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American Pie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02)]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2874)] ---- [include(틀:빌보드 핫 100 1위 곡, 전번_곡=Brand New Key, 전번_아티스트=멜러니 사프카, 전번_1위_기간=3주 연속, 이번_곡=American Pie, 이번_아티스트=돈 매클레인, 이번_1위_기간=4주 연속, 후번_곡=Let's Stay Together, 후번_아티스트=알 그린, 후번_1위_기간=1주)] ---- }}} || ||<#000><-2> '''{{{+1 American Pi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RpiBpDy7MQ,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71년]] [[10월 24일]] || || '''싱글 발매일''' ||[[1971년]] [[10월]] || || '''장르''' ||[[포크 록]], [[소프트 록]] || || '''러닝 타임''' ||8:42 || || '''작사/작곡''' ||[[돈 매클레인]] || || '''프로듀서''' ||에드 프리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background: #000; font-size: .9em" [[American Pie|{{{#CB443F '''American Pie'''}}}]]}}} || || '''레이블'''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레코드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ericanPie.jpg|width=100%]]}}}|| || '''미국 싱글 커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X_TFkut1PM,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ciM7P9K3FA, height=200)]}}} || || '''음원''' || '''1972년 라이브''' || [[미국]]의 아티스트 [[돈 매클레인]]의 2집 ‘American Pie’에 수록된 플로리다 민요[* [[플로리다]] 주에서 [[조지아]] 주에 걸친 민요]이자 동명의 싱글. 2017년에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문화적, 역사적 및 예술적인 면에서 중요하다"는 이유로 [[National Recording Registry]]에 등재했다. == 상세 == 돈 매클레인이 시인인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의 작품 『[[황무지]]』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었다고 한다. 가사는 요절한 선배 가수 [[버디 홀리]], [[리치 밸런스]], 그리고 [[빅 바퍼]]를 추모하는 한편, 그들이 죽은 이후 미국의 음악계가 어떻게 변했는가도 살펴보고 있다. 가사 자체에서는 착잡함과 슬픔이 묻어나지만 곡 자체는 아주 흥겹고 신난다. 노래 시간이 8분이 넘는 매우 긴 곡이며, 대곡 계의 전투력 측정기로 불리는 [[Stairway to Heaven]]보다도 40초 가량 더 길다. 한동안 빌보드 1위 곡 중 가장 긴 노래'라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는 이 노래가 나온 지 약 50년 후에 나온 [[테일러 스위프트]]의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이 10분 13초로 기록을 경신했다.] [[1972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3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210위에 올랐다. 제목인 아메리칸 파이는 음악이 죽던 날 버디 홀리, 리치 밸런스, 빅 바퍼가 탔다가 사고를 당한 비치크래프트사 보난자 경비행기 N3794N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알려졌으나, 사실은 이 노래가 유명해지면서 사람들이 멋대로 N3794N의 이름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실제 N3794N은 별다른 이름이 붙여지지는 않았다. == 가사 == 한국어 해석에 맞게 어순을 바꾼 부분도 있다. ||<:> ---- '''{{{#CB443F {{{+4 American Pie}}}}}}''' ---- A long, long time ago 아주 아주 오래 전을 I can still remember 나는 여전히 기억해요 How that music used to make me smile [[로큰롤|그 음악]]이 얼마나 날 미소짓게 했는지 말예요 And I knew if I had my chance 그리고 그때 난 내가 노래할 기회가 있었으면 That I could make those people dance 사람들을 춤추게 할 수 있었을 것이란 걸 알았죠 And maybe they'd be happy for a while 아마 그랬으면 그들은 잠시나마 행복했을 거예요 But February made me shiver 하지만 2월, 끔찍한 뉴스로 도배된 신문을 With every paper I'd deliver 문가에 배달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Bad news on the doorstep 난 매우 떨렸어요 I couldn't take one more step 난 한 걸음도 더 움직일 수 없었죠 I can't remember if I cried 미망인이 되어버린 [[버디 홀리|그]]의 신부에 대한 걸 읽었을 때 When I read about his widowed bride 난 내가 울었는지 기억도 나지 않았죠[* 당시 버디 홀리의 신부는 그의 아이를 임신하고 있었고, 이후에 유산하게 된다.] But something touched me deep inside 하지만 무언가 내 가슴 깊숙한 곳을 건드렸어요 The day the music died 그 음악이 죽은 바로 그 날에 말예요[* 1959년 2월 3일을 말한다. 