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WEC LMGTE 클래스 참가 팀)] ||<-4><:> '''{{{#646466 AF 코르세}}}'''[BR]'''{{{#646466 AF Corse}}}''' || ||<-4><#FFF> [[파일:AF Corse logo.jpg|width=337]] || ||<-3><#D40000> '''{{{#FFFFFF 설립년도}}}''' || '''1995년''' || ||<-3><#D40000> '''{{{#FFFFFF 본부}}}'''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엔차 || ||<-3><#D40000> '''{{{#FFFFFF 파트너 팀}}}''' || [[파일:cetilar2.png|width=200]][* 2021년부터 AF 코르세와 협력한다.] || ||<-3><#D40000> '''{{{#FFFFFF 국적}}}'''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3><#D40000> '''{{{#FFFFFF 감독}}}'''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아마토 페라리 || ||<#D40000><|5> '''{{{#FFFFFF 드라이버 [br] {{{-3 (2023)}}}}}}''' || ||<#D40000> '''{{{#FFFFFF GTD}}}''' ||<#D40000> '''{{{#FFFFFF 21번}}}'''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루이 페레즈 콤팡 [br]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미겔 몰리나 [br]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사이몬 만 [br]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프란체스코 카스텔라치 || ||<#D40000><|3> '''{{{#FFFFFF LMGTE-Am}}}''' ||<#D40000> '''{{{#FFFFFF 21번}}}'''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스테파노 콘스탄티니 [br]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사이몬 만 [br]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울리시 드 포 || ||<#D40000> '''{{{#FFFFFF 54번}}}''' || [[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토마스 플로어 [br][[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프란체스코 카스텔라치 [br]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다비데 리곤 || ||<#D40000> '''{{{#FFFFFF 83번}}}'''[* [[리차드 밀]] AF 코르세]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루이 페레즈 콤팡 [br]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릴루 와두 [br]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알레시오 로베라 || ||<#D40000><|2> '''{{{#FFFFFF 차량 [br] (2023)}}}''' ||<-2><#D40000> '''{{{#FFFFFF GTD}}}''' || 페라리 296 GT3 || ||<-2><#D40000> '''{{{#FFFFFF LMGTE-AM}}}''' || [[페라리 488 GTE]] EVO[* 2020년에 EVO 킷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 ||<-4><#FFF> '''{{{#000000 AF 코르세의 우승 기록}}}''' || ||<-3><#D40000> '''{{{#FFFFFF 드라이버 [br] (LMGTE-Pro)}}}''' || '''2012, 2013, 2014, 2017, 2021, 