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프랑스 기갑차량)] ||
[[파일:Musée des Blindés AMX 13.jpg|width=100%]] || || '''Char de 13t 75 modèle 51'''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7vgC23fT5oA)] || || '''AMX-13 기동 영상''' || 1950년대에 개발된 [[프랑스]]의 [[경전차]]. == 배경 == [[https://www.youtube.com/watch?v=2uMhQ815POQ|전차설명 영상 1편]] [[https://www.youtube.com/watch?v=Jfi2lU3m720|전차설명 영상 2편]] 프랑스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에 겨우 이름을 올리긴 했지만 전후 [[프랑스군]]의 전차 전력 대부분은 [[5호 전차 판터|판터]] 같은 [[독일]]로부터의 노획품이나 [[미국]]이 싸게 넘긴 수입품들이 점하고 있었다. 2차 대전이 끝난 직후에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터졌고 [[알제리]]에도 [[알제리 전쟁]]이 발발했으며, 국가가 혼란스러운 와중에 [[냉전]]도 시작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프랑스는 공중수송으로 빠르게 배치할 수 있고 유연성 있는 경전차를 개발하기로 하였으며 이 경전차가 경우에 따라 [[대전차 자주포]]의 역할도 맡을 수 있도록 체급에 비해 큰 포를 장착하기로 한다. ||
[[파일:amx-13_magazine2.jpg|width=100%]] || || '''AMX-13의 자동 장전 장치 구조도''' || 1947년에 프랑스 국방부는 공수가 가능하고 75mm급의 주포를 장착할 수 있는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새로운 경전차 개발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여기에 [[AMX]], [[바티뇰-샤티옹]], 소뮤아, 로렌-디트리히 등의 회사들이 참여하였다. 최종적으로 AMX사의 프로토타입이 경쟁에서 승리하여 채택되었는데, 바로 이 전차가 AMX-13의 기반이 되었다. 채택된 이후 설계 일부가 수정된 다음에 1954년부터 1964년까지 생산된 AMX-13 전차는 양산된 전차 중 세계 최초로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parent_no=1&bbs_id=BBSMSTR_000000001001&ntt_writ_date=20140128|리볼버식 자동 장전 장치]]를 사용하는 채택된 전차다. ||
[[파일:75mm_CN-75-50_L/61.5.png|width=100%]] || || '''CN-75-50 전차포[* '''"CaNon 75 mm Modèle 1950"'''의 약자.'''75mm SA 50''' ('''"75 mm Semi Automatique Modèle 1950"'''의 약자)이라고도 불린다.]''' || 주무장으로는 이미 프랑스군이 사용하고 있던 [[5호 전차 판터|판터]]들의 [[7,5cm KwK 42|7,5cm KwK 42 L/70]] 전차포를 기본으로, 포신장을 줄이고 요동포탑에 잘 들어가도록 구조 변경을 거친 75mm CN-75-50 ([[SA 50]]) 강선포를 장비했다. 해당 강선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SA 50]] 문서 참고. CN-75-50 전차포는 괜찮은 수준의 관통력과 보병지원에 있어 괜찮은 수준의 고폭탄 화력을 보였으나 [[T-54]]나 [[센추리온 전차]]같은 [[중형전차]]급 [[1세대 전차]]들의 전면장갑을 관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기에 결국 75mm보다 위력적인 90mm [[CN 90]] 저압포를 다는 개량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90mm 장착형과 더불어서 발전하는 냉전기 기갑전력에 맞춰서 105mm [[CN 105-57]] 강선포와 연비 높은 [[디젤]] 엔진을 탑재한 AMX-13/105 Modèle 58이 70년대 초에 나오기도 했지만 이 모델은 [[네덜란드]]와 [[아르헨티나]]만이 운용했다. 87년에 최종사양이 엔진을 바꾸고 현대화를 거쳐 개량 혹은 생산되었다. 