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9C9C9E '''At Fillmore East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99)]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대 라이브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49,연도2=2020,순위2=105)]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134)]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10대 더블 앨범)]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406, 연도=1998, 순위2=302, 연도2=2000)] ---- [include(틀:Ultimate Classic Rock 선정 120대 록 명반)]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 || ||<-2><#000000> '''{{{#9C9C9E {{{+1 At Fillmore Eas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hIDxuCltL._SL1225_.jpg|width=100%]]}}} || || '''발매일''' ||[[1971년]] [[7월 6일]] || || '''녹음일''' ||[[1971년]] [[3월 12일]] ~ [[3월 13일|13일]] || || '''장르''' ||[[블루스 록]], [[서던 록]] || || '''재생 시간''' ||76:22 || || '''곡 수''' ||7곡 || || '''프로듀서''' ||톰 다우드 || || '''레이블''' ||카프리콘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1년 발매된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첫 [[라이브 앨범]]. == 상세 == 필모어 이스트[* [[뉴욕시]]에 위치했었던 유명 공연장으로 올맨 브라더스 말고도 [[마일스 데이비스]], [[데릭 앤 더 도미노스]], [[그레이트풀 데드]] 등의 쟁쟁한 음악가들의 단골 공연장이었다.]에서 사흘 간 녹음된 밴드의 라이브 공연을 담았다. 이 앨범을 내놓기 전 발매한 두 정규 앨범의 곡들 외에도 올맨 브라더스 밴드가 단골로 연주한 블루스 곡들을 라이브 하였다. 연주된 곡들은 밴드의 수려한 잼 공연으로 인해 10분 대의 대곡으로 편곡되었으며 특히 클로징을 장식한 23분 가량의 곡 "Whipping Post"는 이 앨범의 백미. 당시 밴드의 기타리스트였던 [[듀언 올맨]], 키보디스트 그레그 올맨과 더불어 밴드의 멤버들이 얼마나 대단한 기량을 가지고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앨범이다. 앨범 레코딩 회사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발매된 후 [[빌보드 200]] 13위에 오르고 골드 인증을 받는 등[* 현재는 플래티넘 인증까지 받았다.]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어서 두 장의 정규 앨범의 실패 이후 밴드의 상업적 활로가 되었으며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앨범 중 가장 성공한 앨범이 되었다. 허나 안타깝게도 이 앨범의 발매 이후 듀언 올맨이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하게 되면서 이 앨범은 밴드의 오리지널 라인업으로 발매된 마지막 앨범이 되기도 하였다. 이 앨범이 발매된 이후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1971년 6월 27일에 열린 필모어 이스트의 마지막 공연에서 마지막 연주자로서 라이브를 하였으며 이 라이브는 2006년 발매된 디럭스 에디션에 수록되었다. == 평가 == [include(틀: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점수=★★★★★)]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at-fillmore-east-mw0000649823, 점수=★★★★★)]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227.htm, 순위=1971년 10위 / 1970년대 42위 / 올타임 134위)]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the-allman-brothers-band/at-fillmore-east/, 점수=4.05)]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이 앨범에 담겨진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압도적인 연주력과 곡들의 편곡에 찬사를 보냈다. 앨범의 수록곡들은 [[블루스]], [[록 음악|록]], [[컨트리]], [[재즈]] 등 다양한 장르가 섞여 미국 남부 록 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가받는다. [[올뮤직]] 편집자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리뷰에서 "탄력 있고 블루스하며 재즈풍으로, 밴드와 서던 록의 정점으로 남아 있다"고 설명하였으며, [[롤링 스톤]]의 마크 켐프는 2002년 리뷰에서 "바이닐에 충실한 최고의 라이브 록 공연"으로 묘사했다. 2020년 인디펜던트 신문은 이 앨범을 역대 최고의 라이브 앨범으로 평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높게 사 이 앨범은 라이브 앨범이라는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최고의 명반이자 [[서던 록]] 장르를 통틀어 최고의 명반으로 평가받으며, 흔히 [[제임스 브라운]]의 [[Live At The Apollo]], [[에릭 클랩튼]]의 [[Unplugged(에릭 클랩튼)|Unplugged]], [[더 후]]의 [[Live at Leeds]], [[조니 캐시]]의 [[At Folsom Prison]] 등과 함께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라이브 앨범 중 하나'''로 손꼽힌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 105위[* 개정 전에는 무려 49위에 올랐었다.],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에서 134위에 올랐으며, 이는 [[서던 록]] 앨범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순위이다. == 트랙 리스트 == ||
{{{#9C9C9E '''트랙'''}}} || {{{#9C9C9E '''곡명'''}}} || {{{#9C9C9E '''작사 / 작곡'''}}} || {{{#9C9C9E '''재생 시간'''}}} || ||<-5> '''Side 1''' || || 1 || Statesboro Blues || 블라인드 윌리 맥텔 || 4:08 || || 2 || Done Somebody Wrong || 클라렌스 루이스, 바비 로빈슨, 엘모어 제임스 || 4:05 || || 3 || Stormy Monday || 티본 워커 || 8:31 || ||<-5> '''Side 2''' || || 4 || You Don't Love Me || 윌리 콥스 || 19:06 || ||<-5> '''Side 3''' || || 5 || Hot 'Lanta || [[듀언 올맨]], 그레그 올맨, 디키 베츠, 부치 트럭, 베리 오클리, 제이 요하니 요한슨 || 5:10 || || 6 || In Memory of Elizabeth Reed || 디키 베츠 || 12:46 || ||<-5> '''Side 4''' || || 7 || Whipping Post || 그레그 올맨 || 22:40 || === Side 1 === ==== Statesboro Blues ==== [Youtube(hkqlJ4SpmgM)] ==== Done Somebody Wrong ==== [Youtube(CIZr1MQyOqo)] ==== Stormy Monday ==== [Youtube(sTUAY2pTCuY)] === Side 2 === ==== You Don't Love Me ==== [Youtube(fdBsB6U-gVg)] === Side 3 === ==== Hot 'Lanta ==== [Youtube(UrMBNZ0RiJY)] ==== In Memory of Elizabeth Reed ==== [Youtube(8jVz1NSZIlo)] === Side 4 === ==== Whipping Post ==== [Youtube(gZRdZhfhqhw)] [[분류:1971년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라이브 앨범]][[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분류:블루스 록]][[분류:서던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