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AGM-62 Walleye}}} [[파일:051117-F-1234P-031.jpg]] 1962년 [[미국]] 마틴 마리에타[* 후에 록히드 사와 합병되어 록히드 마틴이 된다.] 사에서 개발한 공대지 유도폭탄. 이름은 농어목 어류인 월아이 피시에서 유래되었다. == 상세 == 1960년대부터 1990년대 베트남 전쟁과 걸프 전쟁때 사용된 TV유도 활강폭탄이다. 비슷한 시기에 사용되던 [[AGM-12 불펍]] 공대지 미사일은 발사 후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유도해 목표물을 맞춰야되는 단점이 있었기에 미 해군에선 발사 후 곧바로 항공기가 이탈할수있는 이른바 [[Fire & Forget|발사 후 망각]] 능력을 갖춘 정밀 유도 무기가 필요했다. 곧바로 1963년 미 해군 차이나 레이크 병기연구소(NAWS)에서 [[A-4 스카이호크|YA-4B 스카이호크]]에서 테스트를 시행, 전탄 명중을 기록하며 1966년 해군과 바로 계약을 맺게 되었고 1967년 미 해군과 미 공군에 배치되었다. == 파생형 == 월아이 I : 초기 생산형. 825 파운드 고폭탄두를 장착했다. 월아이 I ER : 월아이 I의 사거리 연장형. 월아이 I ERDL : 월아이 I ER에서 데이터 링크 기능을 탑재한 형식. 월아이 II : 기존 월아이 I의 파괴력을 높이기 위해 2,000 파운드 폭약을 장착한 개량형. 최대 45해리[* 약 83km] 거리의 목표물을 공격할수 있었다. 월아이 II의 일부는 핵탄두를 장착했는데 600톤급 TNT 효과를 발휘하는 W72탄두를 장착했지만 핵감축 조약에 따라 1979년에 전량 제거되었다. == 운용 및 실전기록 == 1967년 5월 19일 미 해군 [[에식스급 항공모함/자매함 목록#s-15|본험 리처드]]에서 발진한 [[A-4 스카이호크]] 공격기가 월아이를 이용해 하노이에 전력 발전소에 3번 폭격을 가해 3번 모두 명중시켜 성공적인 데뷔를 했다. 이틀후인 5월 21일 해군은 월아이를 사용해 하노이 의 주요 전력원 을 파괴해 주 전력원을 차단하는데 성공했다. 발전소 같은 목표가 월아이 같은 유도무기에 취약 하다는것 을 알게 된 미 해군은 북베트남의 정교하게 건설된 철도나 교량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파괴가 힘들었던 목표를 파괴하는데 사용했지만 1,100 파운드 급 탄두로는 완파할 수 없었다. 실제로 1967년 하노이 남쪽의 탄호아 철교(Thanh Hoa Bridge)에 월아이 를 2발 직격시켰지만 견고한 구조의 [[경간#s-2|경간]]은 단 하나도 파괴 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미 해군 차이나 레이크 병기연구소(NAWS)에서는 스트리트 아이(Street Eye)라는 암호명으로 불리던 2,000 파운드급 확대 개량형 월아이를 개발해 베트남에 보냈고 [[하노이]]와 [[하이퐁]]에 대한 공습인 [[라인배커 작전]]에서 사용되었다. 이 새로운 월아이 II는 만화 캐릭터인 "Fat Albert" 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 [[파일:Wall_Eye_II.jpg|width=100%]] || || {{{#white '''월아이 II를 투하중인 [[A-6|{{{#FFFFFF A-6E 인트루더}}}]]'''}}} || == 기타 == TV 유도무기의 시조격 되는 월아이는 개량을 거듭해왔지만 시대에 뒤떨어지는 성능 탓에 점차 [[AGM-65 매버릭]]에 자리를 내어주고 퇴역하였다. == 관련 문서 == [[A-4 스카이호크]] [[A-6]] [[A-7]] [[F-4 팬텀 II]] [[F/A-18]] [[분류:폭탄]][[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미군/장비]][[분류:1963년 공개]][[분류:1967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