차체 오른쪽 전방에 위치한 270마력 엔진은 프랑스제이다. 이 엔진은 마력은 낮지만 AMX-13의 가벼운 중량으로 최고 시속 60km 수준의 속력을 낼 수 있었고 작고 평평한 크기로 AMX-13의 자체높이를 낮출 수도 있었다. AMX-13의 최대 장갑은 전면과 포탑의 40mm에 불과했지만 준족과 강력한 펀치력, 저렴한 가격을 갖추어 프랑스 이외에도 25개국에 걸친 수출 실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스라엘군]]에 팔린 것들이 유명하다. 이외에도 대공전차, 가교전차, [[구축전차]], [[자주포]], [[APC]] 등 30여종이 넘는 배리에이션을 가지고 있어 지금도 현역에서 버티는 녀석들이 있을 정도로 질긴 생명력을 자랑한다. 이 전차는 보병지원용 전차로써 경전차의 유용성을 증명해냈고 잘 준비된 경전차가 체급이 큰 전차를 상대로도 어느 정도 자기 방어 수준의 전투를 할 수 있다는 사실도 보여주어 냉전기동안 경전차의 종말을 늦췄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벌어지는 현대전에서 '''중전차가 할수 없는 일'''을 가능하게 하는 경전차가 부활하는 초석을 닦았다고 할수있다. == 개발상의 문제와 해결 == 당연하지만 45톤급 판터가 사용하던 큰 주포[* 판터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이 주포는 판터가 사용하기에도 상당히 큰 주포였다. 오히려 [[6호 전차 티거]]같은 중전차에 더 어울릴 주포였지만 이미 티거에는 8.8cm KwK 36을 장착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배치 계획은 없었다.]를 13톤급의 가볍고 작디 작은 차체에 결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고, 특히 작은 차체에 들어맞는 작은 포탑에 이런 주포를 장착하는건 매우 어려웠다. 물론 2차 대전기의 독일군처럼 포탑을 없애고 전투실을 차체에 고정한 차체에 포를 설치하는 방식의 무포탑 [[구축전차]]를 만들 수도 있었겠지만, 무포탑 전차는 대응능력이 포탑이 달린 일반적인 전차보다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었고 당시 프랑스군은 고속과 유연성을 위해 회전포탑을 장착하고 싶어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랑스 기술자들은 [[요동 포탑]] 설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요동 포탑의 채용으로 1,650mm의 포탑링을 가졌던 판터의 75/70포를 1,450mm의 포탑링을 가진 경전차의 포탑에도 충분히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주포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 요동 포탑의 특성상 일반적인 전차에 비해 포를 좀 더 포탑 높은 곳에 장착할 수 있었는데 이는 [[헐다운]] 자세를 취할때 피격면적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 이 전차에 적용된 두 번째 혁신은 세계 최초로 주포에 [[자동 장전 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요동 포탑은 구조상 포탑 상부와 주포가 일체형으로 붙은 모양이라 주포가 어디를 조준하고 있어도 항상 주포-포탑-자동장전장치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MBT-70]]에 쓰인 버슬 탄약고 방식의 자동 장전 장치를 탑재한 일부 3세대 전차들도 한발 쏘고 나면 구조상 주포가 일정 각도로 정렬되어야만 재장전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요동 포탑은 항상 주포와 장전기의 각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주포를 정렬하는 과정이 없다.] 이를 통해 교전 중 연사속도가 비약적으로 상승했고, 좁은 경전차에서 탄약수를 없애 내부 공간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자동 장전 장치의 구조는 [[리볼버]] 권총의 메커니즘과 유사한 방식이라 외부 동력 없이 반동에 의해 차탄 장전과 탄피 배출이 이루어졌다. 