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Atom(에디터) 로고.svg|width=100%&bgcolor=#EFEBE1]] || [목차] [[https://atom.i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개요 == [[GitHub]]에서 만든 [[텍스트 에디터]]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편집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도구이다. [[Sublime Text]]와 Textmate를 본땄다. 이름의 유래는 '쪼갤 수 없다'는 뜻의 고전 그리스어 ἄτομος(아토모스)이다. == 특징 == MIT License 하에 배포되는 [[자유 소프트웨어|자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고, 플러그인으로 기능을 쉽게 확장할 수 있으며, [[윈도우즈]], [[Linux|리눅스]], [[macOS]]를 모두 지원한다. 또한 [[HTML]], [[CSS]], [[JavaScript]]와 같은 웹 기술로 화면을 구현했기 때문에 웹 페이지를 편집하듯이 UI를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도 웹 관련 스크립트 언어를 작성할 때 많이 쓰인다. 우리나라에선 이런게 있는지 아는 사람이 별로 없지만, 외국에선 강력한 플러그인(대표적으로 Emmet)을 바탕으로 상당한 인기를 갖고 있다. 윈도우 7 이상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Node.js]]를 기반 코드로 하여 [[Electron(프레임워크)|Electron]]이라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정확히는, 원래 Atom의 개발을 위해서 Atom Shell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된 것을 확장하여 오픈소스화한 것이 Electron이다. 텍스트 에디터치고는 실행 속도가 좀 느리다. 소스 파일의 용량이 좀 크다 싶으면 [[Sublime Text]]에 비해 자주 뻗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꼭 웹 기반이라 그런 것도 아닌 것이, 같은 Electron 기반의 [[Visual Studio Code]]와 비교해도 램 사용량이 더 많고 실행 속도, 파일 로딩 속도에서 뒤쳐진다. VS Code도 그렇게 실행 속도가 빠른 건 아니라는 점에서 이 부분은 상당한 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VS Code로 넘어가는 경우도 많아졌다. 이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tps://github.com/atom/xray|xray]]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프론트엔드는 여전히 Electron을 사용하지만 백엔드를 [[Rust(프로그래밍 언어)|Rust]]로 새로 짜고 텍스트 렌더링을 [[WebGL]]로 처리하는 등 성능 향상에 중점을 뒀다. 그러나 2019년에 들어서 업데이트가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고, 기여자들도 [[https://github.com/atom/xray/issues/177#issuecomment-479631340|부정적인 전망을 내비친 것으로 보아 프로젝트는 무산된 듯하다]]. Atom의 애드온 중에 세팅값을 GitHub을 통해 여러 기기에 동기화해주는 애드온이 있는데, 이 기능을 [[Visual Studio Code]]가 흡수해 버리기도 했다. 요즘 들어서는 [[Visual Studio Code]]보다 크게 속도나 퍼포먼스가 딸리는 건 아닌데, 이미 개발사 및 개발 라이브러리가 [[마이크로소프트|저 쪽]]으로 넘어가 버렸으니 미래가 상당히 불투명하다. 그래도 기능을 대부분 생략하고(익스텐션을 별로 깔지 않고) 간단한 스크립팅 용으로 사용하면 가볍게 사용할 수는 있다. 순정 상태는 [[Visual Studio Code]]보다 기능이 훨씬 적기 때문. 그나마 [[Sublime Text]] 처럼 유료는 아니라 위안이 된다. --이름과는 달리-- [[인텔 아톰 시리즈]] 환경에서는 실사용이 어려운 편이다.[* [[크로뮴 프로젝트]] 기반이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웹 브라우저]]를 띄워놓고 텍스트 에디터로 사용하는 것에 가깝다.] 64비트 운영체제에서 좀 더 수월하게 기동할 수 있으며, 실제로도 업데이트를 거치면서 64비트 운영체제만 지원하도록 바뀌었다. 여담으로 윈도우즈에서 설치 시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를 띄우지 않는다. 우주선에 짐을 싣는 장면만 보여 줄 뿐. 이는 설치 파일을 Program Files가 아닌 계정 폴더에다가 넣기 때문이다. 또한 업데이트할 때 가끔 [[안티 바이러스]]가 자주 오진을 일으킨다. 아톰 업데이트 중 악성코드 경고가 뜬다면 검사 예외 처리를 해 줘야 한다. 이후 패치로 수정되었다. 윈도우 버전 한정으로, 마우스 우클릭 시 나오는 메뉴의 "Open with Atom" 항목이 프로그램을 삭제한 후에도 남아 있는 버그가 있다. [[https://discuss.atom.io/t/how-to-remove-open-with-atom-from-desktop-context-menu/21220|레지스트리 파일을 찾아서 직접 삭제해 주어야 했다]]. 현재는 수정되었다. 비슷한 에디터로 [[Brackets]]가 있다. 이건 [[어도비]]에서 만들었지만 오픈 소스로 배포되며 확장성보다는 웹 프로그래밍에 더 중점을 두었다. == 종료 == 상기한 개발 부진으로 인해 결국 [[GitHub]] 측은 2022년 12월 15일에 [[https://github.blog/2022-06-08-sunsetting-atom/|Atom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로 결정했고, 앞으로는 [[Visual Studio Code]]의 사용 환경 개선에 집중한다고 밝혔다. 이젠 [[Visual Studio Code]] 등의 대체제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이제는 [[https://atom.io/|Atom 홈페이지]]에 접속해도 바로 [[https://github.blog/2022-06-08-sunsetting-atom/|프로젝트 중단 페이지]]로 리다이렉션 되는 등 완전히 지원이 종료된 듯 하다. Atom 개발자 다수는 GitHub에서 독립하여 현재 [[https://zed.dev|Zed]]라는 에디터를 만들고 있다. Zed는 에디터의 모든 부분이 [[Rust]]로 만들어졌으며, 이미 에디터 중에서 가장 가볍고 빠른 편인 [[Sublime Text]]보다도 빠른 속도와 적은 메모리 사용량을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그 외에 공동 편집 기능을 내세우는 등, Atom에서의 xray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만들어진 듯한 모습을 보인다. 현재 공개 베타 테스트 중이며, [[macOS]]만 지원한다. == 관련 문서 == * [[Sublime Text]] * [[Visual Studio Code]] * [[Brackets]] * [[Electron(프레임워크)]] [[분류:GitHub]][[분류: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분류:문서 편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