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포스트 말론]][[분류:2023년 음반]][[분류:빌보드 2위 앨범]][[분류:미국의 팝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 [include(틀:Post Malone 디스코그래피)] |||| {{{#fff '''{{{+1 ''AUSTIN''}}}[br]오스틴'''}}}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ustin1.jpg|width=100%]]}}} || || '''아티스트''' ||'''[[포스트 말론|[[파일:post-malone-logo-CA27A20F3A-seeklogo.com.png|width=70]]]]'''|| || '''발매''' ||[[2023년]] [[7월 28일]]|| || '''장르''' ||[[팝 록]], [[신스팝]], [[얼터너티브 록]], [[인디 록]] || || '''길이''' ||51:27|| || '''트랙''' ||17|| || '''프로듀서''' ||[[포스트 말론|Post Malone]], Andrew Watt, Louis Bell, [[맥스 마틴|Max Martin]], Rami Yacoub|| || '''레이블''' ||Mercury • [[리퍼블릭 레코드|[[파일:리퍼블릭 레코드 로고.svg|width=60px]]]]||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7월 28일]]에 발매된 [[포스트 말론]]의 다섯 번 째 정규 앨범이다. ==# 발매 과정 #== 현재 5집을 작업중이며 2023년 내로 공개될 예정이다. 새 앨범의 선공개 싱글로 보이는 'Chemical'이 발매되었는데, 꽤나 기습적으로 발매했음에도 불구하고 첫날 미국 스포티파이 6등으로 출발하는 좋은 성과를 보여줬다. 새 앨범이 이미 완성되고 이미 5월 2일에 비공개 리스닝 파티까지 했다는 루머가 돌고있다. 출처는 불명. 7월 28일에 정규 5집을 발매한다고 한다. 앨범의 이름은 본인의 본명인 오스틴 포스트에서 가져온 듯 하다. 본인 왈, 가장 도전적인 음악이고, 모든 음악의 기타를 자신이 쳤다고 한다. 5월 19일 두번째 선공개곡인 'Mourning'을 발매했다. 이어서 7월 15일, 세번째 선공개곡인 'Overdrive'도 발매했다. 이어서 7월 28일, 5집 'AUSTIN'이 발매되었다. 같은 날 [[트래비스 스캇]]도 정규 4집 [[UTOPIA(앨범)|UTOPIA]]로 돌아오며 맞대결을 하게 되었는데 화제성에서 크게 밀리고 있다. [[트래비스 스캇]]이 5년 만에 내는 정규 앨범이기도 하고, 많음 음악 팬들이 꾸준히 [[UTOPIA(앨범)|UTOPIA]]에 대해서 기대를 해온 반면에, 포스트 말론의 이번 신보는 홍보도 이전 앨범에 비하면 굉장히 적게 한 편이라 애초에 흥행을 기대하지 않고 만든 앨범이라 볼 수 있다. == 성적 == 전작 [[Twelve Carat Toothache]]와 마찬가지로 [[빌보드 200]] 2위로 진입했다. 2010년대 후반 이후로 [[Drake]]를 제외하면 [[Travis Scott]]과 더불어 유일하게 50만 장에 가까운 초동 기록이 가능한 [[힙합]] 뮤지션이었으나, 팝으로 성향이 바뀌면서 그와의 정면 대결에서 밀린 것을 통해 화력이 매우 약해졌음을 체감해볼 수 있다. [[애플뮤직]]과 [[스포티파이]] 등의 음원 플랫폼에서도 매우 저조한 퍼포먼스를 보이다가, 차트 하위권으로 빠르게 밀려났다. 그동안 앨범에서 히트곡이 반드시 하나씩은 있었던 포스티지만 [[빌보드 핫 100]] 차트 성적도 상당히 하락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 album=austin, artist=post-malone, critic=66, user=8.6)] 메타스코어는 전작보다 낮긴하지만, 유저스코어는 자신의 앨범 중 제일 높다. 앨범의 평은 전작보다 특색 있고, 전작보다 듣기 편한 이지스리닝적인 요소, 노래의 코러스를 중독성있게 만드는 감각은 살아있다는 평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팝도 아니고 록도 아니고 장르의 경계가 애매하고, 노래가 단순하고, [[후크송|후크 송]]이 많다는 점이 주된 비판요소이다. 이번 앨범은 대중성을 어느정도 버린 대신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을 해서 트랙들의 빌보드 순위가 낮은 경향도 있지만, 그런 걸 감안해도 [[빌보드 핫 100]]의 최고 순위가 13위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는 순위로 포스트 말론의 체급이 확실히 예전만치 않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 앨범이었다. 다음 앨범의 방향성이 포스트 말론의 커리어에 굉장히 중요한 분기점이 될 거 같다. ==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Don't Understand || 3:03 || || 2 || Something Real || 3:25 || || 3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Chemical]] || 3:03 || || 4 || Novacandy || 3:17 || || 5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Mourning || 2:27 || || 6 || To Cool To Die || 3:24 || || 7 || Sign Me Up || 3:18 || || 8 || Socialite || 3:19 || || 9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Overdrive || 2:27 || || 10 || Speedometer || 2:42 || || 11 || Hold My Breath || 3:28 || || 12 || Enough Is Enough || 2:45 || || 13 || Texas Tea || 2:19 || || 14 || Buyer Beware || 2:53 || || 15 || Landmine || 3:04 || || 16 || Green Thumb || 2:39 || || 17 || Laugh It Off || 4:06 || ||<-3><#55b9cc> {{{#fff '''Bonus'''}}} || || 18 || Joy || 4:47 || == 여담 == * 포스트 말론의 정규앨범 중 처음으로 피쳐링이 없다. * 포스트 말론의 앨범 중 가장 밝은 분위기에 듣기 편한 팝이라 평론가 평가는 평작 수준이지만 메타 크리틱 유저 스코어는 역대 가장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