. 가장 긴 터널은 와달리터널로 무려 '''1,955m'''에 달한다. 전 구간 최대제한속도는 40km/h이다. == 역사 == 2008년 이전에는 '''926번 지방도'''[* 현재도 상당수 지도 및 도로 내 교차로 표지판에서 926번 지방도로 표기된 모습을 볼 수 있다.]였다. 1963년 3월 울릉도 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일주도로 사업계획이 확정된 후 1976년 8월 착공을 시작해 계속하여 공사를 이어오다 2001년 내수전-섬목 구간을 제외한 39.8km가 연결되었다. 2018년에는 이 미개통구간이 완공됨에 따라 '''무려 55년'''만에 일주도로 공사를 마치게 되었다. 전형적인 [[티스푼 공사]]의 예라 할 수 있다. 2001년 내수전-섬목 구간 4.4km가 개통되지 못한 채 경상북도의 지방 예산 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되자 울릉도 주민들은 이 도로의 국도 승격을 요구해왔었다. 2008년에서야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어 90번 지방도로 변경되었고, 기존도로 및 미개통구간에 대한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4695&yy=2008|정부 예산이 반영]]되었다. 그리고 2011년 11월 무려 10년만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2241074|공사를 재개]]했다. 화산섬이기에 지반이 연약했던 데다가 너무 가파른 암반 산악지대와 해안절벽으로 자재 수급선이 접근하지 못해 공사가 중지되기 일쑤였다고 한다. 이후 2018년 12월 28일에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510428#0B1r|울릉 일주도로 미개통 구간, 내수전~섬목 구간의 공사가 완료되면서 임시 개통]]하였으며,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810658|2019년 3월 29일에 55년만에 전 구간 정식 개통]]했다. 2019년 5월 6일, 울릉도 일주도로 전구간 개통과 관련한 다큐멘터리, 〈55년의 길 세 사람의 섬〉이 KBS1에서 방영되었다. 개통 후 울릉읍 저동리에서 북면 천부리간 1시간 30분 이상 걸리던 통행시간이 10분으로 크게 줄었고[* 일주도로 개통 이전에는 저동-섬목 선창 간에 카페리가 다녔다. [[2001년]] 당시 [[게릴라 콘서트]]에 출연한 [[김현정]]이 울릉도에 가서 콘서트를 홍보했을 때에도 일정을 맞추기 위해 이 카페리를 이용했다.] 북면 지역의 도동, 저동 접근성이 혁명에 가깝게 좋아졌을 뿐 아니라 최신 스타일로 지은 구간이라 그 어느 구간보다 운전하기 좋다. 한편 옛 종점인 섬목에는 휴게소 같은 건물이 하나 있었으나 터널을 내면서 철거되었다. 대신 와달리터널과 내수동터널 사이에 와달리휴게소가 설치되었다. 차후 공사 초기에 개통된 20km 남짓한 폭 좁은 구간들의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가두봉 인근에서의 [[울릉공항]] 공사로 인해 일주도로가 사라지는 것을 대체하기 위한 '공항터널(사동터널)'이 2022년 7월 6일 임시개통,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10527010003323|10월 초 완전개통]]을 하였으며 그보다 앞서 2022년 4월 가두봉 지역에서 이어진 서면 통구미~남양~남서 쪽도 마을 안에서 좁게 지나갔던 편도 1차로 옛 터널 대신 [[https://www.mbn.co.kr/news/society/4731713|왕복 2차로의 새 터널]][* 네이버 지도 거리뷰에는 2022년 6월에 이미 새 터널로 차가 다니고, 옛 터널은 폐쇄된 상태가 찍혔다.]이 생기는 등 전 구간을 왕복 2차로+직선화로 확장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특징 == 울릉도의 자연 환경 특성상 터널 및 교량 구간이 많다. 도로 대부분 구간은 중앙선이 잘 안보일 뿐 왕복 2차로로 건설되어 있지만 종종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아 단선으로 운행되는 구간들은 교행용 적녹 신호등이 있다.[[교행|즉 한쪽에서 빨간불이 들어오면 반대편 차선에서 차가 올 수 있도록 기다려야 한다.]] 녹색 신호일 때만(이 때 반대편은 적색 신호) 터널에 진입할 수 있다. 과거에는 통구미터널 등에 적황녹 신호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적녹신호등만 운영되고 있으며, 터널이 아니어도 도동 입구 같은 몇몇 상습 공사구간에는 신호등이 있으니 방심하지 말고 주의깊게 살피며 다녀야 한다. 게다가 섬목-선창 구간에는 자연동굴을 통과하는 단선구간이 신호등도 없이 반사경만 갖추고 운영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단선 구간이 짧을 경우 신호등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똬리를 틀듯 입체 나선형으로 올라가는 [[http://naver.me/55IkpUbu|고개 구간]]이 있는 등 육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도로 특징들이 많다. 암벽 바로 옆에 개설된 도로이기에 빈번한 낙석 피해에 취약해 아래와 같은 사고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 2007년 [[울릉경찰서]] 서면파출소 소속 경찰관이 남양터널 부근 악천후로 인한 낙석 현장 수습을 위해 공무를 수행하던 중 낙석사고로 인해 순직했다. * 2020년 태풍 [[마이삭(2020년 태풍)|마이삭]] 영향의 폭풍해일로 인해 [[http://news.heraldcorp.com/village/view.php?ud=202009041454178570742_10|남양터널에 무게 50t의 테트라포드가 밀려오기도 했다]]. * 2023년 9월 24일 새벽 북면 현포리 현포항~평리 구간(현포피암터널 진입 전)에서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781422|산사태가 발생]]해 현재 처리 중이다. 직전까지 약 150mm에 가까운 비가 내리면서 지반이 약해진 상황에서 약 2만t이 넘는 토사가 유출되면서 완전 복구하는데, 2~3일 정도 걸릴 전망이다. == 주행영상 == [YouTube(L5b9_y-XuN0)] [[분류:90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