2022''' || ||<-3><#D40000> '''{{{#FFFFFF 드라이버 & 팀 [br] (LMGTE-Am)}}}''' || '''2016, 2019-20, 2021''' || ||<-3><#D40000> '''{{{#FFFFFF 드라이버 & 팀 [br] (LMP2 PRO/AM)}}}''' || '''2022'''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PF GN and Ferrari drivers.jpg|width=100%]]|| [[레이싱 드라이버]]였던 아마토 페라리[* 엔초 페라리와는 관련없다. '페라리'는 이탈리아에서 3번째로 흔한 성씨다.]가 1995년에 자신의 이름 약자인 AF를 따서 설립한 GT 레이싱 팀이다. 2000년대 전반까지는 [[마세라티 4200 GT]] 등을 운용하였으나 200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페라리와 협력해 차량을 운용하여 팀을 이어나가고 있다. 2020년까지 SMP 레이싱과 협력하다가 세틸러 레이싱을 협력 레이싱 팀 및 스폰서로 맞이하였다. 대표적인 참가 시리즈로 [[WEC]], [[DTM]]이 있으며, 유로피언 [[르망 시리즈]], [[GT 월드 챌린지 유럽]] 시리즈가 있다. [[스쿠데리아 페라리]]처럼 페라리가 운영하는 공식적인 페라리의 팩토리 팀은 아니지만 오랫동안 페라리와 협력하여서 준공식 팩토리 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2023년부터 [[페라리]]가 [[르망 하이퍼카]]로 내구 레이스 귀환을 발표하고 AF 코르세와 협력해 참가하면서 메인 팩토리 팀으로 승격되었다. == 역사 == === [[WEC]] === ||[[파일:AF Corse1.jpg|width=100%]]|| || 2020 '스피릿 오브 르망 상'을 받는 AF 코르세의 수장,[br] 아마토 페라리 || '''이 팀이 가장 유명한 이유이자 대표적인 참가 시리즈.''' ==== LMGTE-Am ==== ==== LMGTE-Pro ==== ||[[파일:2019AF Corse.jpg|width=100%]]|| || '''르망 24시 3승 달성''' || [[애스턴 마틴 레이싱]]과 함께 WEC 설립년도인 2012년부터 참가했던 팀이다. 차량은 기존 WEC 재설립 이전부터 GT2에서 사용되던 F458 GT2였으며 2012, 2014 르망에서 51번이 모두 우승을 차지하였다. 참고로 토니 빌렌더와 [[지안카를로 피지켈라]],지안마리아 브루니[* 현재 LMGTE Pro에 참가하는 포르쉐 GT 팀 91번 드라이버, F1에선 [[미나르디]]에서 잠깐 있었다.]가 2012,2014 우승의 주역이다. ||[[파일:AF2015.jpg|width=100%]]|| 2015 시즌부터 러시아의 레이싱 팀인 SMP 레이싱과 협력하여 리버리에 SMP 레이싱의 로고와 푸른 색이 첨가되었다. ||[[파일:488GTE.jpg|width=100%]]|| 2016 시즌부터 488 GTE로 세대 교체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GTE에 비해 에어로 규정이 완화된 덕에 스포일러와 디퓨저가 더 커졌다. 마침 [[포드 GT]]가 50주년 컴백을 하면서 66년 르망에 이루어졌던 포드 V 페라리를 볼지 많은 이들이 기대를 하였다. 다만 2승을 차지했던 458 GT2와는 달리 488 GTE로 변경된 뒤로는 488의 데뷔 전인 실버스톤과 스파에서 보인 모습까지는 좋았다가 르망은 전멸 당해 미국에서 넘어온 리시 82번이 포드 V 페라리를 찍는 전개가 되었고, 17년 르망은 포드 GT와 같이 빠르다는 이유로, BoP로 떡너프를 먹고 르망에서 좀처럼 힘쓰지 못해 그럭저럭 아쉬운 퍼포먼스를 보였다. 물론 시즌 중에는 여러모로 괜찮은 모습을 보여 2017 WEC 시즌 팀 우승을 이루었다. ||[[파일:ferrari-488-gte-evo.jpg|width=100%]]|| 2018 시즌부터 EVO 킷을 장착하여 차량의 에어로를 개선시켰다. 전체적으로 퍼포먼스가 괜찮았으나 BoP도 만만찮게 적용되었었다. 2018년 르망에는 특별히 WEC의 51번,71번 차량에 이어 52번 차량도 투입하였는데 드라이버 라인업에 [[안토니오 지오비나치]]가 있었다. 