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지방도)] || '''{{{#0067a3 927번 지방도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include(틀:충청북도의 지방도)] ---- }}}}}}}}} || ||||<#FFBF00> '''927번 지방도''' || |||| '''구미~단양''' || || '''시점'''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항곡리 || || '''종점'''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장림사거리 || || '''총 길이''' || 122 km[* 충청북도 17.8km, 경상북도 104.2 km] || || '''연결도로''' || [[상주영천고속도로]][br][[5번 국도]][br][[25번 국도]][br][[28번 국도]][br][[33번 국도]][br][[34번 국도]][br][[923번 지방도]][br][[68번 지방도]][br][[912번 지방도]][br][[916번 지방도]][br][[924번 지방도]][br][[928번 지방도]][br][[901번 지방도]][br] || [목차] [clearfix] == 개요 == 927번 지방도는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을 출발하여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에 도착하는 [[지방도]]이다. 총연장 122km를 자랑하는 매우 긴 지방도이며,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충청북도]] [[단양군]]까지 경북 서부를 종단한다. [[923번 지방도]]와 유사하게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의 사이를 달리는데, [[923번 지방도]]보다는 동쪽의 [[중앙고속도로]]에 붙어있다. [[924번 지방도]]가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의 북쪽을 비껴 지난다면, 이 도로는 위아래방향으로 "[[경상북도청신도시]]"를 가로지른다. 고속도로 건설 떡밥까지 있는 구간이라 향후 어떤식으로든 확장 공사가 기대되는 곳. 충북으로 뻗어있는 도로인 만큼 이 지방도 또한 소백산맥 고개길을 넘게 되는데, 이 도로가 놓여있는 저수령은 850m 고지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서 1999년 11월 26일 오후 2시경 부산 해운대고속 관광버스가 저수령을 내려오다 오른쪽 커브를 꺾지못한체 맞은편 7M 아래로 곤두박질 쳤으며 이 사고로 승객 7명이 사망하고 30여명이 크게 다친 참사가 일어났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811069]]] 바로 옆은 해발 1077m 황장산 능선.[* 참고로 저수령에서 계속 능선을 따라가다보면 언젠가는 [[소백산]]국립공원 입구에 다다르게 된다. 그 이후 죽령에 갈 수 있다.] 저수령은 특이한 것이 단양에서 예천을 가려면 [[문경시]]를 거쳐야 한다. 엄밀히는 단양-예천-문경-예천-문경-예천의 형태로 가게 된다. 군위가 대구에 편입되는 2023년 7월 부터는 해평~봉양 구간이 변경될 듯 하다. * 총연장 : 122km * 기점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항곡리 * 종점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주요 경유지 == === [[경상북도]] === * [[구미시]] 구간 - [[현일고등학교]] 앞에서 [[선산대로]]로 부터 분기. [[33번 국도]] 항곡IC와 교차 후 [[숭선대교]] 경유 * [[해평면]] - 길수교차로에서 [[25번 국도]]와 교차.[* 구조가 복잡하니 유의해야 하며, 단양 방면으로 일주 중이었다면 제1야영장 앞에서 좌회전 후 우회전하거나 [[25번 국도]] 방면으로 직진 후 우측의 진출차로를 이용해 삼거리에서 좌회전해야 하며, 역방향으로 일주중이었다면 직전에 좌회전을 하거나 아니면 옆의 1차로 샛길을 이용해 숭선대교를 건너야 한다.] 