포탑의 후방 버슬에는 6발의 준비탄을 넣을 수 있는 리볼버 탄창이 2개 들어가서 최대 12발의 포탄을 빠르게 발사하는게 가능했다. 하지만 [[리볼버]] 권총과 유사한 메커니즘이 적용된 만큼 재장전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구조상 포탄 삽입부는 포탑 외부 지붕에 위치했기 때문에 준비탄 12발을 다 쓴 상태에서 탄창을 재장전하려면 무조건 승무원이 전차 밖으로 완전히 나가서 포탑 지붕의 해치를 열고 포탄을 수동으로 넣어야 했다. 이 문제로 AMX-13은 최소한 2대가 한 조를 이루어 운영하였으며 재장전 때에는 안전한 곳으로 가서 한대가 재장전할 동안 다른 한대가 지켜줘야 했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요동 포탑]]을 탑재했기 때문에 요동포탑의 특성상 생기는 문제들도 피할 수 없었다. 요동포탑은 포탑이 상/하부 부품으로 두 조각으로 갈라진 것이나 다름없어서 방어력이 떨어지지만, 어차피 방호력을 우선 목표로 하지 않는 경전차라 이에 따른 문제점은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두조각으로 포탑이 나뉜 구조상 [[화생방]] 방호력이 전무하다는 문제는 여전했다. 그리고 요동 포탑의 구조상 부각은 -6도가 한계라서 [[헐다운]]을 크게 고려하여 만든 전차로서는 부각이 좋지 않은 편이었다. 이 전차의 승무원은 신장이 최대 170cm로 제한되었다.[* 경전차 치고 나쁘지 않은 제한이다. 전차병은 원래 키가 작은 병사 중에서 모집한다. 하물며 [[대한민국 국군]]의 [[K-1 전차]]역시 선발 조건에 신장 제한이 있다.] 작은 포탑에 큰 주포를 넣었기에 승무원 3명은 별도로 떨어져 앉았고 포수와 전차장은 서로 볼 수도 없었다. == 제원 == ||
'''개발사''' ||이씨 레 무리노 조병창[* Ateliers de Construction d'Issy les Moulineaux, [[AMX]]]|| || '''제조사''' ||이씨 레 무리노 조병창|| || '''중량''' ||14.8t|| || '''전장''' ||4.88m(포 길이까지 합쳤을 때 6.36m)|| || '''전폭''' ||2.35m|| || '''전고''' ||2.51m|| || '''엔진''' ||소팡(SOFAM) 모델 8GXb 타입 & 8기통 실린더 (가솔린),수랭식|| || '''현가 장치''' ||[[토션 바]]|| || '''최대 출력''' ||270마력|| || '''최고 속도''' ||60km/h|| || '''톤당 마력''' ||17hp/t|| || '''항속거리''' ||400km|| || '''주포''' ||75mm [[SA 50]] 강선포 1문|| || '''부무장''' ||[[레이벨 기관총|7.5mm mod. 31 기관총]] 1정 [br] 연막탄 발사기 4개 || || '''탄약 적재량''' ||75mm 전차포탄 37발 * 75mm 철갑탄 * 75mm 고폭탄 7.5mm 기관총탄 3,600발 연막탄 12발 || || '''탑승인원''' ||(전차장, 조종수, 포수) 3명|| ||<|2> '''장갑''' ||균질압연장갑|| ||10–40mm|| == 형식 구분 == === 차체 형식 === * AMX-13(2A) : 보기륜 4개와 트레일링 아이들러 * AMX-13(2B) : 보기륜 5개와 높여진 아이들러 * AMX-13(2C) : FL-10 포탑과 리턴롤러 2개 * AMX-13(2D) : 리턴롤러 4개 * AMX-13(2E) : 리턴롤러 3개, 90mm로 무장 * AMX-13(2F) : 리턴롤러 2개, 서멀슬리브 장착 === 개량형 === * AMX-13/75(1953): FL-10 요동포탑에 75mm 강선포를 탑재했다. 처음에는 리턴롤러가 궤도당 2개 있었으나 나중에 생산된 분량에서는 3개로 늘어났다. * AMX-13.75(1954): 포탑이 [[파나르 EBR]]과 동일한 FL-11 포탑으로 변경되었으며 장전 방식도 수동 장전으로 변경되었다. 리턴롤러는 궤도당 2개 있었다. * AMX-13/90: FL-10 요동포탑에 90mm [[CN 90]] 강선포를 탑재했다. * AMX-13/105(1958): FL-12 요동포탑에 105mm [[CN 105-57]] 전차포를 탑재했다. 프랑스군은 운용하지 않고 수출만 되었다. FL-12 포탑과 105mm 주포는 오스트리아로 수출되어 [[SK-105 퀴라시어]]에도 장착되었다. * AMX-13/105: 1958년형 차량에 [[써멀 슬리브]]를 추가하고 전면 방어력을 키운 개선형 버전. 수출용으로만 만들어졌다. * AMX-13 57mm L/100 : 100구경장 57mm 속사포와 리볼버식 [[자동 장전 장치]]로 무장한 버전. 프로토타입으로만 제작되었다. 리턴롤러는 궤도당 1개 있었다. === 파생형 === ==== 경전차 ==== ===== AMX-13-M24 ===== ||
