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A·O·J)] [목차] == 설명 == [[파일:A・O・Jカタスト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A·O·J 카타스톨, 일어판명칭=A・O・J(アーリー・オブ・ジャスティス) カタストル, 영어판명칭=Ally of Justice Catastor,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2200, 수비력=1200, 종족=기계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이 카드가 어둠 속성 이외의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데미지 계산을 실행하지 않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A·O·J'가 제조한 기계 병기가 그려진 아이콘.''' >'''오랜 앙금이 풀렸을 때, 그 동맹은 외적을 무찌를 희망이 되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의 [[플레이버 텍스트]] [[A·O·J]] 테마의 상급 싱크로 효과 몬스터.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1부터 등장한 최초의 싱크로 몬스터들 중 하나. 이름의 유래는 [[카타스트로피]]. === 성능 === 싱크로 소환이 막 도입되었을 시절에 발매된 옛날 카드인 데다 효과 텍스트가 아시아권에서 간체자판 한정 10기 들어서야 재정비되어 효과를 착각할 수 있는데 공식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이 카드의 효과는 유발 효과. (발동하는 효과이며, 따라서 지속 효과가 아니다.)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다. 데미지 스텝 개시 시에 발동한다. 뒷면 표시의 이 카드가 공격받았을 때나, 뒷면 표시의 카드를 공격할 경우 발동하지 않는다. [[http://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7552&request_locale=ja|#]]|| ---- ||중국어 간체자판 번역 |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vGB7xmgWA+de3dFUZ6kPyu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참고]]||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br]①: 이 카드가 어둠 속성 이외의 앞면 표시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 어둠 속성 이외의 몬스터에겐 최고의 천적. 어둠 속성을 포함한 복수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다크 시무르그]]나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 같은 몬스터들도 어둠 속성 이외의 몬스터로 취급한다.[*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의 경우, 자체 효과로 카타스톨의 효과 발동을 무효화하고 공격력과 수비력이 500 깎인 채로 데미지 계산을 실행하게 된다.] 효과로 파괴하므로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 몬스터,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 효과를 발동하는 몬스터의 효과도 무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드 데몬즈 드래곤]] 등과 마찬가지로 데미지 스텝 돌입 후에 파괴가 처리되므로 [[기황제]]의 특수 소환 효과도 발동할 수 없다. 효과 발동 후 상대 몬스터가 아직 필드 위에 존재한다면 그대로 데미지 계산을 실시하기 때문에, [[까칠까칠 간테츠]]나 [[교향마인 마에스트로크]],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와 같은 제한적인 파괴 내성을 지닌 몬스터를 상대로는 효과로 한 번, 전투로 한 번 파괴하는 것으로 한 번에 내성 스톡을 크게 깎아낼 수 있다. 약점은 파괴 내성 효과를 지닌 몬스터에게는 무력하다는 점. 또한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는 데미지 계산 전에는 속성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효과로 파괴할 수 없다. 또한 효과는 강제 발동 효과이기 때문에 충분히 전투로 파괴하여 데미지를 줄 수 있는 몬스터 상대로도 효과를 발동해야만 한다. 의도치 않게 효과를 발동했다가 [[신의 통고]] 등에 억울하게 당할 수 있다. 가장 큰 단점은 파괴 효과를 배틀 페이즈에 들어가서 전투 기회를 소모해야 발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몬스터를 효과로 파괴할 수 있는 수단이 많아진 지금은 배틀 페이즈까지 가서야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는 카타스톨을 굳이 채용할 이유가 적다. 비슷하게 강제 효과 발동을 하는 [[엘섀도르 네피림]]과 맞붙으면 함께 파괴된다. 공격한 쪽(턴 플레이어의 몬스터)의 효과가 먼저 발동하고 그 후에 공격 받은 쪽의 효과가 발동하여, 역순처리로 공격한 쪽이 파괴되고 남은 쪽도 파괴된다. [[사이컨덕터 비히마스]]는 데미지 계산 후에 효과를 발동하므로 데미지 계산 전에 이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어 제외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강력하고도 범용성 높은 효과 덕분에 오랜 기간 애용되어 온 몬스터다. [[싱크로 소환]] 초기에 등장하여, 오랜 시간 범용 레벨 5 싱크로 최강의 자리를 지켜왔다. 지금에 와서는 전성기의 힘은 거의 잃고 [[HSR 찬바라이더]]나 [[TG 하이퍼 라이브러리언]]에게 범용 레벨 5 싱크로 자리를 내어줬지만, 일단 범용 레벨 5 싱크로 몬스터 중에서는 몬스터를 효과로 파괴할 수 있는 가장 편한 수단이므로 경쟁력이 없지는 않다.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에서의 설정 === '듀얼 터미널 마스터 가이드'의 설명에 따르면 [[A·O·J]]에 소속된 네 부족이 진정한 의미로 협력해서 제작된 기계로, 여러 전장에서 큰 전과를 올려왔다고 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밝혀진 추가 설정에 의하면 공격력, 기동력, 방어력, 양산성 등 모든 면에서 완벽한 걸작 병기로, 성능이 증명되자 양산이 시작되어 전황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즉 뇌신귀가 부쉈다고 카타스톨이 전부 없어진 것은 아니라는 소리. 