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속도로를 뜻하는 독일어 단어, rd1=아우토반)] [목차] == [[크라프트베르크]]의 음반 == [include(틀:Kraftwerk 3D Catalogue)] || '''Autobahn의 헌액 및 등재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40대 가장 혁신적인 앨범)]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15)]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328)]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764, 연도=1998)]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137)]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Autobahn)] ---- }}} || ||<-2> '''{{{+1 Autobah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coolibri.de/cover_kraftwerk_autobahn.jpg|width=100%]][br]{{{-1 2009년 리마스터 표지[br]리마스터 앨범에 리마스터 전 재킷이 부클릿으로 끼워져있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리마스터 이전 표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ring.cdandlp.com/115117681.jpg|width=100%]][br]{{{-1 에밀 슐트가 제작했다. 초기판은 아니다.}}}}}} ||}}}}}}}}} || || '''발매''' ||1974년 11월 1일|| || '''녹음''' ||1973년|| || '''녹음실''' ||[[서독]] [[뒤셀도르프]], 클링 클랑 스튜디오[br]코니 플랭크의 스튜디오|| || '''장르''' ||일렉트로닉 팝, [[일렉트로닉]], [[크라우트록]]|| || '''길이''' ||42:27|| || '''곡 수''' ||5곡|| || '''프로듀서'''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 '''레이블''' ||필립스|| 1974년 11월 1일 발매. 실험 음악 성격이 강하던 전작들과는 달리 비교적 부드러운 소리가 돋보인다. 타이틀 곡인 아우토반이 무려 22분 43초짜리이며, 이 앨범으로 각국 싱글 차트[* 빌보드 핫 100의 25위를 한 기록이 있다.]에 랭크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된다. 밴드의 정체성 확립과 세계적인 명성에 큰 역할을 주었기 때문인지 크라프트베르크는 전작 3부작들을 정식 앨범으로 취급하지 않고, 이 앨범부터 진정한 1집으로 취급한다. 앨범 초기만 해도 전작의 앨범처럼 필립스 레이블에 묶여있었다. 커버도 지금과는 달랐다. 2015년 그래미 시상식에서 아우토반 앨범이 명예의 전당에 올라갔다. 모든 곡의 가사는 랄프 휘터와 플로리안 슈나이더, 에밀 슐트가 작사했으며 랄프와 플로리안이 모든 곡을 작곡했다. === 트랙 리스트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작사'''}}} || {{{#fff '''작곡'''}}} || {{{#fff '''재생 시간'''}}} || || '''1''' || '''Autobahn''' ||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에밀 슐트 ||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 22:30 || || '''2''' || '''Kometenmelodie 1''' || - ||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 6:20 || || '''3''' || '''Kometenmelodie 2''' || - ||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 5:44 || || '''4''' || '''Mitternacht''' || - ||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 4:40 || || '''5''' || '''Morgenspaziergang''' || - ||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 4:00 || ==== Autobahn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94)] [youtube(vkOZNJYAZ7c)] '''"아우토반"''' {{{#!folding 【가사 펼치기·접기】 ||'''Autobahn''' [[아우토반]] '''Autobahn''' 아우토반 '''Autobahn''' 아우토반 '''Autobahn''' 아우토반 '''(AUTOBAHN)''' (아우토반)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Vor uns liegt ein weites Tal''' 우리 앞엔 드넓은 계곡이 있고 '''Die Sonne scheint mit Glitzerstrahl''' 햇빛이 반짝거리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Die Fahrbahn ist ein graues Band''' 도로는 회색 줄이라네 '''Weisse Streifen, gruener Rand''' 흰색 줄무늬에, 초록색 테두리인 '''(AUTOBAHN)''' (아우토반) '''(AUTOBAHN)''' (아우토반)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Jetzt schalten wir ja das Radio an''' 이제 라디오를 켜서 '''Aus dem Lautsprecher klingt es dann:''' 스피커로부터 소리를 듣자 '''Wir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Wir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Wir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 우린 아우토반을 달려, 달려,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ahr'n auf der Autobahn''' 아우토반을 달려||}}}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youtube(PJM9xpvMbJ0)] 1975년경의 라이브 영상. 