[[파일:826-324 01.jpg|width=100%]] || || '''AMX-13-M24''' || AMX-13 차체에 [[M24 채피]] 포탑을 올린 버전이다. 프로토타입이 1957년에 시험이 진행되었으며 1960년 150대가 생산되었다. 1962년까지 [[알제리]]에 배치되었다. 반대로 채피의 차체에 FL-11 포탑을 올린 전차도 제작 되었지만 이건 시제차 단계에서 개발이 끝났다. ===== AMX-13 (FL-11) ===== ||
[[파일:amx13 fl11 826103 01 photo amx.jpg|width=100%]] || || '''AMX-13 (FL-11)''' || FL-11 포탑을 장착한 버전이다. 1954년 [[인도차이나]]에 배치된 기갑장비를 대체할 필요성에 의해 개발되었다. AMX-13 차체에 [[파나르 EBR]] [[차륜형 장갑차]]의 포탑을 올린 이 경전차는 최초 5대가 만들어졌고 뒤이어 20량이 수주되었다. 하지만 [[인도차이나 전쟁]]이 끝날 즈음에야 5대의 경전차들만이 만들어져 [[모로코]] 주둔 부대에 배치되었다. 결국 1956년에 막 독립한 모로코에 전량 팔리게 되었다. ===== AMX-13 (SS.11) ===== ||
[[파일:AMX_13_SS11_in_the_Musée_des_Blindés,_France,_pic-3.jpg|width=100%]] || || '''AMX-13 (SS.11)''' || SS.11 대전차미사일을 추가한 사양이다. 당시 [[AMX-30]] 도입으로 인해 대체되고 있었던 [[M47 패튼]]의 공백을 메꾸기 위해 AMX-13을 현대화시켰다. 그 결과 나온 게 90mm 포 사양이지만, 프랑스군은 여기서 만족해 하지 않았고 SS11 미사일 네 개를 부무장으로 장착해보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따라서 SS.11 대전차미사일은 1956년에 테스트되어 1962년에 최종형태로 개발이 완료되었고 14,000개의 미사일이 생산되었다. SS.11의 사정거리는 800m에서 3500m로 당시 중장갑 장비를 관통하는데 충분한 거리를 보여주었다. 75mm 포는 그러한 미사일 운용에 있어서 부가적인 공격 수단으로 쓰였다. 다만 포수가 미사일 유도 거리를 고려해가면서 75mm 포를 운용해야 한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었다. 미사일은 80퍼센트 이상 확률로 적 전차에 맞았을 시에 어느 거리에서든 500mm의 관통력을 보였다. 하지만 초목 지역이나 시가전에서와 같이 장애물이 많은 곳에서는 미사일을 쓸 수 없다는 단점이 매우 치명적이게 되어 전선에 나서기 매우 제한적이었다. 게다가 유선유도 방식 때문에 미사일을 쏘면서 기동을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보복 사격에 매우 취약했다. 미사일 재장전에도 시간이 많이 걸렸다. 전탄을 소모하고 다시 미사일을 장착시키는 데에만 20분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시선유도방식의 미사일 발사 체계는 악조건의 기상 상태와 야간에서는 무용지물이 되었다. ===== AMX-13 (HOT) ===== HOT 대전차미사일을 추가한 사양. 첫번째 프로토타입은 HOT 발사대가 8문이며 2번째 프로토타입은 6문으로 되어있다. ==== 병력수송차량 ==== ===== AMX-13 VCI ===== ||
