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Anime X Game Festival 목록)] ||<-3>
{{{#373a3c,#dddddd '''{{{+1 Anime X Game Festival 2018}}}'''[br]애니메이션 X 게임 페스티벌 2018}}}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gf2018_poster.jpg|width=100%]]}}} || ||<|2> '''주최''' ||<-2> AGF 2018 조직위원회 || || [[애니플러스|[[파일:애니플러스 로고.svg|width=120]]]] ||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일본)|[[파일: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일본) 로고.svg|width=120]]]] || || '''일정''' ||<-2><(>[[2018년]] [[11월 3일]](토) - [[11월 4일]](일)[br]10:00-18:00 || || '''장소''' ||<-2><(>[[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KINTEX]] 제2전시장 9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8년]]에 개최된 [[Anime X Game Festival]]. == 전시 참가 업체 == * [[넷마블]][* [[Fate/Grand Order]] 한국 서비스 1주년 오프라인 이벤트를 겸한다.] * 다이후쿠 군 * [[대원미디어]] * [[동우A&E]] * [[디앤씨미디어]] * [[Laftel]] * LUMICA * 류니 * [[모펀게임센터]] + [[크립톤 퓨처 미디어]][* [[협업]] 콜라보레이션([[하츠네 미쿠]] PR, 홍보용 부스)] * Music Ray'n Inc. * [[미디어캐슬]] * [[반프레스토]] * [[부시로드]] * Sony Creative Products Inc. * [[소미미디어]] * [[애니메이트]] * [[애니플러스]] * [[애니플렉스]] * ASAGA studio * [[영상출판미디어]] * UNTIES * [[ufotable]] * [[KADOKAWA]] * [[코믹콘 서울]] * 킹콩 스튜디오[* 킹콩 스튜디오는 굿스마일 컴퍼니를 비롯한 센티넬, 메가하우스 등 일본의 피규어 회사의 정식 수입 업체다.] - [[굿스마일 컴퍼니]] * [[TV 도쿄]] == 행사 구성 == === 스테이지 이벤트 === * 스테이지 MC * [[요시다 히사노리]] - 1일차 * 히라이 요시유키 - 2일차 * 성아 [[https://www.youtube.com/user/s2sunga|성아 유튜브 채널]] * 주영 * 초청 게스트(토요일) * [[테라시마 준타]] ([[KING OF PRISM PRIDE the HERO]] / [[이치죠 신]]役) * [[타카하시 히로키]] ([[안기고 싶은 남자 1위에게 협박당하고 있습니다]] / 사이죠 타카토役) * [[카와스미 아야코]] ([[Fate/Grand Order]] / [[알트리아 펜드래곤]]役) * [[츠루오카 사토시]] ([[Fate/Grand Order]] / [[아처(도쿄 1차)|아처]]役, [[질 드 레(Fate 시리즈)|질 드 레]]役) * [[시오카와 요스케]] ([[Fate/Grand Order]] /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 [[이시카와 카이토]] ([[청춘 돼지는 바니걸 선배의 꿈을 꾸지 않는다(애니메이션)|청춘 돼지는 바니걸 선배의 꿈을 꾸지 않는다]] / [[아즈사가와 사쿠타]]役) * [[세토 아사미]] ([[청춘 돼지는 바니걸 선배의 꿈을 꾸지 않는다(애니메이션)|청춘 돼지는 바니걸 선배의 꿈을 꾸지 않는다]] / [[사쿠라지마 마이]]役) * [[이노우에 카즈히코]] ([[나츠메 우인장: 세상과 연을 맺다]] / [[야옹 선생]]役) * [[May'n]] (라이브 스테이지) * 초청 게스트(일요일) * [[오카사키 미호]]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 [[리무루 템페스트]]役) * [[야마모토 카네히라]]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 리그루도役) * [[토미타 마호]]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 [[텐도 마야]]役) * [[사토 히나타]]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 호시미 준나役) * [[오구라 유이]] ([[고블린 슬레이어]] / 여신관役) * [[마츠오카 요시츠구]]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役) * [[토마츠 하루카]]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 [[아스나(소드 아트 온라인)|아스나]]役) * [[타카가키 아야히]]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 [[리즈벳]]役) * [[ASCA]] (SACRA MUSIC 라이브 스테이지) * [[halca]] (SACRA MUSIC 라이브 스테이지) * [[코토부키 미나코]] ([[스피어(성우 유닛)|스피어]]) * [[타카가키 아야히]] ([[스피어(성우 유닛)|스피어]]) * [[토마츠 하루카]] ([[스피어(성우 유닛)|스피어]]) * [[토요사키 아키]] ([[스피어(성우 유닛)|스피어]]) === 콜라보 카페 ===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http://www.agfkorea.com/collabo/?p_url=collabo_1|참조]] * [[KING OF PRISM PRIDE the HERO]] [[http://www.agfkorea.com/collabo/?p_url=collabo_2|참조]] *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http://www.agfkorea.com/collabo/?p_url=collabo_3|참조]] === 기타 === * 전달회 * [[아이미(성우)|아이미]]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공식 스트리머 * [[머독(인터넷 방송인)|머독]] [[http://www.agfkorea.com/notice/?dir_in=&p_url=notice_1&B_Name=center&b_dir=talkclub&category=notice_1&search=&searchstring=&b_url=contents&list_no=339&page=1|머독 팬미팅 부스]] * 애니송 디제잉 부스 * DJ 카즈[* 일본 현지에서 이름 있는 애니송 디제이이다. [[아니쿠라|애니송 클럽]] 뿐만 아니라 ANIMAX MUSIX 등의 대규모 라이브 이벤트에도 정기적으로 출연하고 있다.] * 코스프레 행사 * [[http://www.agfkorea.com/costume/?p_url=costume_1|참조]] == 티켓 예매 == * 티켓 구매처: 인터파크 티켓, 옥션 티켓, YES24 티켓, 11번가 티켓, 하나티켓, 네이버 예약 * 온라인 사전구매: 9월 14일 (금) 10:00 ~ ~~9월 30일~~ 10월 15일 (월)[* 사전판매기간을 늘렸다.] 24:00 / 1일권: 17,000원 / 2일권: 30,000원 * 온라인 일반구매: ~~10월 1일~~ 10월 16일 (화) 0:00 ~ 11월 2일 (금) 24:00 / 1일권: 20,000원 / 2일권: 35,000원 * 현장구매: 11월 3일 (토) ~ 11월 4일 (일) (행사기간) / 1일권: 20,000원 / 2일권: 35,000원 == 여담 == * 처음으로 열리는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성황리에 행사를 진행했다. 오픈 전부터 1만여 명의 사전예매가 있었으며, 비공식집계로 총 2만여 명 규모로 추산되는 관객 수를 모았다고 한다. [[http://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51433#09Pr|관련 기사]] * 이번 행사에서는 [[애니플러스/콘텐츠|회사 자체 콘텐츠]]상 일본작품들 위주로 진행되어 아쉽다는 의견도 있었다. [[애니플러스]]의 전승택 대표는 이에 대하여 "향후에는 국내 모든 애니메이션 관련회사들은 물론 게임회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소개하고 즐기는 문화의 장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며 "올 1회의 경험으로 날짜, 공간, 이동 동선 등 다양한 고민을 통해 보다 발전적인 행사로 거듭나겠다"라고 향후 비전을 밝혔다. * 국내에는 흔치 않은 전원 기업 부스에다가, 일반 동인행사에서 불가능하다 여겨졌던 성우와 아티스트들의 내한이 드디어, 마침내 성사되었다. 또한, 애니플러스와 소니 뮤직과 같은 대형 스폰서가 붙어 새로운 거대 이벤트로서 자리매김하길 바라는 여론이 많다. * 10월 29일 공개하기로 돼 있었던 스테이지 좌석 배치도가 11월 2일 시점까지도 공개되질 않았다. 이에 사전예매권 구매자들은 주최측이 안 좋은 좌석에 따른 사전예매 취소를 신경 써서 일부러 늦추고 있단 불만을 터트렸다. 11번가를 제외하고 예매를 늦게 취소할수록 수수료가 올라가기 때문에 이 또한 노림수라는 이야기도 나왔다. 공개를 늦추는 것만으로 수수료가 이득이란 이야기. 행사 1회부터 불편을 초래한 부분이기에 크게 비판받았다. 그리고 11월 2일 결국 현장에 있던 어떤 유저에 의해 유출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japan_voice&no=399084|링크]] 아예 프린트까지 해서 준비가 되어 있던 걸 보면 그저 공개만을 늦추고 있었던 것이 밝혀진 셈. 그리고 실제 무대를 보면 좌석이 배치된 공간이 작아 뒷좌석이라도 성우가 잘 보여서 예매 취소를 신경써서 일부러 공개를 늦추고 있다는 말은 단순한 의심에 그치고 말았다. * 제2전시장의 규모를 잘 활용하지 못했다. 9홀 전체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부스는 월등히 적었다. 같은 장소에서 열렸던 서울 [[코믹월드]]에 비하면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지도 못했고, 길목도 매우 좁았으며, 부스의 크기마저 작아서 혼잡이 가중되었다. * 애니송 전문 디제이인 DJ 카즈가 게스트로 초청돼서 양일에 걸쳐서 애니송 디제잉 부스 이벤트가 진행되었다. [[일본 열도]] 현지에서도 유명한 디제이가 직접 참여한 만큼 자연스레 [[애니송클럽|아니쿠라]]의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애니송 클럽 문화가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당연히 메이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공식행사장에서 애니송을 틀어놓고 클럽처럼 즐기는 것이 한국에서는 처음이었다. 하루만에 소문이 퍼져 1일차에 오지 않았다가 이 DJ 부스를 보기 위해 2일차에, 이틀차에 뒤늦게 참가한 사람들도 있는 등 반응이 매우 좋았고, 본 행사를 취재하러 온 일본 방송국의 카메라에 잡혀 오타쿠 문화가 한국에도 상당히 퍼져있음이 현지에 어필되었고, 사실상 AGF 2018 행사의 일부 지분이 이 DJ 부스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매우 큰 영향력을 끼쳤다. * 1일차에 콜라보 카페에서 270~399번대의 주문이 통째로 증발되었던 사건이 있었다. * 부스별로 인기도의 차이가 심했다. 특히 페그오와 애니플러스와 콜라보 카페의 줄이 지나치게 길고 복잡해졌다. 그래서 약 1시간이 넘는 대기시간이 나오기도 했다. 판매 부스 역시 한정판매되는 물건들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몰려서 구매대기줄이 생긱도 했었다. == 관련 문서 == * [[Anime X Game Festival]]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nime X Game Festival, version=237)] [[분류:Anime X Game Festival]][[분류:2018년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