오상삼거리에서 좌회전 후 해평면내 통과 및 낙성교 북단에서 우회전. 이후 작은 고개를 넘는다. * [[군위군]] 구간 * [[소보면]] - [[상주영천고속도로]] [[서군위IC]] / [[923번 지방도]]와 만남, 소보면사무소 앞에서 [[68번 지방도]]에 편입 및 [[923번 지방도]]로 부터 분기. 소보교 서단에서 우회전하자. * [[군위읍]] - 군위읍내에서 [[5번 국도]]에 편입 * [[의성군]] 구간 * 봉양면 - [[중앙고속도로]] [[의성IC]], 봉양교차로에서 [[28번 국도]] 추가 합류, 온천삼거리에서 [[5번 국도]]로 부터 분기. 좌회전 후 우회전하자. 네이버 지도는 탑리 방면도 927번 지방도로 나오는데 탑리 방면으로 갈 시 길을 잃는다. * 안평면 - 안평면사무소 앞에서 [[912번 지방도]]가 합류. [[상주영천고속도로]]와 교차하나 나들목 X * 신평면 - 검곡리에서 [[912번 지방도]]가 분기. 이후 고개를 하나 넘어 의성에서 안동으로 간다. * [[안동시]] 구간 * [[풍천면]] - 구담교를 건넌후 풍천초등학교 앞에서 [[916번 지방도]]가 교차. 도청신도시 부지부터는 왕복 4차로로 넓어진다. * [[예천군]] 구간 * [[호명면]] - [[경상북도청신도시]] 통과. [[924번 지방도]]와 교차. 도로 상태가 좋다. * 예천읍 - 왕신교차로에서 [[28번 국도]] 및 [[34번 국도]]와 교차, 남본교차로에서 우회전 직후 남산교차로에서 바로 좌회전해야 하므로 반드시 운전에 주의하자. 우회전 후 바로 영주 방면 1차로로 가야 한다. 예천읍내를 우회하며 [[928번 지방도]]와 교차 후 예천스타디움. * 용문면 * 은풍면 * 효자면 - 효자면사무소 앞에서 [[901번 지방도]]가 분기. 이후 저수령을 넘는다. 저수령은 급커브에 헤어핀이 산재해 주의해서 넘어야 하며 [[초보운전]]자는 피하는 게 좋다. === [[충청북도]] === * [[단양군]] 구간 * 대강면 - 저수령 통과, 저수령 이후에도 올산리를 지나면 작은 고개를 하나 넘는데 길이 꽤 꼬불꼬불해 주의해서 넘어야 한다. 대강면사무소 앞에서 [[5번 국도]]에 합류. 단양8경 중 하나인 사인암에 갈 수 있다. 미노삼거리에서 좌회전. == 고속도로 및 국도 연결 == 고속도로는 구미에서 소보까지 연결되지 않으며 소보에서 [[상주영천고속도로]] [[서군위IC]]와 연결된다. 이후 [[중앙고속도로]] 밑을 지나나 연결되지 않으며 직접연결 지점은 봉양면으로 넘어와서 [[중앙고속도로]] [[의성IC]]와 연결된다. 이후 안평까지 [[중앙고속도로]]와 평행하게 가나 연결되지 않으며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 밑도 지나나 연결되지 않는다. 이후 단양까지는 고속도로 음영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연결되지 않으며 종점에서 [[5번 국도]]를 통해 [[중앙고속도로]] [[단양IC]]와 간접연계되긴하다. 국도는 고아읍내에서 [[33번 국도]]와 교차하며 숭선대교를 건너면 [[25번 국도]]와 교차한다. 이후 소보를 거쳐 군위까지 연결되는 국도가 없으며 군위에서 [[5번 국도]]와 도리원까지 중첩된다. 이후 봉양에서 잠시 [[28번 국도]]와 중첩되며 이후 예천까지 국도 음영지역을 지난다. 이후 예천읍내 앞에서 [[28번 국도]] 및 [[34번 국도]]와 교차하고 이후 단양에서 [[5번 국도]]에 합류한다. === 요약 === 고속도로는 [[상주영천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국도는 [[5번 국도]], [[25번 국도]], [[28번 국도]], [[33번 국도]], [[34번 국도]]와 교차하거나 중첩된다. == 도로명 == [[숭선로]]-[[강동로(구미)|강동로]]-[[도신로(경상북도)|도신로]]-[[송백로]]-[[도군로]]-[[경북대로]]-[[봉호로]]-[[웅비로]]-[[충효로]]-[[도효자로]]-[[온천로]]-[[사인암로]] [[분류:경상북도의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