[[파일:Brasschaat_AMX_13_VCI .jpg|width=100%]] || || '''AMX-13 VCI''' || AMX-13의 차대를 보병수송차량용으로 쓰인 버전이다. 보병 수송 목적 이외에도 [[박격포]] 탑재 또는 [[미사일]]을 탑재해 화력을 보조하는 용도로도 쓰였다. ===== AMX-13 VTT ===== ==== 자주대공포 ==== ===== AMX-13 VTT M45 ===== AMX-13 차대 기반으로 만들어진 병력수송차 위에 M16 자주대공차량에 쓰였던 M45 포탑을 장착했다. ===== AMX-13 DCA 40 ===== 40mm 보포스 L7 [[기관포]]를 사용하는 대공전차이며 1956년에 시제기만 만들었다. ===== AMX 13 DCA 30 ===== 60년에 개발된 자주대공포이며 30mm 히스파노 쌍열포에 톰슨 CSF사의 레이더를 장착했다. ===== AMX-13 롤랑 ===== AMX-13 차대 위에 롤랑 발사대를 얹은 형태. 생산은 되지 않았고 사실상 AMX-30R의 시제형이 되었다. ==== 자주곡사포 ==== ===== AMX-105 ===== * AMX-105 A : 고정 전투실형 * AMX-105 B : 포탑형 ===== AMX-13 105 AU 50 ===== ===== AMX-13 F3 (AMX-13 AMF3) =====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amx13_155_019.jpg|width=100%]] || || '''AMX-13 AMF3''' || 프랑스군이 미국제 [[M41 HMC]] 자주포를 대체하고자 AMX-13 경전차의 차체에 [[M59 155mm 평사포|M1918 155mm GPF]] 야포(평사포) 개량형을 얹은 자주포로 13톤에서도 원활히 운용하고자 소염기를 개선하고 포 자체의 무게도 경량화하였다. ==== 공병차량 ==== ===== AMX-13 M54 ===== [[구난전차]]. ===== AMX 13 VCG ===== [[전투공병전차]]. ===== 해외 파생형 ===== * NIMDA AMX-13: 프랑스에서 구매해온 기존의 AMX-13-90에 90 주포를 제거하고 60mm HVMS 주포를 장착한 [[이스라엘]]의 IMI사에서 개발한 버전이다. * Pindad SBS: [[인도네시아]]의 Pindad 사에서 개발한 AMX-13을 기반으로 현대화한 차량으로, 기관포만을 탑재한 APC형, 122mm 로켓을 탑재한 MLR형 등의 차량이 공개된 바 있다. * AMX-13SM1: [[싱가포르]]가 수입한 AMX-13/75가 현대개수된 버전이다. * AMX-13PA5 에스코르피온: [[페루]]에서 AMX-13/105을 개량한 경전차. [[9K11 말륫카|9M14-2T 말륫카 미사일]]을 장착했다. * AMX-13PA8 에스코르피온-2: 기존의 에스코르피온을 한층 더 개량하였다. 통합사통장치를 현대개수하고 R-2 대전차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 실전 == === [[냉전]] === ==== [[모래전쟁]] ==== ==== [[중동전쟁]] ==== ===== [[수에즈 위기]] ===== ||
[[파일:French AMX 13/75 during Operation Mousquetaire in Egypt, November 1956.jpg|width=100%]] || || '''Mousquetaire 작전 당시의 프랑스군 소속 AMX 13, 1956년 11월''' || ===== [[6일 전쟁]] ===== ||
[[파일:Israeli AMX-13 on Sinai desert during Six Day War, 1967.jpg|width=100%]] || || '''6일 전쟁 당시의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AMX-13, 1967년 이집트 시나이 반도''' || ==== [[베트남 전쟁]] ==== 1971년 말, 크메르 공화국군의 첸라 II 행군 당시 베트남 인민군은 주포가 고장난 상태의 AMX 13 1대를 크메르 공화국군으로부터 노획했다. 베트남 인민군 제26기갑여단은 1972년 1월 4일 Xa Mat 통신기지를 공격할때 기관총으로 적 보병을 공격하고 엔진 소리를 크게 내 적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등 활약을 했다. 전투에서 승리한 후 베트남 인민군의 유일한 AMX 13은 수리가 불가능할 정도로 파손되어 결국 자폭처리 되었다.[[https://doanhnghiepvn.vn/quoc-te/ngac-nhien-chiec-xe-tang-phap-ma-viet-nam-tung-dung/20190513040846527|#]] [[https://www.facebook.com/hoisuhocdanlapvietnam/posts/522076541318624:0?_rdr|##]] ==== [[캄보디아 내전]] ==== ||
[[파일:Khmer National Army's AMX-13 on their way to fight off the Communist force, Cambodian civil war.webp|width=100%]] || || '''캄보디아 내전 당시의 크메르 공화국 정부군 소속 AMX 13''' || ==== [[도미니카 내전]] ==== ||