최고 성적은 52번의 5위로 아쉽게 마무리. 2019년 르망에선 간만에 르망 24시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 우승으로 르망 LMGTE Pro 3승을 달성하면서 역대 참가했던 르망 LMGTE Pro 팀들 중 르망 우승 횟수가 가장 많은 팀이 되었다. 20년 르망도 51번이 [[애스턴 마틴 레이싱]]의 95번과 치열한 경쟁을 하며 1위 자리를 노렸지만 아쉽게도 95번에게 1위를 내주며 2위로 마무리 지었다. ||[[파일:2021-FIA-WEC-AF-Corse-Ferrari-Livery-1.jpg|width=100%]]|| 2021 시즌부터 SMP 레이싱과 계약이 끝나고 새로운 스폰서로 세틸러 레이싱을 맞이하였다. 그리고 처음으로 71번 대신 52번을 엔트리하였다. 스파 6시간 경기에서 2위,3위를 차지하여 괜찮은 시작을 하고있다. BoP는 변경사항이 없다. 8시간 포르티망에서는 51번이 퀄리파잉에서 2위를 차지하고 레이스에서 92번과 91번을 따돌리며 1위를 차지하였다! 2021년 르망 24시에서 긴 시간 동안 콜벳 63번과의 경합하며 GTE Pro에서 우승하였다. [youtube(ctJ6OTUIaYE)] LMGTE Pro 최종전인 2022년 바레인 8시에서는 52번이 우승하였으며, 51번이 5위로 들어오면서 51번도 마지막 LMGTE 드라이버 챔피언을 가져가며 좋은 마무리를 거두었다. ==== LMP2 ==== ||[[파일:AF_CORSE_83_Sebring_1.jpg|width=100%]]|| 하이퍼카 클래스에 진입하기 직전 해에 참가하였으며 다른 팀들[* [[포르쉐 펜스키 모터스포트]], 팀 WRT 등]과 마찬가지로 LMP2로도 출전할 예정이다. 섀시는 당연히 [[오레카 07]]. ELMS에도 출전할 예정이며 드라이버 라인업 또한 완성했다. GTE-Am 클래스 83번 488 GTE 리버리와 마찬가지로 측면 모습이 같은데, [[욱일기]]가 연상되는 점이 논란으로 여겨진다. ELMS LMP2 PRO-Am 클래스 챔피언 획득에는 실패했으나, WEC LMP2 PRO-Am 클래스 챔피언 획득에 성공했다. ==== 하이퍼카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페라리 AF 코르세)] === [[DTM]] === ==== 2021 시즌 ==== ||[[파일:Alex-Albon-PA1.jpg|width=100%]]|| || 테스트 중인 알렉산더 알본의 23번 페라리 488 GT3 EVO || ||[[파일:리암 로슨 DTM.jpg|width=100%]]|| || 주행 중인 리암 로슨의 30번 차량 || 2021 시즌부터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레드불 레이싱]]과 제휴를 맺고 488 GT3 EVO로 DTM에 참가할 예정이다. 드라이버는 [[알렉산더 알본]]과 닉 캐시디, 리암 로슨으로 결정되었다. 2021년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 팀 || 드라이버 || || 알파타우리 AF 코르세 || [[알렉산더 알본]], [[닉 캐시디]] || || 레드불 AF 코르세 || 리암 로슨 || 라우지츠링 테스트에서 알본이 3위를 기록했다. ||<|4> 공식 결과 || || 시즌 || 라운드 || 드라이버 || 예선1 || 예선2 || 레이스1 || 레이스2 || ||<|2> 2021 ||<|2> 1 || 리암 로슨 || P7 || P2 || P1 || P14 || || 알렉산더 알본 || P14 || P12 || P4 || P7 || '''2021년 DTM 컨스트럭터 챔피언을 차지했다!''' ||<|5>선수별 결과 || || 선수 || 출장 || 우승 || 포디움 || 포인트 || 순위 || || 리암 로슨 || 풀타임 || 3회 || 10회 || 227pts ||<#cac4ce> 2위 || || 알렉산더 알본 || 7회[* [[노리스링]]전 불참] || 1회 || 4회 || 130pts || 6위 || || 닉 캐시디 || 1회[* 노리스링전 참가] || 0회 || 0회 || 11pts || 16위 || ==== 2022 시즌 ==== ===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 === ==== GTD ==== === 그외 모터스포츠 시리즈 === * [[GT 월드 챌린지 유럽]]에도 출전중이다. [[분류:모터스포츠 팀]][[분류:페라리]][[분류: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