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트라이더 아마추어 게임단)] ---- ||<-7> [[파일:AxelZ Logo.png|width=300]] || ||<-7> '''{{{#white {{{+1 악셀즈}}}}}}''' || ||<-7> '''{{{#white {{{+1 AxelZ}}}}}}''' || || '''{{{#ffffff 결성}}}''' ||<-6>[[2022년]] [[2월 13일]] || || '''{{{#ffffff 해체}}}''' ||<-6>[[2022년]] [[5월 21일]] || || '''{{{#ffffff 팀 컬러}}}''' ||<-6>{{{+5 {{{#683efa ■}}} {{{#ef532e ■}}}}}} || || '''{{{#ffffff 주장}}}''' ||<-6>[[박대한(프로게이머)|박대한]] || || '''{{{#ffffff 약칭}}}''' ||<-6>{{{+1 '''{{{#ffffff AX}}}''' }}} || ||<-7> '''{{{#ffffff 해체 당시 우승 기록}}}''' || || '''{{{#ffffff 개인전[br](1회)}}}''' ||<-6>[[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2022-1]]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 || ||<-7> '''{{{#ffffff 해체 당시 로스터}}}''' || ||<|3> '''{{{#ffffff ACTIVE}}}''' ||<-3> SPEED ACE [br]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 ||<-3> RUNNER [br]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안정환 || ||<-3> SWEEPER [[파일:crwn.png|width=15]]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대한(프로게이머)|박대한]] ||<-3> HYBRID [br]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진우(프로게이머)|전진우]] || ||<-3> ITEM ACE [br]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한정진]] ||<-3> || [목차] == 개요 == 2022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의 아마추어 팀으로, 아마추어 팀 답지 않은 상당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엄청난 임팩트를 남기게 되었다. == 주요 기록 == ||<-5><#8a2be2> '''{{{#fff 개인전 우승 기록}}}''' || ||<-5>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개인전 우승''' || || [[이재혁]] || → ||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 || → || [[리우창헝|NEAL]] |||| == 역사 == ===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2022 시즌 1]] === ||<-14> [[파일:KL_2022_1.png|width=30]] '''{{{#fff 2022 신한은행 Hey Young Kartrider League Season 1 경기 결과표}}}''' || ||<|2> {{{#white '''라운드'''}}} ||<-8> {{{#white '''본선'''}}} ||<-2> {{{#white '''포스트시즌'''}}} || ||<-7> {{{#white '''8강 풀리그'''}}} ||<|8> {{{#white '''8[br]강[br]최[br]종[br]순[br]위'''}}} || {{{#white '''와일드카드전'''}}} || {{{#white '''준플레이오프'''}}} || || {{{#white '''팀'''}}} || [[BLADES|[[파일:BLADES_logo.png|width=30]]]]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30]]]] || [[파일:DDK_2022_S1.png|width=30]] || [[파일:LATTE Logo.png|width=30]]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width=30]]]] || [[파일:Phase