[[파일:AMX-13 Light tank during the 1965 Dominican civil war serving with the loyalists.jpg|width=100%]] || || '''도미니카 내전 당시의 왕당파 소속 AMX-13 "푸에블로", 1965년''' || == 운용국 == === [[유럽]] === ==== [[서유럽]] ==== ===== [[프랑스]] ===== ||
[[파일:AMX-13,_Musée_des_Blindés,_France,_pic-1.jpg|width=100%]] || || '''소뮤아 기갑 박물관 소장 AMX-13''' || 원조 사용국. ===== [[네덜란드]] ===== ||
[[파일:Nationaal_Militair_Museum_AMX_13_105.jpg|width=100%]] || || '''네덜란드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AMX 13/105''' || ==== [[중부유럽]] ==== ===== [[스위스]] ===== ||
[[파일:Panzermuseum_Thun_LPz_51.jpg|width=100%]] || || '''툰 전차 박물관 소장 LPz 51''' || AMX 13/75를 수입해 '''"LPz 51"[* "Lechiter Panzer 51"의 줄임.]'''이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 [[북유럽]] ==== ===== [[스웨덴]] ===== ||
[[파일:AMX 13/75 light tank during trials in Sweden, April 1952.jpg|width=100%]] || || [[파일:swedish_AMX-13.jpg|width=100%]] || || '''테스트 도중의 AMX 13, 1952년 4월''' || AMX 13/75 1대를 수입해 테스트용으로 사용했다.[[https://tanks.mod16.org/2014/09/25/reports-in-french-on-the-swedish-trials-of-the-amx-13/|스웨덴의 AMX 13 평가(프랑스어)]] === [[아시아]] === ==== [[남아시아]] ==== ===== [[인도]] ===== ||
[[파일:Cavarly_Tank_Museum_AMX_13.jpg|width=100%]] || ||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AMX 13''' || 75대의 AMX 13을 구매해 2개 분대로 편성한뒤 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사용했다. ==== [[동남아시아]] ==== ===== [[캄보디아]] ===== * [[캄보디아 제1왕국]] 1964년 프랑스로부터 약40대를 공여받았다. * [[크메르 공화국]] ||
[[파일:Three AMX 13 stand by near the Mekong-Bassac River bridge outside Phnom Penh, the Cambodian capital on March 31, 1970.jpg|width=100%]] || || '''크메르 공화국 정부군 소속 AMX 13, 1970년 3월 31일 캄보디아 프놈펜 메콩강 다리''' || ===== [[베트남]] ===== * [[베트남 민주공화국]] 상술했듯이 크메르 공화국군으로부터 1대를 노획해 사용했다. * [[베트남 공화국]] ==== [[서아시아]] ==== ===== [[레바논]] ===== * 남레바논군 ||
[[파일:South_Labanon_Army_M-50.jpg|width=100%]] || || '''남레바논군(SLA) 소속 AMX 13, 1977년 레바논''' || ===== [[이스라엘]] ===== ||
[[파일:AMX-13-latrun-2.jpg|width=100%]] || ||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AMX-13''' || == 미디어 == === 게임 === ==== [[월드 오브 탱크]] ==== ||