이 날은 훗날 [[록 음악]]의 전설이라 불릴 [[리치 밸런스]], [[버디 홀리]], [[빅 바퍼]]가 모두 경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한 날이다. 여기서 죽었다는 음악은 미국의 50년대 [[로큰롤]] 음악을 의미한다. 1958년 [[제리 리 루이스]]의 13살 사촌과의 결혼, [[엘비스 프레슬리]]의 입대, [[리틀 리처드]]의 음악계 은퇴 및 목사 선언, [[척 베리]]의 체포 등으로 슬슬 끝이 보였던 미국 로큰롤 음악 정신이 이 사건으로 죽어버렸단 의미이다.] So bye, bye, Miss American Pie 그러니 잘 가요, 아메리칸 파이 양 Drove my Chevy to the levee but the levee was dry 쉐보레를 끌고 강둑으로 달렸지만 강물은 벌써 말라있었죠 And them good old boys were drinking whiskey 'n rye 나이든 멋진 남자들은 위스키와 호밀위스키를 마시며 Singin'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노래했죠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Did you write the book of love[* [[모노톤즈]]의 1958년 히트곡 제목이다.] 사랑의 책을 써 본 적이 있는지, And do you have faith in God above 그리고 하늘에 계신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있는지를 If the Bible tells you so[* 돈 코넬의 1955년 히트곡인 ‘The Bible Tells Me So’의 인용.] 성경이 당신에게 그렇게 묻는다면, Now do you believe in rock 'n roll[* 1965년 [[러빈 스푼풀]]의 노래 Do you believe in Magic?의 인용.] 그렇다면 난 당신이 [[로큰롤]]을 믿는지, And can music save your mortal soul 그리고 음악이 당신의 병든 영혼을 치유해 줄 수 있는지, And can you teach me how to dance real slow 또 당신이 내게 천천히라도 춤추는 법을 가르칠 수 있는지 묻고 싶어요 Well, I know that you're in love with him 난 당신이 그와 사랑에 빠졌다는 걸 알고 있어요 Cuz I saw you dancin' in the gym 왜냐면 당신이 그와 체육관에서 춤추는 걸 봤거든요 You both kicked off your shoes 당신 둘 다 신발을 벗어 던지더군요 Man, I dig those rhythm and blues 이런, 전 그 R&B 음악 정말 좋아하는데 말예요 I was a lonely teenage broncin's buck 난 외롭고 방황하는 10대였죠 With a pink carnation and a pickup truck 분홍색 카네이션[* 마티 로빈스의 1957년 히트곡인 ‘A White Sport Coat (And a Pink Carnation)’을 의미한다.]과 픽업 트럭을 가졌지만 But I knew that I was out of luck 내가 행운이 없었다는 걸 알게 됐죠 The day the music died 음악이 죽어버린 바로 그 날에 말예요 I started singing bye, bye, Miss American Pie 난 노래했죠, 잘 가요, 아메리칸 파이 양 Drove my Chevy to the levee but the levee was dry 쉐보레를 끌고 강둑으로 달렸지만 강물은 벌써 말라있었죠 And them good old boys were drinking whiskey 'n rye 나이든 멋진 남자들은 위스키와 호밀위스키를 마시며 Singin'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노래했죠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Now for ten years we've been on our own 지금까지 10여 년 동안 우리 나름대로 잘 살아왔고 And moss grows fat on a rollin' stone[* 두 가지의 해석이 존재하는데, 첫 번째 해석은 영어 속담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의 패러디라는 것이다. 두 번째는 [[밥 딜런]]의 히트곡인 [[Like a Rolling Stone]]을 의미한다는 해석이다.] 