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음악 유튜버]][[분류:일렉트로닉 뮤지션]][[분류:미국의 남성 유튜버]] ||<-2> '''Acid-Not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cid-Notation.png|width=100%]]}}} || ||<-2> '''프로필''' || || '''닉네임''' ||'''Acid-Notation'''|| || '''본명''' ||Kyle Jacobson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구독자''' ||4.26만 명[*A [[2023년]] [[7월 25일]] 기준]||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조회수''' ||20,912,242회[*A] ||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1]] 팔로워''' ||1,300명[*A] || || '''링크''' ||[[https://www.youtube.com/user/AcidNotationH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twitch.tv/AcidNotation|[[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1]]]] | --[[https://www.facebook.com/AcidNotati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2022년]] 삭제됨] | [[https://soundcloud.com/acid-notation|[[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3]]]][* [[2020년]] [[7월]]에 삭제었고, [[2020년]] [[8월]]에 [[사용자:Lachyo|라쵸]]가 복구시켰다. [[2022년]] [[1월 26일]]에 인증마크를 달았다.] | --[[https://acid-notation.newgrounds.com|[[파일:Newgrounds 아이콘.svg|width=23]]]]--[* [[2020년]] [[7월]]에 삭제됨. 현재는 [[Acid-Notation|Acid]]의 팬이였던 [[Newgrounds]]유저가 닉네임을 [[Acid-Notation]]으로 바꿨다.] | [[https://www.deviantart.com/acidictaco|[[파일:DeviantArt 로고.svg|width=50]]]] | [[https://acid-nation.forumotion.com/|포럼]] | [[https://steamcommunity.com/id/acid-notation/|[[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minecraftforum.net/members/AcidicTaco?__cf_chl_jschl_tk__=46366240b868b034646874b9e4f8cb9a22b0abd4-1624858660-0-AXKV9qspd9JARYQlxjnWmCq-Q4y3LXEaWqMKDryS1JOxzYQTiGS30WM4QKkbb-hO1QEHFteMx7DNFPPIvqh-jFq0uAQ9csbLaVQwBgqup2o-pGXxwsGwByJ66bikkYJe7VeozkBzSC6XwpUNPcuebwtNUbpewzwG4U-9pRHNSviZSv-75j_WAtenvVh7_hrEXH51CHy2srivuUrs7_DxUyCd4eqrumhPi4Ysr05ifmP0mCAi6TByYHAEYU6rq8Ca50Qef1xbxrLAV_wjyhGDvDoeRWrFLLfkXzVlMCM5rsi0I6ac-hIxsxA7tIUkI3gotAO5Ny5JXMJwRLg1mx-3Nmq-L-_hzTLS_sTQ8r6AX6bvE8uiou0TdNfQK3sS9WHlxmK9x712WxkxsVAkYYOb3IP1x3ltfL3D4D3zJyMKQpZF|[[파일:마인크래프트 로고.sv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Acid-Notation은 미국의 일렉트로니카 뮤지션이다. 주로 게임 음악과 애니메이션 음악 리믹스를 작곡한다. 음악 제작 스타일은 Acid-Notation만의 특유의 기계적인 느낌을 주며 가끔 [[팀 포트리스 2]] 캐릭터의 음성을 넣기도 한다. 주로 사용하는 음악 프로그램은 [[FL Studio]]이다. 스트림도 자주 키는데 현재는 [[비트 세이버]]를 주로 한다. 구 이름은 Scratch R 이다. [[2019년]] [[7월 30일]] Lights, Camera, Action! Remix를 마지막으로 음악활동을 접었다. [[2020년]] [[7월]] Acid-Notation의 [[뉴그라운즈]] 계정과 [[사운드클라우드]] 계정은 삭제되었다. [[2020년]] [[8월]] [[https://youtube.com/@Lachyo|라쵸]]가 [[사운드클라우드]]를 다시 복구시켰다. 하지만 모든 곡을 복구시키지는 못하였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Acid의 음악을 올려놨다. 라이브 FAQ에 음악은 안한다고 적혀져 있는것을 보아, 음악 활동을 접은듯 하다. == 앨범 및 EP 목록 == === Hit Box EP (2012) === [[http://www.mediafire.com/file/8n5itcy2tc4rpc4/Hit_Box_EP.zip/file|Hit Box EP 다운로드]] ||<-3>[[파일:Hit Box EP Cover.jp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Hit Box || 없음 || || 2 || Point of Collision || 없음 || || 3 || DK Contry Remix || [[동키콩 컨트리]] 음악 리믹스다. || || 4 || Pixel Glory || 없음 || === RD2012 (2012) === [[https://www.toneden.io/acidnotation/post/rd2012|RD2012 다운로드]][* [[사운드 클라우드]] 팔로우 필요] ||<-3>[[파일:RD2012.jp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Reaper || [[Acid-Notation]]의 [[뉴그라운즈]] 트랙 || === Purple Hysteria EP (2012) === [[http://www.mediafire.com/file/dd1j81dqpxx4x7x/Purple_Hysteria_EP.zip/file|Purple Hysteria EP 다운로드]] ||<-3>[[파일:Purple Hysteria EP Cover.jp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Purple Hysteria || 없음 || || 2 || Dystopia || 없음 || || 3 || Spiders || 없음 || === Nightmare in DnB (2013) === [[https://www.toneden.io/acidnotation/post/nightmare-in-dnb|Nightmare in DnB 다운로드]][* [[사운드 클라우드]] 팔로우 필요] ||<-3>[[파일:nightmare_in_dnb_youtube_cover_by_acidictaco_d5tvut3.jp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Greens Greens Remix || [[별의 커비 시리즈]]의 [[그린 그린]]을 리믹스한 음악. || || 2 || Gourmet Race Remix ||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의 [[음식 레이스]]를 리믹스한 음악. || || 3 || King Dedede Theme Remix[* 현재 [[Acid-Notation]]의 음악 중 가장 조회수가 많다.] || [[별의 커비 시리즈]]의 [[디디디 대왕]]의 테마 리믹스이다. || === Trash Bin EP (2013) === [[http://www.mediafire.com/file/ntkf4iqcjyn0kdm/Trash_Bin_EP.zip/file|Trash Bin EP 다운로드]] ||<-3>[[파일:Trash Bin EP Cover.jp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Fury || 없음 || || 2 || Fever Remix || 없음 || || 3 || Venture || 없음 || || 4 || Torque Revamp || 자신이 전에 만든 Torque를 다시 만든 버전 || || 5 || Serenity || 없음 || === Digital Mayhem EP (2014) === [[https://www.mediafire.com/file/f2nadw9do2d5y42/Digital_Mayhem_EP.zip/file|Digital Mayhem EP 다운로드]] ||<-3>[[파일:Digital Mayhem EP Cover.pn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Candy Giant || 없음 || || 2 || Pale Despair || 없음 || || 3 || Accelerate || 없음 || || 4 || Digital Mayhem || 없음 || === Final Destination Album (2014) === [[https://www.youtube.com/redirect?event=video_description&redir_token=QUFFLUhqbE13SDEtd3RDb2tUeHdsU1lZcTY5T2ZjdHlfUXxBQ3Jtc0tsNUhOWGllNEMzcnhWZmFzbWZyWTlhYnlkeU15UXIyZklYNll4eGYzWmk5aXB4dFdoM204ZnJxQ0U1MU4yLW55WTR4RjhNcmlUSHg3TjJBaXlxV1JHWFdFUnJCcHhWTU9TOGNfUEdPdEFudFZXaVl0SQ&q=https%3A%2F%2Fwww.dropbox.com%2Fs%2Fk7igrb0c34h8fhk%2FFinal%2520Destination%2520Album.zip%3Fdl%3D1|Final Destination Album 다운로드]] ||<-3>[[파일:Final Destination Album Art.pn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Peanut Plains Remix ||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의 음악 리믹스이다. || || 2 || Dark World Remix ||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의 음악 리믹스이다. || || 3 || Final Destination (SSBB) Remix ||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의 음악 리믹스이다. || || 4 || Chaos Angel Remix || [[소닉 어드밴스 3]]의 음악 리믹스이다. || || 5 || Ending Credits Remix || [[마리오 카트 64]]의 엔딩곡 리믹스이다. || === Vulgarity Album (2015) === [[https://www.youtube.com/redirect?event=video_description&redir_token=QUFFLUhqbWVlYks2VkhRaDhDOFdISnM1YUFhM05pcW1fd3xBQ3Jtc0tsaFNmeGJ3OUZNY3FlbDFJOGk3VEhMRGp0WlRUWW9ZUnVKNlhmTklZSk9jSUU2cGNyQTRuckRfZk1pSkdNcUQ1WDkzXzhkSGRIUDJKY0o2RlJsMXlwNDJmRkhBZEEzVWt3NExGYmhvQkpqMEpGclBWVQ&q=https%3A%2F%2Fwww.dropbox.com%2Fs%2Fxt800z1hjgjrdi2%2FVulgarity%2520Album.zip%3Fdl%3D1|Vulgarity Album 다운로드]] ||<-3>[[파일:Vulgarity Cover.pn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Vulgarity || 없음 || || 2 || Terminal Break || 없음 || || 3 || CityScape || 없음 || || 4 || Destroyer of Vegetables || 없음 || === Volatile Harmony (2016) === [[https://www.youtube.com/redirect?event=video_description&redir_token=QUFFLUhqbVlldF9xWDRjNzFTZGZtYVZwR2Z6UC00YXRNZ3xBQ3Jtc0tsa0pYbVdyckg2NGd5N2FEcUVSVXRaUElrZ05MY0VWNGlhSXpydEhVQTdiTURBMzE2aEQ4YV9oS3hUQ2JGNlZDYXlYb0E1TU0tT2xKaFNjek1WUHUwVE1vemxrUWxQMDQtSUhGT01OUHhBUU4zNDVXcw&q=https%3A%2F%2Fwww.dropbox.com%2Fs%2Fvio857tos6fucal%2FVolatile%2520Harmony.zip%3Fdl%3D1|Volatile Harmony 다운로드]] ||<-3>[[파일:Volatile Harmony Album Art.pn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Opportunity || 없음 || || 2 || Regression || 없음 || || 3 || Empathy || 없음 || || 4 || Nostalgea || 없음 || || 5 || Torment || 없음 || || 6 || Violence || 없음 || === Tritone Soundtrack (2016) === [[https://gate.sc/?url=https%3A%2F%2Fwww.dropbox.com%2Fs%2Fnemfsg7ex9k101x%2FTritone%2520Soundtrack.zip%3Fdl%3D1&token=c6732f-1-1647848042885|Tritone Soundtrack 다운로드]] ||<-3>[[파일:Cover.pn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Ascension || 없음 || || 2 || Brood || 없음 || || 3 || Horizon Green || 없음 || || 4 || Hour of Dread || 없음 || || 5 || Stray Shades || 없음 || === Puppet Show EP (2017) === [[https://www.toneden.io/acidnotation/post/puppet-show-ep|Puppet Show EP 다운로드]][* [[사운드 클라우드]] 팔로우 필요] ||<-3>[[파일:Puppet Show EP Cover.png|width=100%]]|| || 트랙 || 제목 || 설명 || || 1 || [[The Yandere's Puppet Show]] || 자세한 내용은 [[The Yandere's Puppet Show|해당 문서]]로 || || 2 || Forfeiture & Closure || 없음 || == 작곡한 음악 목록 (앨범 및 EP 목록에 있는 곡들 제외) == === 2019년 === * Lights, Camera, Action! Remix === 2018년 === * Turbo Strawberry * Pyr[* 호러스러운 일렉트로닉 음악.] === 2017년 === * Braver Remix * Sentience Uprising * Jungle Japes Remix === 2016년 === * Boss battle Remix (KRtD)[* [[별의 커비 Wii]]의 보스전 테마를 리믹스한 곡이다.][* [[Geometry Dash]]에선 Nantendo라는 온라인 레벨에 사용된 것으로 유명하다.] * Shadow Queen Pt. 2 Remix * Bomb-omb Battlefield Remix * Waluigi Pinball Remix[* [[마리오 카트 DS]]의 와루이지 핀볼 테마를 리믹스한 곡.] === 2015년 === * Last Battle Remix[* [[동굴 이야기]]의 최종보스 음악을 리믹스한 곡.][* 크리스마스에 올렸다] * Dreams of Reality * Necrofantasia Remix * Kuchizuke Diamond Remix * Masked Dedede Remix[*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의 마스크 디디디 테마를 리믹스한 곡.] * Flyers Remix * Rampant * You Will Know Our Names Remix * Lvl. 34 Clown === 2014년 === * Courage Remix * Snowy Bliss * Grilletto Remix * FG205 * Dr Wily Stage Remix[* [[록맨 시리즈]]의 [[닥터 와일리]]의 스테이지 테마를 리믹스한 곡.] * Steel Error * Big Blue Remix * Bloody Tears Remix === 2013년 === * Tal Tal Heights * DJ A.H. - The Bloody Warrior (Acid-Notation remix) * Intruder Alert * Malware * Malware [WIP] * Gang Plank Galleon Remix * Botteled Entropy * Explosion Noise * Ground Pound * Route Glitch === 2012년 === * Bandit * Bandit [WIP] * A Warm Feeling * High Fructose Bacon * Kitty * Idolize * Fluorescent Tang * The Paper Electrician * Crash * Legend of Electro * Hale's Own Fists * Hale's Own Fists [WIP] * Tourettes Revamp[* 자신이 전에 만든 Tourettes를 다시 만든 버전] * Memory Lane * Pedobob Cockpants * Buttsex Surprise[* 노래가 [[후방주의]]스럽다. 