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fff '''At Folsom Prison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1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대 라이브 명반)]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앨범)]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77)]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145)]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5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88,연도2=2020,순위2=164)]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164)]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535, 연도=1998, 순위2=677, 연도2=2000)] ---- [include(틀:언컷 선정 1960년대 500대 명반, 순위=41)] ---- }}} || ||<-2><#a79361> '''{{{+1 {{{#ffffff At Folsom Pris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_Folsom_Prison.jpg|width=100%]]}}} || || '''발매일''' ||[[1968년]] [[5월 6일]] || || '''녹음일''' ||[[1968년]] [[1월 13일]] || || '''장르''' ||[[컨트리]], [[로커빌리]], [[포크 음악|포크]] || || '''재생 시간''' ||45:05 || || '''곡 수''' ||16곡 || || '''프로듀서''' ||밥 존스턴 || ||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1968년]] 발매된 [[조니 캐시]]의 라이브 앨범. == 특징 == [[조니 캐시]]의 폴섬 감옥에서의 라이브를 녹음한 앨범이다. 조니 캐시는 1956년 곡 Folsom Prison Blues을 발매한 후 지속적으로 [[교도소]]에서 공연을 녹음하는 데 관심이 있었으나 컨트리 음악의 인기 하락으로 인한 지속적인 상업적 실패, 그리고 약물 문제 등으로 인해 오랜 시간 보류되어 왔으며, 1968년이 되어서야 겨우 실현될 수 있었다. 조니 캐시는 1월 13일 오전 9시 40분과 오후 12시 40분에 두 차례 공연을 열기로 결정하였으며[* 굳이 두 번이나 공연을 한 이유는 첫 번째 공연이 만족스럽지 않을 것을 대비한 것이라고 한다.], 당시 일렉트릭 기타 세션으로 [[칼 퍼킨스]]가 참여하였다. 조니 캐시는 항상 하던대로 Folsom Prison Blues를 첫 번째로 라이브하였으며, 25 Minutes to Go 등 감옥에 관한 곡들을 다수 라이브하였다. 또한 당시 폴섬 감옥의 수감자 중 한 명이었던 글렌 셜리가 작곡한 곡인 Greystone Chapel을 끝으로 공연을 마쳤다. 또한 당시 인기가 점점 사그라들던 조니 캐시의 음악 인생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은 앨범이기도 한데, 컬럼비아의 초기 투자가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컨트리 차트 1위, 전국 음반 차트 15위에 올랐으며, 리드 싱글인 Folsom Prison Blues의 라이브 음원은 1968년 5월 25일에 빌보드 핫 100 차트에 올랐으며, 최고 40위까지 올라[* 하필이면 싱글 발매를 한지 얼마 안되었을때 당시 상원의원이었던 [[로버트 F. 케네디]]가 암살되었는데, 그때문에 I shot a man in Reno just to watch him die(난 리노에서 한 남자를 쏘았지/그저 그가 죽는 모습을 보고 싶어서)라는 가사를 삭제해야 했다.] 1964년 곡 Understanding Your Man 이후 처음으로 40위 이내에 오른 싱글이 되었다. 또한 앨범 자체 판매량은 1968년에만 50만 장을 넘겼으며, 현재까지 300만 장 이상 팔려나갔다. 이 앨범의 성공에 고무받아 다음해인 1969년 비슷한 기획으로 샌 퀜틴 주립 교도소 라이브를 녹음한 [[At San Quentin]]를 발매했는데 이 역시 좋은 평가를 받았다. == 평가 == [include(틀: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점수=★★★★★)]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at-folsom-prison-mw0000257048, 점수=★★★★★)]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91.htm, 순위=1968년 7위 / 1960년대 30위 / 올타임 145위)]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johnny-cash/at-folsom-prison/, 점수=4.14)] 발매된 앨범은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았으며, [[제임스 브라운]]의 [[Live At The Apollo]],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At Fillmore East]], [[더 후]]의 [[Live at Leeds]] 등과 함께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라이브 앨범 중 하나'''로 반드시 꼽히는 앨범이 되었다. 조니 캐시의 많은 정규 앨범들을 제치고 그가 발매한 최고의 명반으로 꼽히기도 한다. == 트랙 리스트 == === Side A === ==== Folsom Prison Blues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01)] [Youtube(U9uk6NHK-AE)] ==== Dark as a Dungeon ==== [Youtube(OFjBLdyssjc)] ==== I Still Miss Someone ==== [Youtube(0GM-1N8TfHE)] ==== Cocaine Blues ==== [Youtube(0VZuA7iJY4Y)] ==== 25 Minutes to Go ==== [Youtube(dm5ghpXzxl0)] ==== Orange Blossom Special ==== [Youtube(WkMB3RitBSE)] ==== Long Black Veil ==== [Youtube(c0OSboEOtRQ)] === Side B === ==== Send a Picture of Mother ==== [Youtube(0JUSmwGl4T4)] ==== The Wall ==== [Youtube(FipYtoZfl7M)] ==== Dirty Old Egg-Sucking Dog ==== [Youtube(jeudEqVhJOM)] ==== Flushed from the Bathroom of Your Heart ==== [Youtube(q3wyAzjlE9Y)] ==== Jackson ==== [Youtube(FPynO42XFRw)] ==== Give My Love to Rose ==== [Youtube(Mqe2kcRZo5I)] ==== I Got Stripes ==== [Youtube(AmwJBxZgud4)] ==== Green, Green Grass of Home ==== [Youtube(SLfxsneyfnY)] ==== Greystone Chapel ==== [Youtube(fGMVRoXelNs)] [[분류:1968년 음반]][[분류:미국의 컨트리 음반]][[분류:컨트리 뮤직]][[분류:로커빌리]][[분류:포크 음악]][[분류:라이브 앨범]][[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