구르는 돌 위에도 이끼가 잔뜩 꼈어요 But that's not how it used to be 하지만 이젠 옛날 같지가 않아요[* 이 곡의 작사가인 돈 매클레인은 [[포크 록]] 아티스트로서의 밥 딜런보다 정통 포크 아티스트로서의 밥 딜런을 더 좋아했다고 한다.] When the jester sang for the king and queen [[밥 딜런|궁정광대]]는 [[제임스 딘]] 스타일의 코트를 입고 In a coat he borrowed from James Dean 당신과 나의 목소리로 And a voice that came from you and me 왕과 왕비를 위해 노래했어요 Oh, and while the king was looking down 왕이 내려다 보는 동안 The jester stole his thorny crown 광대는 그의 가시 왕관을 훔쳤어요[* [[엘비스 프레슬리]]의 1위 자리를 [[밥 딜런]]이 차지한 행동을 의미한다.] The courtroom was adjourned 법정은 휴정되었고 No verdict was returned 판결은 내려지지 않았죠[*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리 하비 오즈월드]]에게 암살된 사건을 묘사한다는 해석이 있다.] And while Lenin read a book on Marx 레닌이 마르크스의 책을 읽으면서[* 말 그대로 [[블라디미르 레닌]]이 [[카를 마르크스]]의 사상에 동조한다는 뜻이지만, 레닌의 발음을 조금만 비틀면 [[존 레논|전혀 다른 의미가 된다.]] 이에 대한 해석은 다음 각주 참조.] The quartet practiced in the park [[비틀즈|4중 창단]]이 공연에서 연주하는 동안[* 위 구절을 Lennon으로 해석할 경우, 이 구절은 “[[존 레논]]이 [[사회주의]]를 주창하면서 비틀즈가 인기를 끌 동안”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And we sang dirges in the dark 우리는 어둠속에서 장송곡을 불렀죠 The day the music died 음악이 죽은 바로 그 날에 말예요 We were singing bye, bye, Miss American Pie 우리는 노래했죠, 잘 가요, 아메리칸 파이 양 Drove my Chevy to the levee but the levee was dry 쉐보레를 끌고 강둑으로 달렸지만 강물은 벌써 말라있었죠 And them good old boys were drinking whiskey 'n rye 나이든 멋진 남자들은 위스키와 호밀위스키를 마시며 Singin'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노래했죠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Helter Skelter(노래)|Helter skelter]] in a summer swelter 무더운 여름날의 혼란 속에서 The Birds flew off with a fallout shelter [[버즈(미국 밴드)|새들]]은 둥지에서 날아올라 Eight miles high[* 버즈의 대표곡으로, 1960년대 중반 [[사이키델릭 록]]의 탄생을 알린 곡이자 [[라가 록]] 장르의 명곡이다.] and falling fast 8마일 높이로 날아올라 떨어졌어요 It landed foul out on the grass 그 새는 잔디밭에 내렸고 The players tried for a forward pass 선수들은 전진패스를 시도했어요[* 선수와 연주자 모두 Player라는 점을 이용한 펀치라인이다.] With the jester on the sidelines in a cast 깁스를 한 광대를 데리고 말이죠 Now the halftime air was sweet perfume 이제 하프타임의 분위기는 달아올랐고 While the sergeants played a marching tune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밴드]]가 행진곡을 연주하는 동안 We all got up to dance 우리 모두는 춤을 추려 했으나 Oh, but we never got the chance 우린 기회조차 얻지 못했어요[* 비틀즈가 미국 및 영국 차트를 씹어먹은 것을 의미한다.] 'Cause the players tried to take the field 선수들은 무대를 차지하려고 애썼지만 The marching band refused to yield 마칭 밴드는 양보하기를 거절했죠 Do you recall what was revealed 그리고나서 어떻게 됐는지 기억나요? The day the music died? 음악이 죽은 바로 그 날에 말예요 We started singing bye, bye, Miss American Pie 우리는 노래하기 시작했죠, 잘 가요, 아메리칸 파이 양 Drove my Chevy to the levee but the levee was dry 쉐보레를 끌고 강둑으로 달렸지만 강물은 벌써 말라있었죠 And them good old boys were drinking whiskey 'n rye 나이든 멋진 남자들은 위스키와 호밀위스키를 마시며 Singin'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노래했죠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Oh, and there we were all in one place [[우드스톡 페스티벌|그 곳]]에서 우리는 모두 한 공간에 있었어요 A generation lost in space 방황하는 세대가 되어서 With no time left to start again 다시 시작할 남은 시간없이 말예요 So come on, Jack be nimble, Jack be quick 그러니 힘 내, 잭은 민첩해지고, 잭은 빨라지네 Jack Flash sat on a candlestick 잭은 촛대에 불을 피웠지[* [[롤링 스톤스]]의 1968년 히트곡인 [[Jumpin' Jack Flash]]를 의미한다.] 