팀 포트리스 캐릭터의 밈을 이용해 만든 음악이다.] * Abuse * Punch * Killing Spree * Electric Omelette * Potent Groove * April fools * Precipitation * Mr. Zurkon * Torque * Ocean * Ocean [WIP] * Hide n' Go Seek * Temperamental War Droid * Temperamental War Droid [WIP] === 2011년 === * Gerudo Valley * Tourettes * Tourettes [WIP] * Nope * Dr. Acid's Medicine * Angry Spy * Hallowed Treat [WIP] * Data Chase [WIP] * U So Mad * Broken Nails * Dummkopf * Forbidden Entity * Leg. of Zelda * Rush * Heavy * Breaking of the Storm * Shade * Extra Cheese Please * You're So Mean * Excessive Energy * Untitled House (WIP) * Meaningless * Lost Panic * Morning Tea * World of Sound * Banana Phone House * Heavy Chain (WIP) * Personality Syndrome * Sunset * Shifter * Dirty Nightmares * Dirty Nightmares (WIP) * Midnight Chase * Wipeout * Untitled [WIP] * I Don't Even... [Full] * I Don't Even... * I Like Squares * Race To Nowhere (WIP) * Experiment Purple * Unity (WIP) * Experiment Purple (WIP) * Pound The Ground * Pound The Ground [WIP] * Distance * Beast Within [WIP] * Tomorrow's Another Day (remix) * Positive Outlook * Sonic Blow [WIP] * Club Falcon * Death Waltz (remix) * Club Falcon [WIP] * Rage in Minecraft[* 마인크래프트에서 나오는 효과음을 합쳐 만든 곡이다.] * Running From Death * Breach * Windows Domination * Lost in Virtual Reality * Adrenaline Rush * Housecraft * Clever Title * Jump [demo] * ill you be my Valentine * Moments of Joy [demo] * Mario Time 2 * Acceptance * Beat House * Sawz * Dirt Notation * Mind Flow * Stress Relief * Kool Beans [finish?] * A Sneaky Bastard === 2010년 === * Minecraft, the song of WTF[* 마인크래프트에서 나오는 효과음을 합쳐 만든 곡이다.][*개소리 아주 옛날부터 Acid의 음악을 들은 사람이라면 한 번 쯤은 들어봤을것이다.] * The Evil Computer * Experimentation * Foolin Around * Cluber's House [demo] * Unusuality * Uber Loop 2 * Trancey House * Cream [Remix] * Uber Loop! * Digital Failure * Top O' The Mornin! * A New Day * Distortion Maximus * The Imperial House * Intrusion * Electrocure * Ended Silence * Green World * Computerize [finish?] * Acid House * Bounce House * Wondrous Space * Annihilation 2 * Sunny Skies * Some House * IT' OVER 9000! * Swinging Triplets * It Be Lazy * Fearless [finish?] * Bot Beat * Spring Rave * Alarmed [demo] * The Escape * Quicky * Speedway [demo] * Persecution [remix] * Techn'Groove * Ravetastic * Mario Time * Foolish 4/3 [demo] * Foreboding Darkness * Chuck Norris * Rainy Days * Mean Beat * Short N' Harcore === 2009년 === * Hardcore March * Arena Breakdown * The Happiness * The Sadness * The Count * Spooked * Jump Higher * Jingle Bells [dnb remix] * nightly rave * acidized dance * house of rave * halloween has just begun * code red * Take Off * housey dance * late night laziness * running of fear * imperial march [techno remix] * tranced out * Epic Shooter [action loop] * Epic Shooter [menu theme] * party bass * Digital relax * funky 4/3 time * rave voyage * Dancing Mishap * deadly biohazard * party horrors * gaining flight [remix] * toxic fire [demo] * moving * forgotten happiness * <==go==> * gone and back * freedom * heaven and hell * death by acid [full] * death by acid [demo?] * THE DEATH * GAINING FLIGHT * NIGHTMARES * NEON ELECTRICITY 2 * SIMPLE DANCE * THE FURY * ESCAPING FEAR * OVERKILL * TERROR * ANNIHILATION * HOVERING FLAMES * RAINY CLOUDS * FLAMING ACID * THE BASS * NEON ELECTRICITY * TECHMO!! [* [[Acid-Notation]]이 [[뉴그라운즈]]에 업로드 한 곡중 최초의 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