[[파일:external/wiki.gcdn.co/AMX_13_75_scr_2.jpg|width=100%]] || [[파일:external/wiki.gcdn.co/AMX_13_90_scr_2.jpg|width=100%]] || || [[파일:external/wiki.gcdn.co/AMX_12_t_scr_2.jpg|width=100%]] || [[파일:external/wiki.gcdn.co/AMX_13_F3_AM_scr_2.jpg|width=100%]] || |||| [[파일:external/wiki.gcdn.co/F69_AMX13_57_100_GrandFinal_render.jpg|width=100%]] || 프랑스 트리의 경전차로 등장한다. 7티어는 75mm 포를 9티어에서는 90mm 포를, 10티어에선 105mm 포를 장착할 수 있다. --게임내에서 별명은 악마의 달구지--[* 이것도 차륜 나오기 전까지 얘기지 현 시점에서도 좋긴 하지만 예전과 같은 괴물같은 포스는 아니다.]. 또한 6티어에서는 외형이 유사한 프로토타입인 AMX-12 t가 나온다. 포는 AMX-13/75의 75mm 포. 그리고 AMX-13 차체에 155mm 포를 얹어놓은 AMX-13 F3 AM이 6단계 자주포로 나온다. 그리고 그랜드 파이널 기념으로 판매한 57mm 10클립 사양인 AMX-13/57도 있다.[* 원본 역시 출시.] 어째서인지 105mm 장착 사양인 AMX-13 105가 같은 105mm에 중형전차인 [[바티뇰-샤티옹 25t|바샷티옹 25t]]보다 휴행 포탄 수가 더 많다(...). ==== [[워 썬더]] ==== ||
|| || || || '''AMX-13-M24''' || '''AMX-13 (FL-10)''' || '''AMX-13 (SS.11)''' || || || || || || '''AMX-13''' || '''AMX-13-90''' || '''AMX-13 (HOT)''' || ||<-4> || ||<-4> '''AMX-13 DCA 40''' || 포탑이 다른 AMX-13(FL-11), 일반 AMX-13, 대전차고폭탄을 쓰는 AMX-13-90, 75mm형에 HOT 대전차미사일을 탑재한 AMX-13 (HOT), 75mm 형에 SS.11 대전차미사일을 탑재한 AMX-13 (SS11), 40mm 대공포를 얹은 AMX-13 DCA/40, 채피 포탑을 올린 AMX-13-M24까지 여섯 가지 형식으로 등장한다. ==== [[스틸비스트]] ==== 모델링은 75mm 장착형이지만 90mm 포탄도 적재할 수 있으며 75mm 일반/고속철갑탄은 영거리에서 130mm/200mm, 90mm 철갑탄/대전차고폭탄은 310mm을 관통할 수 있다. 하지만 [[월드 오브 탱크]]와는 달리 등장하는 전차들은 최소 2세대 내지 3세대 전차들이니 근거리에서 측면을 사격하지 않는 이상 관통시키기는 힘들다. 게다가 논크류어블이라 이벤트성 유닛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 여러모로 [[중동전쟁]] 재현용.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프랑스 유닛으로 여러 바리에이션이 등장한다. 기본형 75mm AMX-13에 외장 미사일 발사기를 장착한 AMX-13 Harpon과 105mm를 올린 자주포, 정찰용 90mm모델, 병력수송차 버전의 VTT, 레이더를 달아둔 Œil Noir이 등장한다. 고증에 맞게 판터에서 가져온 75mm 포(AP 6)는 T-55의 전면(방어력 7~11)을 제대로 관통하지 못하지만 90mm 포는 구형 T-55의 전면을 상대할 수 있다. 다만 90mm 포라 할지라도 여전히 전면 방어력이 11이나 되는 T-55 AMV 같은 최후기형에게는 택도 없다. ==== [[아머드 워페어]] ==== 본편인 AMX-13은 등장하지 않지만 그 대신 대공사양인 AMX-13 DCA가 등장하며 또한 인도네시아에서 AMX-13의 APC 파생형인 AMX-VCI APC(때로는 AMX-13 VCI로도 불림)을 수입하여 써먹다가 너무 낡으니 현가장치 정도만 남기고 싹 리뉴얼하여 만든 SBS Pindad에 16연장 로켓 발사기를 장착한 모델이 등장한다. 제한적인 고각발사가 가능하나 로켓이 너무 느려 잘 맞지 않고 라인전을 하고 있는 적을 노리거나 그냥 근접전을 하며 16연발 미사일을 쏴대는 식으로 많이 사용된다. ==== [[도미네이션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장갑 기병(프랑스))] 냉전 시대의 프랑스 고유 유닛인 AMX-13 전차로 등장한다. ==== [[탱크타스틱]] ==== 프랑스 주력전차 트리의 첫 전차로 등장한다. ==== [[강철의 왈츠]] ==== [[강철의 왈츠/전차 소녀/경전차|경전차]]로 등장했으나 월탱에 등장한 AMX-13 F3 AM이 AMX Mk F3 자주포라는 이름으로 [[강철의 왈츠/전차 소녀/자주포|자주포]]로 2017년 6월 28일 업데이트 때 등장했다. 