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호르몬]][[분류:두문자어]] [목차] == 개요 == '''항이뇨 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ADH), '''알기닌 바소프레신'''(Arginine Vasopressin, AVP) 또는 단순히 '''바소프레신'''(Vasopressin)은 체내에서 이뇨(diuresis)[* 수분을 조절하기 위해 소변을 배출하는 것.] 작용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호르몬]]이다. [[시상하부]]에서 합성되어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며, 호르몬이 분비되면 콩팥에서 재흡수되는 수분의 양을 늘리고 이로 인해 소변의 양이 줄어들고 혈장의 삼투압을 낮춘다. == 수용체 == ADH 수용체(vasopressin receptor)에는 V,,1,,, V,,2,,, V,,3,,의 3가지 subtype이 있다. 이들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이다. * V,,1,,은 혈관 평활근(vascular smooth muscle)에 주로 분포하며, 혈관 평활근의 수축을 통하여 혈압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 V,,2,,는 [[콩팥]]의 집합관에 주로 분포하며, 물을 흡수하는 아쿠아포린(aquaporin)의 삽입을 통하여 콩팥에서 물의 재흡수를 촉진한다. * V,,3,,는 [[뇌하수체]] 전엽에 분포한다. ADH는 이러한 작용을 통하여 혈압을 높이고, 혈장의 삼투압을 낮춘다. == 분비의 조절 == 우리 몸에는 혈압을 측정하는 압력수용기(baroreceptor), 삼투압을 측정하는 삼투수용체(osmoreceptor)가 존재한다. 이러한 수용체에 반응하여 뇌하수체에서 ADH가 분비되는데, 혈압이 낮을 때, 혈장 삼투압이 높을 때 ADH의 분비가 촉진된다. 또한, 안지오텐신(angiotensin)도 ADH의 분비를 촉진한다. == 일부일처 호르몬 == 바소프레신은 [[일부일처제|일부일처]]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며 결혼한 배우자 간의 유대감을 유지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한다. 예컨데, 난교를 하는 습성이 있는 산쥐의 경우 바소프레신 수용체의 수치가 낮으며, 반대로 일부일처제를 유지하는 일부 들쥐는 바소프레신 수용체의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6/03/2013060303221.html|수치]]가 높다고 한다. [[쌍둥이]]를 대상으로한 스웨덴과 핀란드의 대규모 유전자 프로젝트를 보면 바소프레신을 받아들이는 양이 사람들마다 유전적으로 다른데, 바소프레신 수용체의 양이 적은 사람이 파트너에 충실하지 못했다고 한다. 유전자 연구마다 수치의 차이는 있지만 최소한 네 명 중 한 명은 일부일처제에 적합하지 않다고 한다. [[https://youtu.be/lTxCdn8Pnno?t=474|영상]] 다만 인간, 여우원숭이 등 영장류의 경우 바소프레신이 일부일처제에 [[https://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1pHJZUutm6MJ:https://www.sciencetimes.co.kr/news/%25EC%2598%2581%25EC%259B%2590%25ED%2595%259C-%25EC%2582%25AC%25EB%259E%2591%25EC%259D%2598-%25EB%25AC%2598%25EC%2595%25BD-%25EB%258F%2599%25EB%25AC%25BC%25EB%25A7%2588%25EB%258B%25A4-%25EB%258B%25A4%25EB%25A5%25B4%25EB%258B%25A4/&cd=2&hl=ko&ct=clnk&gl=kr|크게 관여하지는 않는다는]] 후속 연구 결과가 있다. 이에 과학자들은 배우자와의 유대감이 영장류에게 있어서는 생태학적 요인이나 다른 뇌 화학물질의 관여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단순 주사하는 것만으로는 인간 남성에게는 바소프레신이 소변 양을 줄이는 것 그 이상의 영향은 주지 못한다고 한다. 바소프레신으로 직접적인 뇌 변화를 주려면 뇌에 직접 바소프레신을 투여해야 하는데, 이는 실험쥐에게는 가능해도 인간에게는 여러 윤리적 문제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관련된 질병 == * [[요붕증]](DI, Diabetes Insipidus) * [[항이뇨호르몬 분비이상 증후군]](SIAD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