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ASEAN-5(아세안-5)는 동남아시아 주요 5개국을 지칭하는 [[http://www.economywatch.com/economic-statistics/country/ASEAN-5/|단어이다.]] 여기서 주요국이란 향후 발전 가능성과 인구, 영토, 자원 등을 가진 국가들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IMF]] 등의 기관에서 설정하는 ASEAN-5 구성국은 아래와 같다. * [[인도네시아]] * [[태국]] * [[말레이시아]] * [[베트남]] * [[필리핀]] 최근 [[대한민국]]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rdark&logNo=50154638730|#]], [[일본]] [[http://www.jcif.or.jp/docs/201202.pdf|#]] 등의 기관에서도 국제적인 조류에 맞춰 이들 국가를 주목하고 아세안-5라는 단어를 차츰 사용하기 시작하고 있다. 대한민국 언론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21024173449|#]] 에서 보통 '아세안 5개국'이라고 소개하는 국가들이 'ASEAN-5'에 속하는 국가들이다. 때로는 기존 아세안 국가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아세안의 빅5'라고 부르는 언론들도 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39142|#]] [[국제통화기금|IMF]] 통계차트에서는 지역 단위에서 'ASEAN-5'단위가 존재한다. [[http://www.imf.org/external/datamapper/index.php|#]] 한국의 일부 언론에서는 아세안 주요 5개국에 필리핀 대신 [[싱가포르]]를 넣기도 하며 한국에서도 그와 같은 형태로 동남아 국가들을 초대하는 형태를 취한다.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15407|#]] 가끔 언론에서 거론되는 '아세안 5개국'에 필리핀은 누락되는 일이 있어도 베트남이 필수적으로 들어간다. 다만 필리핀이 베트남보다 경제 규모는 더 거대하다. [[2019년]] 기준으로 필리핀의 경제규모는 3,567억 달러인 반면, 베트남은 2,603억 달러이다. 베트남은 [[군사력]] 측면과 한국기업의 경제 협력 규모 때문에 한국에서 필리핀보다 인지도가 높기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서구권에서는 [[인구]]와 경제 규모를 중시하여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를 누락시키고 필리핀을 포함시킨다. '아세안-5'는 전체 경제규모에서 명목 GDP나 PPP로 러시아, 브라질, 인도와 비슷한 규모를 자랑한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만 바라본다면 '아세안-5'는 [[중국]]을 제외한 [[BRICS|브릭스]] 각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셈이다. == ASEAN-5의 기본 정보 == || 국가 || 인도네시아 || 태국 || 말레이시아 || 베트남 || 필리핀 || ||[[인구]][* 네이버 세계 인구순위 UN (2020)] ||'''2억 7,352만 3,621''' 명 ||6,979만 9,978 명 ||3,236만 5,998 명 ||9,733만 8,583 명 ||1억 958만 1,085명 || ||[[GDP|GDP(명목)]][* 세계 은행 GDP (current US$) (2019)] ||'''1조 1,192억''' 달러 ||5,436억 달러 ||3,647억 달러||2,619억 달러 ||3,768억 달러 || ||[[PPP|GDP(PPP)]][* 세계 은행 GDP, PPP (current international $) (2019)]||'''3조 3,292억''' 달러 ||1조 3,388억 달러 ||9,433억 달러 ||8,078억 달러 ||1조 3,388억 달러 || ||[[1인당 GDP]][* 세계 은행 GDP per capita (current US$) (2019)] ||4,135.6 달러 ||7,808.2 달러 ||'''11,414.8''' 달러 ||2,715.3 달러 ||3,485.1 달러 || ||[[1인당 PPP]][* 세계 은행 GDP per capita, PPP (current international $) (2019)] ||12,302 달러 ||19,228 달러 ||'''29,526''' 달러 ||8,374 달러 ||9,277 달러 ||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 ||33.1% ||44.1% ||52.5% ||'''62.3%''' ||41.9% || == [[GDP]][* [[국제통화기금|IMF]] 홈페이지 통계차트] == === ASEAN-5의 명목 GDP === || 연도 || 전체 명목 GDP (단위: 10억 달러) || ||[[2000년]] || 493.7 || ||[[2001년]] || 477.6 || ||[[2002년]] || 539.8 || ||[[2003년]] || 611.2 || ||[[2004년]] || 679.9 || ||[[2005년]] || 761.7 || ||[[2006년]] || 917.3 || ||[[2007년]] || '''1093.2''' || ||[[2008년]] || 1,277.9 || ||[[2009년]] || 1,266.4 || ||[[2010년]] || 1,577.3 || ||[[2011년]] || 1,827.6 || ||[[2012년]] || 1,957.4 || 2018년 기준으로 '''아세안-5의 경제규모는 2.44조 달러'''이다. 이것은 세계 7위 [[인도]](2.72조 달러)와 8위 [[이탈리아]](2.07조 달러) 사이의 규모이다. === ASEAN-5의 [[PPP]] === || 연도 || 전체 PPP (단위: 10억 달러) || ||[[2000년]] || 1,322.4 || ||[[2001년]] || 1,392.3 || ||[[2002년]] || 1,484.6 || ||[[2003년]] || 1,602.9 || ||[[2004년]] || 1,743.8 || ||[[2005년]] || 1,902.9 || ||[[2006년]] || '''2,075.4''' || ||[[2007년]] || 2,269.6 || ||[[2008년]] || 2,431.3 || ||[[2009년]] || 2,492.9 || ||[[2010년]] || 2,701.7 || ||[[2011년]] || 2,881.6 || ||[[2012년]] || '''3,087.2''' || 2012년 기준으로 '''아세안-5의 [[PPP]] 규모는 3조 872억 달러'''이다. 이것은 [[인도]]( 4조 7,108억 달러) 보다는 적지만 [[브라질]](2조 3,658억 달러), [[러시아]](2조 5,117억 달러) 보다는 큰 규모이다. == ASEAN-5의 경제 == ||<-5> ASEAN-5 || || [[인도네시아/경제]] || [[태국/경제]] || [[말레이시아/경제]] || [[베트남/경제]] || [[필리핀/경제]] || == 관련 문서 == * [[ASEAN]] * [[OECD]] * [[경제]] * [[싱가포르/경제]] [[분류:AS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