랄프 휘터와 플로리안 슈나이더가 함께 부른다. [youtube(qvjoOQBMCXk)] 2004년경 [[Minimum-Maximum]] 시절의 라이브 영상. 아우토반이 개통됐을 당시의 영상을 같이 띄워서 보여줬으나 해당 영상이 [[나치 독일]] 시절의 영상인지라 2010년대부턴 나오지 않는다. [youtube(XVr7kdS5kC4)] 2009년 스테판 파페 가입 후 3D공연시 틀어주는 라이브 영상. 곡은 [[3-D The Catalogue]]버전으로, 영상엔 에밀 슐트가 제작했던 앨범 커버 삽화가 애니메이션화 되었으며 [[폭스바겐]]이나 [[메르세데스-벤츠]]같은 독일 차량들이 등장한다. 중간에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음표들의 3D효과가 일품이며, [[폭스바겐 비틀]]이 아우토반을 빠져나가며 곡이 끝난다.||}}} 자동차 시동이 걸리는 경쾌한 소리부터 시작하는 노래. 밴드의 대표곡이자 첫 히트곡이다. 라이브시에 가끔 처음의 자동차 시동이 걸리다가 꺼지는 소리를 90년대에 샘플링하기도 했는데 요즘은 안 한다. 1979년 영국의 애니메이터 로저 메인우드(Roger Mainwood)가 제작한 [[https://www.youtube.com/watch?v=GeU9I_864jI|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도 유명하다. 1975년 5월에 3분짜리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2019년 3월 22일에 싱글이 재발매되었다. 1991년 [[The Mix]] 앨범에서는 9분 27초로 줄어든 버전으로 리믹스되어 수록되었으며, [[Minimum-Maximum]] 앨범에서는 2004년 독일 베를린 템포드롬 공연을 녹음한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2017년 [[3-D The Catalogue]]에선 14분 27초로 녹음되었으며, 현재 라이브에서는 특수한 경우[* 아우토반 카탈로그 공연이나 앵콜 등]를 제외하면 9분으로 자른 버전을 사용한다. ==== Kometenmelodie 1 ==== [youtube(HS674lYAqu4)] '''"혜성의 멜로디 1"'''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 [youtube(_dDYkCM1EQs)] 2015년의 암스테르담 라이브 공연. [youtube(f3LUCSHmuC4)] 2017년 [[3-D The Catalogue]]에서 공개된 라이브 3D 공연 영상. 혜성과 함께 오선지의 음표들이 일렁거리며 등장한다.||}}} 혜성의 멜로디는 1973년에 발견된 코후텍 혜성에 영감을 받아 작곡한 곡이다. 또한 현재까지도 라이브에서 연주되는 가장 오래된 곡[* 사실 현재 라이브에서 가장 오래된 곡은 라이브가 시작하기 전 무대에서 흘러나오는 Pre-show Music인 [[Kraftwerk 2]] 앨범의 "Klingklang" 이지만 라이브로 연주는 하지 않는 녹음된 버전이다.]인데, 1973년에 이미 작곡되어 "Kohoutek - Kometenmelodie" 라는 싱글로 출시되었고, 그 후에 아우토반 앨범에 수록되었다. ==== Kometenmelodie 2 ==== [youtube(FyzkykVO6wM)] '''"혜성의 멜로디 2"'''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 [youtube(POdDJOhkcWs)] 2009년 스테판 파페 가입 후 제작된 라이브 영상. 영상은 [[3-D The Catalogue]] 버전이다. 오선지의 음표와 클링 클랑 스튜디오의 로고가 지구를 공전한다.[* 음표가 지구를 공전하는 일러스트는 클링 클랑 스튜디오의 대표 로고이며, 영상에 나온 로고는 에밀 슐트가 제작한 클링 클랑 스튜디오 로고의 초기 버전이다.]||}}} 1975년에 3분짜리 싱글로 "Mitternacht"과 함께 발매되었다. ==== Mitternacht ==== [youtube(VVjscT4c1bY)] '''"자정"'''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 [youtube(ha5yQLSWHNs)] 2015년 3D 더 카탈로그 투어에서 공개한 3D 영상. 점점 화면이 밝아지면서 주택 단지의 모습을 보여준다.||}}} [[신디사이저]]로 표현한 자정. 개 짖는 소리도 신디사이저로 표현하였다. ==== Morgenspaziergang ==== [youtube(WGxoEfLK3uY)] '''"아침 산책"'''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 [youtube(7UbtrygBvNI)] 2015년 3D 더 카탈로그 투어에서 공개한 3D 영상. 동이 트는 하늘을 보여준다.||}}} [[신디사이저]]로 표현한 아침, 개울물 흐르는 소리부터 새 지저귀는 소리 등 모든 걸 신디사이저로 표현하였다. === 크레딧 === * 원 앨범 레이블의 크레딧 * 랄프 휘터 - 보컬, 일렉트로닉, 음악, 컨셉, 생산 * 플로리안 슈나이더 - 보컬, 일렉트로닉, 음악, 컨셉, 생산 * 클라우스 뢰더 - 바이올린, 기타, "Mitternacht" 전자 바이올린[* 이 부분은 1985년 재발매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 볼프강 플뤼어 - 퍼커션 * 코니 플랭크 - 엔지니어 * 바바라 니묄러 - 사진 * 2009년 리마스터 크레딧 * 랄프 휘터 - 음성, 일렉트로닉, 신디사이저, 오르간, 피아노, 기타, 전자 드럼, 아트워크 재구성 * 플로리안 슈나이더 - 보컬, 보코더, 일렉트로닉, 신디사이저, 플루트, 전자 드럼 * 볼프강 플뤼어 - "Kometenmelodie 1, 2" 일렉트로닉 퍼커션 * 클라우스 뢰더 - "Mitternacht" 전자 바이올린 * 요한 잠브리스키 - 아트워크 재구성 === 기타 === [[3-D The Catalogue]]에선 Kometenmelodie 1 / Kometenmelodie 2 / Mitternacht / Morgenspaziergang 4곡이 차례대로 믹스되었다. == 일본의 동인 에로게 서클 == 일본의 동인 에로게 서클이다.주로 [[유부녀]]와 [[네토라레]]에 대한 [[누키게]]로 유명하다. 다음으로 주력하는게 원조교제다.국내에도 [[인처]][[모에]]에 허덕이는 소수의 변태에게 꽤 알려져있으며 간혹 [[네이버 지식iN|지식iN]]에서 에로게를 추천해달라는 질문에 이회사 작품이 답변으로 올라오는 일도 종종있다.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게임의 주 공략 캐릭터들의 나이대가 기본이 20대 후반 ~ 30대 이상인 [[유부녀]]라는 것 또한 특징. 평균 2000엔선으로 DL판매도 하고있다. [[분류:1974년 음반]][[분류:독일의 음반]][[분류:제목이 독일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