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AMC 시어터스'''}}} [br] '''AMC Theatres''' || ||<-2> [[파일:AMC Theatres 로고.svg|width=70%]] || || '''정식 명칭''' ||AMC 엔터테인먼트 홀딩스 주식회사 || || '''영문 명칭''' ||AMC Entertainment Holdings, Inc. || || '''설립일''' ||[[1920년]] [[1월 1일]] ([age(1920-01-01)]주년) || || '''업종명''' ||[[지주회사]] ([[멀티플렉스]] [[영화관]] 영업) || || '''위치'''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 '''상장 여부''' ||상장기업 || || '''기업 규모''' ||'''[[대기업]]''' || || '''상장시장''' ||[[뉴욕증권거래소]] ([[2010년]] [[7월 14일]] ~ ) || || '''종목코드''' ||[[https://www.nyse.com/quote/XNYS:AMC| NY: AMC]] || || '''링크''' ||[[https://www.amctheatre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amctheatre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twitter.com/amctheatre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 [[https://www.instagram.com/amctheatre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user/amctheatre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pinterest.co.kr/amctheatres|[[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width=25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기업]]. '''[[미국]] 최대이자 동시에 전 세계 최대의 [[멀티플렉스]] [[영화관]] 체인'''이다. == 상세 == [[1920년]] 세워진 [[영화관]]으로, [[미주리]]주 [[캔자스시티#s-2.1|캔자스시티]]에서 창립되었다. [[1929년]] [[세계 대공황]] 때 망하기 직전까지 갔다가 어찌어찌 버텨냈고, [[1948년]] [[파라마운트]] 판결로 영화관 - 배급사 간 겸업이 불가능해지면서부터 조금씩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창업주 세대가 전부 죽고 난 이후인 [[1961년]]부터 본격적으로 [[M&A]]와 공격적인 확장을 통해 [[미국]] 최대의 영화관 체인이 되었다. [[유럽]]에도 진출하여 미국에 8,600개 스크린, 유럽에 2,400개 스크린을 가지고 있는 그야말로 전 세계 최대의 멀티플렉스 체인으로 성장. M&A와 확장을 통해 성장했기에 자금이 부족할 때가 많았으나 어찌어찌 버티다가 [[2010년]]이나 되어서야 [[주식시장]]에 [[상장(주식)|상장]]했다. [[2012년]] [[중국]] [[완다그룹]]한테 통째로 인수되었고, [[2017년]] 기준으로 완다그룹이 75%를 가진 [[대주주|최대주주]]이자 경영권을 가지고 있는 경영주체가 되었다. 중국 완다그룹은 중국 내에서 3,500개 스크린을 가지고 있고 이외에 이리저리 인수한 영화관이 많아 완다그룹의 총 스크린 수는 대략 1만 7,000개 이상으로, 완다그룹이 '''전 세계 최대 멀티플렉스 그룹'''이 되었다. 2021년 완다그룹은 [[시진핑]]의 압박으로 AMC 지분을 정리해서 대부분을 매각하였다. 2022년 기준 AMC의 최대 주주는 미국 투자회사인 [[뱅가드]]이다. [[2022년]]에 사업상 관련없는 네바다주 금광업체 하이크로프트 마이닝 홀딩스 지분 22%를 2천790만 달러(약 347억원)에 매입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316077700075?section=international/all|#]] 이 때문에 '밈주식' 열풍을 탄게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 영화관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mctheatersempire25.jpg|width=100%]]}}}|| || '''뉴욕시 맨하탄에 있는 AMC 영화관 엠파이어 25'''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96273dc2cd95caffbc991647f4c6d77--cinema-theatre-cinema-room.jpg|width=100%]]}}}|| || '''AMC의 한 스크린''' || AMC 영화관의 가장 큰 특징은 넓은 좌석간격, 낮은 층고에 있다. 열 간 좌석간격이 넓다보니 뒤쪽 열에 앉으면 스크린이 엄청나게 작아지고, 그렇다고 앞쪽 열에 앉으면 [[목디스크]]가 오는 해괴하기 짝이 없는 것이 AMC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런 영화관이 영화관 표값을 13달러 또는 15달러 씩 받아먹는다. [[팝콘]] 가격도 한국의 10달러 수준이 아닌 한국 라지 사이즈과 같은 사이즈 기준 25달러 씩 받아먹는다. [[2018년]]부터 [[미국]], [[영국]] 지점들을 [[가상현실]] [[영화]] 상영이 가능하게 개조할 예정이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H41&newsid=02607606616064384|기사]] [[2020년]] [[3월 17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따라, [[미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 최대 [[멀티플렉스]] 회사인 AMC 시어터스와 [[리걸 엔터테인먼트 그룹]]을 시작으로, [[미국]] 전국의 [[영화관]](약 4,000여개 극장, 4만 2,000개 [[스크린]])들이 '''무기한 영업을 중단하고 영화관 폐쇄에 들어간다'''고 발표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479870|기사]] == 영화관 요금 == 가맹점마다 조금씩 다른데 2D 영화 기준 보통 12.5달러 ~ 15달러 (한화 1만 5천 ~ 1만 8천원)이다. [[IMAX]]는 좌석당 25달러 (한화 3만원). 미국 [[영화관]]들이 다 그렇듯이 예매는 [[판당고]]를 통해서 진행한다. 골 때리는 건 절반 정도의 지점은 아예 예매는 되는데 '''좌석 지정을 할 수가 없다.''' 좌석은 선착순으로 아무렇게나 들어가서 앉으면 장땡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AMC에는 아예 좌석 잡으려고 입장 전부터 줄을 선다. [[새치기]]는 당연히 발생하고 좌석 쟁탈전까지 벌어진다. 따라서 해리포터 같은 대작 영화를 볼 때에 심심치않게 새벽부터 줄을 서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중요한 전화가 와서 잠시 문 밖을 나갈때 자리 도둑 오는거 같다며 전화를 끊는 진풍경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AMC에 익숙한 [[미국인]]들이 [[한국]]에 관광와서 한국 [[영화관]]을 보면 "아주 평화롭다"는 평가를 내려주는 경우가 많은데, 바로 이 때문이다. 최근에는 좌석 예매가 가능한 곳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여러 영화를 볼 때에 그냥 상영관 밖을 나가서 다른 상영관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시간만 된다면 모든 영화를 볼 수 있기는 하다. == 특별관 == * [[IMAX]]: * [[ATMOS]]: * [[Dolby Cinema]]: == 기타 == [[분류:미국의 기업]][[분류:미국의 영화관]][[분류:다롄완다그룹]][[분류:미주리 주]][[분류:캔자스시티]][[분류:뉴욕증권거래소상장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