'Cause fire is the devil's only friend 왜냐하면 불은 악마의 유일한 친구거든요 Oh, and as I watched him on the stage 오, 그리고 내가 그를 무대에서 봤을 때 My hands were clenched in fists of rage 나는 분노의 주먹을 움켜쥐었어요 No angel born in Hell 지옥에서 태어난 어떤 천사라도 Could break that Satan's spell 사탄의 저주를 풀 순 없었죠 And as the flames climbed high into the night 그리고 화염이 밤 깊이 솟아올라 To light the sacrificial rite 제사 의식을 밝히려 할 때 I saw Satan laughing with delight 나는 사탄이 즐겁게 웃는 것을 보았어요[* 롤링 스톤스의 [[알타몬트 공연]] 사건을 의미하며, Devil과 Satan이라는 어휘를 쓴 이유는 1968년 당시 롤링 스톤스는 [[Sympathy for the Devil]]의 가사 내용 때문에 악마를 찬양하는 밴드라고 대중의 오해를 받았기 때문이다.] The day the music died 음악이 죽은 바로 그 날에 말예요 He was singing bye, bye, Miss American Pie 그는 노래했죠, 잘 가요, 아메리칸 파이 양 Drove my Chevy to the levee but the levee was dry 쉐보레를 끌고 강둑으로 달렸지만 강물은 벌써 말라있었죠 And them good old boys were drinking whiskey 'n rye 나이든 멋진 남자들은 위스키와 호밀위스키를 마시며 Singin'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노래했죠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I met a girl who sang the blues 나는 [[재니스 조플린|블루스를 부르는 한 여자]]를 만났어요 And I asked her for some happy news 그리고 그녀에게 행복한 소식을 원했지만 But she just smiled and turned away 그녀는 단지 웃고 돌아섰어요[* 재니스 조플린의 등장과 죽음을 의미한다.] Well, I went down to the sacred store 나는 신성한 가게로 내려갔어요 Where I'd heard the music years before 내가 전에 그 음악을 들었던 그 가게 말예요 But the man there said the music wouldn't play 그러나 남자는 음악을 틀지 않는다고 말했어요[* 상술한 버디 홀리와 같은 1950년대의 음악들에 대해 대중들이 점점 신경쓰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And in the streets, the children screamed 그리고 그 거리에서 아이들은 비명을 질렀고[* 이 곡이 쓰였던 1960년대 후반 ~ 1970년대 극초반은 [[히피]]에 대한 경찰의 탄압이 극심했었는데, 이 구절은 이러한 히피들의 탄압을 의미한다.] The lovers cried and the poets dreamed 연인들은 울었고, 시인들은 꿈을 꾸었지만[* 1960년대 후반 [[사이키델릭 록]] 뮤지션들의 몽환적인 음악과 가사를 의미한다.] But not a word was spoken 어떤 말도 하지 않았어요 The church bells all were broken 교회의 종은 모두 부숴졌어요 And the three men I admire most 그리고 내가 가장 존경하는 세 남자, The Father, Son and the Holy Ghost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상술한 버디 홀리와 리치 밸런스, 빅 바퍼라는 의미이다.] They caught the last train for the coast 해변으로 가는 마지막 기차를 탔어요 The day the music died 음악이 죽은 그 날 말예요 And they were singing bye, bye, Miss American Pie 그들은 노래했죠, 잘 가요, 아메리칸 파이 양 Drove my Chevy to the levee but the levee was dry 쉐보레를 끌고 강둑으로 달렸지만 강물은 벌써 말라있었죠 And them good old boys were drinking whiskey 'n rye 나이든 멋진 남자들은 위스키와 호밀위스키를 마시며 Singin'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노래했죠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They were singing bye, bye, Miss American Pie 그들은 노래했죠, 잘 가요, 아메리칸 파이 양 Drove my Chevy to the levee but the levee was dry 쉐보레를 끌고 강둑으로 달렸지만 강물은 벌써 말라있었죠 them good old boys were drinking whiskey 'n rye 나이든 멋진 남자들은 위스키와 호밀위스키를 마시며 Singin' this'll be the day that I die 오늘이 바로 내가 죽는 날이 될 거라고 노래했죠 ---- || === 해석 === 돈 매클레인은 가사의 정확한 의미나 의도에 대해 밝히길 지속적으로 거부했다. 하지만 2015년에 직접 쓴 가사가 [[경매]]에서 팔리자 그에 딸린 자신의 작곡 노트를 공개하면서 대략적인 의도를 밝혔다. 가령 2017년 당시 [[밥 딜런]]은 인터뷰에서 돈 매클레인의 아메리칸 파이는 자기 취향이 아니라며 아메리칸 파이에 나오는 '궁정광대'는 자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일 것이라고 밝혔는데([[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news/bob-dylans-surprise-extensive-new-interview-9-things-we-learned-123773/|#]]), 매클레인 역시 후술하듯이 사실이 아님을 인정했다. 