Logo.png|width=30]] || [[Team GP/카트라이더|[[파일:Team_GP_logo.png|width=30]]]] || [[Team GP/카트라이더|[[파일:Team_GP_logo.png|width=30]]]]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30]]]] || || {{{#white '''날짜'''}}} || 3/2 || 3/5 || 3/12 || 3/16 || 3/23 || 4/6 || 4/9 || 4/16 || 4/20 || || {{{#white '''세트 승'''}}} || 1 || 0 || 2 || 2 || 2 || 2 || 2 || 2 || 0 || || {{{#white '''세트 패'''}}} || 2 || 2 || 0 || 0 || 1 || 1 || 1 || 1 || 2 || || {{{#white '''트랙 승'''}}} || 3 || 3 || 6 || 6 || 4 || 5 || 5 || 7 || 3 || || {{{#white '''트랙 패'''}}} || 6 || 6 || 0 || 1 || 4 || 5 || 5 || 7 || 8 || || {{{#white '''결과'''}}} || 패 || 패 || 승 || 승 || 승 || 승 || 승 ||<|5> '''준플레이오프 진출''' ||<|5> '''4위''' || || {{{#white '''전적'''}}} || 0승 1패 || 0승 2패 || 1승 2패 || 2승 2패 || 3승 2패 || 4승 2패 || 5승 2패 || {{{#white '''5승 2패'''}}} || || {{{#white '''세트 득실'''}}} || -1 || -3 || -1 || +1 || +2 || +3 || +4 || {{{#white '''+4'''}}} || || {{{#white '''트랙 득실'''}}} || -3 || -6 || 0 || +5 || +5 || +5 || +5 || {{{#white '''+5'''}}} || || {{{#white '''순위'''}}} || 7 || 7 || 6 || 4 || 4 || 4 || 4 || {{{#white '''4'''}}} || 온라인 예선에서 같은 조에 Latte가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단 한 트랙도 내주지 않고''' 본선에 진출했다. 개인전에는 3명이 본선 진출에 성공하여 전진우와 김다원이 B조에, 안정환이 D조에 배정되어 참가했다. 첫 경기 상대는 디펜딩 챔피언 [[BLADES]]. 비록 3대0으로 스피드전을 패배하긴 했지만 김다원은 꽤 괜찮은 경기 내용을 선보이며 나름 주목받았다. 아이템전을 이기고 에결로 갔지만 김지민에게 안정환이 패하며 세트 득실 -1로 선방한걸로 만족해야 했다. 두 번째 경기도 강팀 리브 샌드박스. 그런데 놀랍게도 샌박 선수들을 상대로도 밀리지 않는 엄청난 실력을 보였다. 특히 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좌표에서는 김다원 홀로 1분여동안 상위권에서 3명을 상대로 버티며 팀원들의 합류 시간을 벌고 승리했고, 문힐시티 폭우속의 질주에서는 팀원들의 스위핑에 힘입어 김다원이 어택을 하듯이 치고나가는 주행 능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외 다른 트랙에서도 김다원이 꾸준히 상위권에서 버텼지만 아쉽게도 스피드전은 3대2로 석패하고 아이템전도 3대1로 내주었지만, 존재감을 제대로 과시했다. 3월 5일 개인전 B조 김다원과 전진우가 출전해서 16강 진출했다. 이어진 두두카와의 대결에서도 그야말로 절정의 폼을 보이며 6:0으로 제압, 일반적인 아마팀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걸 입증했다. 라떼와의 대결에서는 6:1로 승리하며 더욱 존재감을 뽐내고 있다. 3월 19일 개인전 D조 안정환이 출전해서 16강 진출했다. 광동과의 대결에서는 [[이은택(프로게이머)|이은택]]의 부진을 틈타 에결까지 끌고 와서 김다원이 에결에 출전하게 되었는데, 무려 '''[[Liiv SANDBOX/카트라이더|Liiv SANDBOX]], [[BLADES]]도 이루지 못한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광동 프릭스]] 승리를 거두는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며 KDF의 전승우승을 좌절'''시키며 고춧가루를 제대로 뿌렸음과 동시에 향후 경기 결과에 따라 준플레이오프에 직행할 수 있는 기회도 생겼다. 