이후 2019년 12월 23일 [[강철의 왈츠/전차 소녀/장갑차|장갑차]]로 AMX-13 (SS11미사일 탄형)이 등장했다. === 광고 === ==== [[SK엔크린]] ==== [[https://youtu.be/sknntI96NZQ|1997년 제작된 SK엔크린 광고]]에 등장한 바 있다. 이걸 찍기 위해 제작진이 직접 프랑스에 가서 실차를 박물관서 대여해온 뒤에 촬영했다는 후문이 있다고... === 모형 === ==== [[프라모델]] ==== 1. [[엘레르]] : 프랑스 메이커 엘레르에서 1/35 스케일로 대전차 미사일 장착형 AMX-13/75 형이 발매되었으며, 1/72 스케일로는 105mm 포 장착형도 발매되었으나 발매 연식이 워낙 오래된 물건인지라 스프로킷 디테일이 좋지 않고 조립성도 나쁘다. 워낙마이너 전차인지라 재발매는 크게 기대되지 않았으며 아쉬우면 하비보스에서 발매한 EBR-10 장륜 장갑차에서 포탑을 유용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2. [[타콤]] : 2015년에 타콤 모델에서 AMX-13을, 그것도 75mm, 90mm, 75mm 대전차 미사일 장착형 3가지 바리에이션으로 동시 발매하였다. [[중국]]제 특유의 회치기를 제외하면 품질은 최신 킷답게 괜찮은 편이고 [[에칭]]도 충실하다. 다만 전차 자체가 작은 고로 부품 조립시 주의를 요한다. 궤도도 연결식으로 재현하였으나 다만 포탑의 방수포를 뺀 형태로는 완전 재현이 어렵다(실차 사진을 보면 방수포를 제거해도 방수포 고정구는 남아 있는데 타콤은 방수포를 고정구까지 연질 일체형으로 재현하여 방수포를 제거하면 고정구를 따로 재현해야 한다). 후술할 타미야 제품에 비해서는 이 부분이 메리트가 떨어지는 편. 그러나 2016년 상반기에 채피 포탑 장착형과 105mm 포탑 장착형 발매를 예고하고 있어 바리에이션에 있어서는 확실한 우위를 점할듯 하다. 3, [[타미야]] : 이에 질세라 타미야도 AMX-13/75를 발매하였다. 타미야다운 디테일과 조립성에 방수포 고정구도 재현되어 있다. 다만 이쪽은 방수포를 재현하면 포탑 상하 구동이 안된다. 가격은 타미야가 아주 근소하게 저렴하여 비슷비슷한 편이나, 추후 바리에이션 발매 여부는 불확실하다. AMX-13/75를 간편하게 좋은 퀄리티로 재현하려면 타미야, 다양한 바리에이션을 재현하고 싶다면 타콤으로 두 메이커간의 취사 선택의 여지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베트남전/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include(틀:베트남전/월맹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위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웨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오스트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싱가포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인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알제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카타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튀니지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에콰도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베네수엘라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경전차]][[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프랑스군/기갑차량]][[분류:스웨덴군/기갑차량]][[분류:인도군/기갑차량]][[분류:파키스탄군/기갑차량]][[분류:네덜란드군/기갑차량]][[분류:인도네시아군/기갑차량]][[분류:아르헨티나군/기갑차량]][[분류:이스라엘군/기갑차량]][[분류:멕시코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