이후 2022년에 열린 50주년 기념 콘서트와 다큐멘터리 "음악이 죽은 날: 돈 매클레인의 아메리칸 파이 이야기 (The Day the Music Died: the Story of Don McLean's American Pie)"에서 자세한 사실을 밝혔는데, 딜런과 [[엘비스 프레슬리]]와 [[재니스 조플린]]에 관한 해석은 [[사실무근]]이지만 해석의 여지는 열어두겠다고 했다.[* 다만 강력하게 부정하지 않고 다른 해석도 존중하겠다는 태도나 새로이 밝힌 원래 의미나 작사 의도로 보아, 표현의 깊이만 다를 뿐이지 모두 매클레인 본인이 의도한 게 맞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 후렴구에서 빠졌다는 '애플'도 묘하게 [[비틀즈]]가 세운 [[애플 레코드|'애플' 레코드]]를 연상시킨다.] 본인의 원래 의도는 [[군산복합체]]나 최루가스, 고전 [[서부극]] 영화 [[수색자]] 등 "반전(反戰)"이 중심이었다고 한다. 가사도 원래는 "아메리칸 [[사과|애플]] 파이"였지만 애플이 빠지는 등 녹음 과정에서 쳐낸 부분이 많다고. 결과적으로 "당시 자신의 심상을 그려낸 청사진이자 자신의 음악에 영향을 끼친 것들에 대한 찬사이면서, 훗날 역사학도들을 위한 이정표 (a blueprint of his mind at the time and a homage to his musical influences, but also a roadmap for future students of history)"라고 밝혔다. [[https://apnews.com/article/entertainment-music-iowa-07402e6a24c1773ddcec57b1a1f0575f|#]] >If it starts young people thinking about Buddy Holly, about rock ‘n’ roll and that music, and then it teaches them maybe about what else happened in the country, maybe look at a little history, maybe ask why John Kennedy was shot and who did it, maybe ask why all our leaders were shot in the 1960s and who did it, maybe start to look at war and the stupidity of it — if that can happen, then the song really is serving a wonderful purpose and a positive purpose. >젊은이들이 [[버디 홀리]]와 [[로큰롤]]에 대해 생각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그 시절에 나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깨달을 테고, 관심이 생겨서 작은 역사책을 읽어볼 테고, [[존 F. 케네디]]가 어째서 암살당했으며 그 범인이 누구인지 궁금할 테고, 더 나아가 [[1960년대]]에 비슷하게 암살당한 지도자들[* 1963년에는 앞서 말한 존 F. 케네디가, 1965년에는 흑인 민권 운동의 지도자 [[맬컴 X]]가, 1968년에는 흑인 민권 운동의 다른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과 케네디의 동생 [[로버트 케네디]]가 2달 간격으로 암살당하는 등 1960년대는 암살이 끊이지 않았다. 심지어 넷 모두 암살과 관련해서 [[음모론]]이 있다는 점도 더욱 혼란을 자아냈다.]에 대해서도 관심이 생길 것이며, [[전쟁]]과 그 어리석음에 대해서도 알아보기 시작하겠죠. 그렇게 된다면, 이 노래는 비로소 놀랍고도 긍정적인 목적을 달성할 것입니다. == 여담 == * [[2023년 한미정상회담]] 만찬 때 [[윤석열]] 대통령이 이 노래의 첫 1분 가량을 불렀다. 이 곡은 현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이 2015년에 세상을 떠난 장남 [[보 바이든]]과 함께 매우 좋아했었던 노래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인지 윤석열 대통령이 이 노래를 부를 때 바이든이 기뻐하면서도 묘하게 상념에 잠긴 듯한 표정을 짓기도 하였다. 또한 현장에 있던 미국 정치인, 정부 인사로 구성된 관객들의 기립박수를 받았으며 정치 성향을 떠나 노래로 하나될 수 있다는 의미를 되새겼다는 점에서, 한미 양국은 물론 기타 영미권 국가들, 인도네시아, 중국, 태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주목을 받았다.[* 평소 윤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인 댓글이 많은 SNS나 지상파 유튜브 채널에서도 이 동영상만큼은 훈훈하다는 호평이 많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 노래를 부르면서 한국 내에서는 원래 미미했었던 노래 자체의 인지도가 꽤나 올랐다. [youtube(VlxWLBLv2m4)] * 영화 [[블랙 위도우(영화)|블랙 위도우]]에서 [[옐레나 벨로바(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옐레나]]가 "내 노래"라고 칭하는 등 어릴적 좋아하던 노래로 나온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메리칸 파이, version=99)] [[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3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위 노래]][[분류:1971년 노래]][[분류:1971년 싱글]][[분류:포크 록]][[분류:소프트 록]][[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