이로써 이번 시즌 첫 출전한 일회성 아마추어팀임에도 네임드가 급속도로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후 PS와의 경기를 에결 끝에 이겨내면서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지었다.'''[* 이후 무슨 짓을 해도 PS가 AX의 승리 수를 따라잡을 수 없다.] 이후 GP와의 대결이 이번 리그의 핵심 경기가 될 것이라고 점쳐지는 중. 8강 마지막 경기인 GP와의 대결에서는 스피드를 내주고 아이템전을 2패까지 가면서 벼랑 끝에 내몰렸으나 이내 '''역스윕을 해내면서 에결까지 끌고 갔다.''' 그리고 에결에서 김다원이 [[고병수(프로게이머)|고병수]]와 붙게 되었는데 1랩 중반부 다리 점프 구간에서 '''그대로 고병수를 {{{#00AAFF 입수(入水)}}}[* 이름하야 故병수존 또는 Go병水존으로 불린다. ]시키면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이로써 악셀즈는 자신들의 19-2 이후 아마추어팀 최다승 기록[* 5승 2패. 기존 기록은 WHEELZ와 [[Frozen(게임단)|Frozen]]의 3승 4패다.]을 자체 경신했고, 8강 풀리그에서 4위 이상을 기록한 최초의 아마추어팀이 되었다. 종합하자면 스피드전보다는 아이템전에 더욱 강세를 보이는 아마추어팀으로[* 이런 점에서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2021-S]]의 Afreeca Freecs를 연상케 한다.], 21-1의 [[Frozen(게임단)|Frozen]] 이후로 간만에 임팩트를 과시하는 아마팀이 등장했다는 평.[* 비록 아마추어팀이 4팀이나 출전한 리그이기는 하지만, 프로팀이 등장한 2019 시즌2 이후 '''프로팀을 2팀이나 꺾은 아마추어팀'''은 악셀즈가 유일하다.] 4월 9일 개인전 16강 2경기 김다원, 안정환, 전진우가 출전해서 김다원, 안정환이 승자전 진출하고 전진우는 패자전에 진출했다. 와일드카드전에서 GP와의 리매치가 성사되었다. 스피드전을 내주고 아이템전까지 3대1로 끌려가고 있었으나 기적적으로 3연속으로 이기면서 에결까지 가게 되었고 전진우가 임재원을 상대로 승리하면서 8강에서 GP를 이긴게 우연이 아닌것을 증명하고 '''아마추어팀 최초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4월 16일 개인전 16강 승자전 김다원, 안정환이 출전해서 최종전에 진출했다. 준플레이오프전에서는 샌드박스와의 매치가 성사되었다. 스피드전에서는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면서 0:3으로 끌려갔지만, 4set에 샌드박스가 픽한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를 잡아내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황금좌표에서는 픽을 직접 했음에도 불구하고[* 샌드박스는 올 시즌 황금좌표에서 0승 2패를 기록할 정도로 부진했다.][* 정규시즌 경기에서 샌드박스를 상대로 황금좌표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앞선 두 가지 이유 때문에 황금좌표를 5set에 픽한 것으로 추정된다.], 뛰어난 팀워크를 발휘한 샌드박스에 패배하여 1:4로 패배하였다. 아이템전에서는 샌드박스를 제외한 모든 팀에게 승리를 거둔 팀답게, 샌드박스의 선픽 트랙인 빌리지 시계탑을 잡아내기도 하고, 종종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는 했으나 결정적 순간마다 샌드박스의 화려한 플레이들에 당하면서 2:4로 패배, 총합 스코어 0:2로 4위[* 역대 아마추어팀 최고 성적.]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시즌을 종합하자면, 2019 시즌2 이후 '''아마추어팀 최초로 4강에 진입'''할 정도로 강력한 인상을 남겼다고 볼 수 있다. 스피드전을 내줘도 아이템전에서 어떻게든 잡아서 에이스 결정전으로 끌고 가고, 승리를 얻은 경기가 무려 4경기[* 광동 프릭스, GP(정규시즌, 와일드카드전), Phase]나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아이템전만 한정하자면, 샌드박스를 제외한 모든 팀을 상대로 아이템전 세트를 얻어내는 놀라운 실력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뒷심이 굉장히 강력한 팀으로서 큰 인상을 남겼다. 