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Type 98}}}'''[br]''98식 보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uns8btczkc51.png|width=100%]]}}}|| ||<-2><:> {{{#000,#ddd {{{-1 98식}}}}}} || || '''종류''' ||[[돌격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88년]]~현재 || || '''개발년도''' ||[[1986년]] 추정 || || '''생산년도''' ||[[1988년]]~현재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 '''사용된 전쟁''' ||불명 || ||<-2> {{{#White '''기종'''}}} || || '''원형''' ||[[88식 보총|88식(AK-74)]] || || '''파생형''' ||98식 단축형[br]신형 불펍 보총[br]신형 복합소총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5.45×39 mm]] || || '''급탄''' ||30발들이 박스탄창[br]헬리컬 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br]회전 노리쇠 || || '''총열길이''' ||415mm || || '''전장''' ||1090mm(개머리판 폈을시)[br]700mm(개머리판 접었을시) || || '''전고''' ||195mm || || '''중량''' ||불명 || || '''발사속도''' ||650RPM || || '''유효사거리''' ||500~8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FG6hpP.jpg|width=100%]]}}} || || 98식 보총을 든 북한 육군 [[군사경찰|경무]] [[대위]]. [[79식 기관단총]]처럼 접히는 신형 가철식 개머리판의 경첩부위가 잘 보인다. || 가장 최근에 제작된 98식 자동보총(Type 98)은 총열덮개, 손잡이, 탄창 등이 AK-74M과 흡사한 플라스틱으로 교체되었다. 가철식 개머리판도 총 위쪽으로 접히는 중국제 [[79식 기관단총]]과 같은 방식을 채용했다. 중량 절감을 위해 개머리판에 구멍을 뚫은 모양과 배열까지 똑같다. 가장 눈에 띄는 점으로, [[PP-19]]와 비슷한 [[탄창#s-4.1.8|헬리컬 탄창]]을 장착한 사진도 식별된다. 다만 위로 접히는 가철식 개머리판은 조준경을 제대로 장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중요 요인을 호위하는 임무는 정확한 사격을 통한 적의 섬멸보다는 신뢰성 높은 총과 대용량 탄창을 이용한 제압사격을 통한 퇴출이 우선시된다. 따라서 장탄수가 많은 헬리컬 탄창이 채용되었다고 보인다. 그러나 원조격인 PP-19조차 [[탄창#s-4.1.8|헬리컬 탄창]]의 신뢰성 문제가 있어 후속작 격인 [[PP-19-01]]에선 일반적인 탄창으로 회귀했다. 북한의 공업 기술이 러시아보다 한참 부족함은 생각하면, 저 탄창의 신뢰성은 다소 의문스럽다. 러시아에서도 AK의 대용량 [[탄창]]이 필요하면 RPK의 대용량탄창이나 드럼 탄창, 쿼드스택 탄창 등 전통적인 방식을 쓴다. 북한 기술자들이라고 헬리컬 탄창의 단점을 몰랐을 리는 없을테니 대량 보급보다는 실험용이나 경호부대의 요구로 소수 제작했다고 보인다. 더구나 가늠쇠 아래쪽에 추가적인 걸쇠가 있어야 탄창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조해야하고 별도 탄입대까지 필요하다. 여러 이유로 일반 야전부대에 대량으로 보급하기에는 무리다. 의문점은 열병식에서 RPK에 쿼드스택 탄창을 끼우고 나온 적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 굳이 헬리컬 탄창을 양산할 필요성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다. 헬리컬 탄창이 대량 생산되었을 리는 없다. 신뢰성 높은 소수 고급품을 생산했다고치면 여러 단점에도 불구하고 채용할만 장점을 찾았을지도 모른다. 해외에서는 이 물건을 88식의 파생형중 하나인 88-2식(Type 88-2)으로, 아래의 98식 단축형을 일반 98식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틀린 말이다. == 파생형 == === 단축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x1.sinaimg.cn/8bfcdacbly1fenoc2b3bpj20oc1fogx8.jpg|width=100%]]}}} || || 2017년 4월 15일 [[열병식]]에 등장한 특수작전대대 대원 || 총열을 단축해서 [[수출형 AK 시리즈#AK-105|AK-105]]처럼 만든 단축형 98식 보총에 헬리컬 탄창을 장착하고 있다. 98식 보총의 개머리판이 중국 [[79식 기관단총]] 개머리판과 같은 구조임을잘 보여주는 사진이며 자세히 보면 탄창 앞쪽을 대검 장착부를 이용해 고정하고도 고정이 잘 안 되는지 철사로 묶어놓은 것이 보인다. 