머리 부분에는 [[A·마인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정작 정작 해당 카드는 레벨 5의 튜너라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할 수 없다. [[안개 골짜기의 뇌신귀]]의 카드 일러스트에서는 두 동강 난 모습으로 그려져 있는데, 마스터 가이드 3에 따르면 적을 포획해서 이용하는 방식에 이의를 제기한 [[안개 골짜기]] 일족이 A·O·J에게 반기를 든 것이라고 한다. 이후 이 몬스터의 잔해는 안개 골짜기의 습지대에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다가 [[벨즈]]에 감염되면서 [[벨즈#벨즈 골렘|벨즈 골렘]]으로 되살아났다. 무시무시한 효과에 비해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에서 나오는 공격 모션은 머리에서 소심하게 빔이 나가는 모션이다. 또한 듀터 스토리 내에서도 그 악명에 비해 취급이 좋지 않다. === 기타 === 듀얼 터미널 카드들이 그렇듯이 국내에선 당연히 부스터 팩 [[숨겨진 세력]]에서 나올 것이라 여겨졌는데, 그 전에 [[골드 시리즈]] 2010에서 풀렸다. 저 팩이 나올때 모두가 또 브류나크처럼 얘도 [[노멀 레어]]임? 하고 있던 상황이었는데… 골드 시리즈 2010의 노멀 레어는 [[신수왕 바르바로스]]와 [[매지션즈 발키리어]]. 이 카드는 그냥 막 나오는 카드가 되어 보드게임 갤러리에서는 '''굴욕의 카타'''가 되었다. 이게 어느 정도였냐 하면, [[파일:attachment/CatastorExample.jpg]] 이 정도가 '''한 박스를 뜯어서 나오는 양'''이다. 때문에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나츄르 팔키온]], 그리고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와 거의 동일한 위력에다가 숨겨진 세력에서는 그 김브류보다 더욱 극악의 드롭률을 자랑함에도 불구하고 숨겨진 세력 1 기준 '''3600원'''.[* 실제로 숨겨진 세력이 발매되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들고 있었던 이 카드는 노멀 아니면 골드 레어. 결국 시크릿 레어는 그 엄청난 봉입률에 맞지 않게 시크 간지용으로 용도가 전락했다.] [[유희왕 5D's]] 방영 당시 [[고스트(유희왕)|고스트]]들이 대량으로 [[A·O·J]]들을 마구 꺼내 다굴을 치면서 엄청난 깽판을 칠 때, AOJ들 중에서도 유명세로는 탑 클래스인 이 녀석까지 나와서 아주 제대로 [[카오스]]를 보여줄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들이 매우 많았지만, 예상과 달리 이 녀석을 비롯한 AOJ 싱크로들은 한 마리도 안 보였다. [[호세(유희왕)|호세]]가 유세이 일행에게 미래를 보여줄 때 아주 잠깐 등장하긴 했다. 아무래도 [[플라시도|고스트를 지휘하는 놈]]이 싱크로를 싫어해서인 듯. 만약 나왔으면 [[스타더스트 드래곤]]이나 [[슈팅 스타 드래곤]]한텐 발리더라도 적어도 깽판의 레벨이 한층 더 올라갔을 것이다. 이와 별개로 [[로스트 스타 디센트]]에 커다랗게 나오는 덕에 그림으로는 애니메이션 출연을 많이 했다. [[후도 유세이]]도 썼고 나중엔 [[잭 아틀라스]]도 자주 쓴 편. 5기 오프닝 시작할 때 카드가 쏟아지는 부분에서도 지나간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도 나오는데 이 셋 이외의 다른 카드들은 다 애니메이션에 나왔던 카드들이지만 이 셋은 별 연유 없이 은근슬쩍 같이 지나간다. 그리고 [[네크로즈]]의 레벨 5 의식 몬스터로 네크로즈화되었는데 다른 네크로즈들은 상향을 받거나 원본 자체가 워낙 강력하여 사기 소리를 듣는 반면, 이 카드는 오히려 하향되어 전혀 투입되지 않아 완전히 공기가 되었다. [[링크 소환]]이 도입된 이후에 이 카드와 효과가 비슷한 [[데터네이트 딜리터]]가 나왔다. 링크 3이어서 소환하기 좀 더 까다롭고 사이버스족 종족 제한이 걸려 있지만, 해당 카드는 링크 3 이상의 몬스터를 제외하면, 속성 상관없이 앞면 표시의 몬스터와 전투만 실행하면 바로 파괴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Live2D 연출이 추가됐다. 다리 관절이 움직이는 연출로 상당히 공들였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 1 -싱크로 각성!!- || DT01-JP035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10 || GS02-JP010 || [[노멀]][br][[골드 레어]] || 일본 || 절판 || || [[듀얼 터미널]] -크로니클Ⅰ 각성의 장- || DTC1-JP026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 GDB1-JP030 || [[골드 레어]] || 일본 ||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 Preview || DTP1-EN03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숨겨진 세력|Hidden Arsenal]] 1 || HA01-EN026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1 || DT01-EN035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텍스트 에라타(1) || || Turbo Pack: Booster Seven || TU07-EN000 || [[얼티미트 레어]] || 미국 || 텍스트 에라타(2) || || [[골드 시리즈]] 2010 || GS02-KR010 || [[노멀]][br][[골드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숨겨진 세력]] 1 || HA01-KR026 || [[시크릿 레어]] || 한국 || || || 내셔널 챔피언십 2010 TOP 8 || EV10-KR006 || [[시크릿 레어]] || 한국 || || == 관련 카드 == === [[A·O·J#A·O·J 코어 디스트로이|A·O·J 코어 디스트로이]] === === [[벨즈#벨즈 골렘|벨즈 골렘]] === 카타스톨이 [[벨즈]]에 감염된 형태. === [[네크로즈#카타스톨의 네크로즈|카타스톨의 네크로즈]] === [[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