신속한 탄창교환은 불가능할 듯. 게다가 개머리판이 총몸 위로 접혀서 덮어버리는 98식의 구조상 현대 특수작전에 필수품인 [[도트 사이트]]나 스코프 등의 장착이 어려워졌다.[* 불가능하지는 않다. 총열덮개는 여전히 노출되어 있으므로 거기 달면 되긴 한다. 다만 사용이 매우 불편해진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면 캡처 2022-11-11 110447.png|width=100%]]}}} || || 2022년 [[열병식]]에 등장한 정찰대 대원 || 실제로 2022년 열병식에서는 [[가늠자]]를 빼고 그 자리에 도트사이트를 장착한 98식 기본형이 등장했다.[* AK 소총은 구조 상 총몸 윗덮개가 별도의 보완조치 없이는 총몸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아, 서방측 민간 사격애호가들이 이전부터 총몸 대신 가늠자 자리에 조각레일을 끼워서 도트사이트를 장착한 사례가 많았다.] === 2020년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북ak-10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8식보총개량형.png|width=100%]]}}} || ||<-2>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에서 || 기본형과 단축형 모두 총몸 부분에 레일을 달기 위해 기존의 위로 접히던 개머리판에서 다시 88식과 유사하게 옆으로 접는 개머리판으로 변경되었으며 [[피카티니 레일]]이 적용되어 소음기, 스코프, 수직손잡이 등등 [[총기 악세사리]]들을 장착한 모습이 나왔다. 이상하게도 전원 총기에 스코프를 달고 나왔는데 서방 특수부대에서 쓰이는 숏 스코프를 흉내낸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열병식에서 행군한 기보사단 종대들이 저들이 장비할 법한 저배율 리플렉스 사이트를 달고 나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8식보총고화질.png|width=100%]]}}} || || [[2023년 7월 27일 북한 열병식]] 중 상영된 동영상에 등장한 98식 보총 단축형 || 2023년 7월 27일 열병식에서 고화질 동영상이 공개되었다. 개머리판은 옆으로 접히면서 길이 조절도 되는 것으로 보이며, 피카티니 레일 배치도 자세히 보인다. === [[AKS-74U]]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북한 국가보위성 요원들.jpg|width=100%]]}}} || || 2022년 4월 25일 열병식에서 북한 [[국가보위성]] 요원들이 AKS-74U와 거의 똑같은 형상의 단축형 보총으로 무장하고 등장했다. || === [[AK-103]]형 추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reenshot_20220427-013553_YouTube (1).jpg|width=100%]]}}} || || 2022년 4월 25일 [[2022년 4월 25일 북한 열병식|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주년 열병식]]에서 || [[AK-103]]의 카피로 추정되는 98식 보총을 열병 종대가 들고 있는 모습이 포착 됐다. 탄창의 각도가 7.62×39mm 탄약이 삽탄되는 탄창의 각도와 비슷하고, 탄창도 일반적인 바나나 탄창이 아닌, 폴리머 소재로 추정되는 탄창인 것으로 보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북한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칼라시니코프 계열 총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88식 보총, version=138)] [[분류:자동소총]][[분류:돌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조선인민군/장비]][[분류:AK-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