앞으로 이 멤버들로 프로팀이 창단이 되어 카트리그판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팀으로 이어질 지[* 다만 전진우는 입대 예정이기에 전진우 자리에는 다른 선수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 이 멤버들이 각각 프로팀에 스카웃되어서 더 큰 선수가 될 지는 다음 시즌 스토브리그에서도 큰 화젯거리가 될 것이다. 4월 23일 개인전 16강 패자전 전진우가 출전했지만 탈락했고 이어지는 16강 최종전에 김다원과 안정환이 출전했지만 김다원만 개인전 결승에 진출했다. 4월 30일 개인전 결승전에 김다원이 출전해서 송용준을 밀어내고 2인전에 진출했고 2인전에 출전해서 박인수를 이기고 개인전 우승을 했다. 이로써 2019년 이후 '''개인전 우승자를 배출한 최초의 아마추어팀'''이 되었다. 그리고 대전 레이싱 챌린지가 끝난 이후 전진우의 인스타에 "악셀즈 진짜 끝!"이라는 메시지가 올라온 것으로 보아 악셀즈는 한 시즌만 참전하고 해체되는 것으로 보인다. 각 멤버들이 다음 시즌에 어떤 팀으로 이적할 지 기대되는 부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다원(프로게이머), version=112)] == 역대 상대 전적 == ||<|4> {{{#fff '''팀'''}}} ||<-14> '''{{{#fff AxelZ 팀전 팀별 역대 상대 전적}}}''' || ||<-4> {{{#fff '''총 전적'''}}} ||<-4> {{{#fff '''스피드 전적'''}}} ||<-4> {{{#fff '''아이템 전적'''}}} ||<-2> {{{#fff '''에결 전적'''}}} || ||<-2> {{{#000,#fff '''경기'''}}} ||<-2> {{{#000,#fff '''SET'''}}} ||<-2> {{{#000,#fff '''SET'''}}} ||<-2> {{{#000,#fff '''TRACK'''}}} ||<-2> {{{#000,#fff '''SET'''}}} ||<-2> {{{#000,#fff '''TRACK'''}}} ||<|2> {{{#000,#fff '''승'''}}} ||<|2> {{{#000,#fff '''패'''}}} ||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 [[BLADES|[[파일:BLADES_logo.png|height=30]]]] || 0 || 1 || 1 || 2 || 0 || 1 || 0 || 3 || 1 || 0 || 3 || 2 || 0 || 1 ||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height=30]]]] || 0 || 2 || 0 || 4 || 0 || 2 || 3 || 7 || 0 || 2 || 3 || 7 || 0 || 0 || || [[KWANGDONG FREECS/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height=30]]]] || 1 || 0 || 2 || 1 || 0 || 1 || 0 || 3 || 1 || 0 || 3 || 1 || 1 || 0 || || {{{#white '''해체된 프로팀'''}}} || 2 || 0 || 4 || 2 || 0 || 2 || 3 || 7 || 2 || 0 || 7 || 5 || 2 || 0 || || {{{#white '''아마추어팀'''}}} || 3 || 0 || 6 || 1 || 2 || 1 || 7 || 3 || 3 || 0 || 9 || 3 || 1 || 0 || || {{{#fff '''총 전적'''}}} || 6 || 3 || 13 || 10 || 2 || 7 || 13 || 21 || 7 || 2 || 25 || 18 || 4 || 1 || {{{#!folding [ 해체된 프로팀과의 전적 ] ||<|4> {{{#fff '''팀'''}}} ||<-14> '''{{{#fff 해체된 프로팀과의 팀전 팀별 역대 상대 전적}}}''' || ||<-4> {{{#fff '''총 전적'''}}} ||<-4> {{{#fff '''스피드 전적'''}}} ||<-4> {{{#fff '''아이템 전적'''}}} ||<-2> {{{#fff '''에결 전적'''}}} || ||<-2> {{{#000,#fff '''경기'''}}} ||<-2> {{{#000,#fff '''SET'''}}} ||<-2> {{{#000,#fff '''SET'''}}} ||<-2> {{{#000,#fff '''TRACK'''}}} ||<-2> {{{#000,#fff '''SET'''}}} ||<-2> {{{#000,#fff '''TRACK'''}}} ||<|2> {{{#000,#fff '''승'''}}} ||<|2> {{{#000,#fff '''패'''}}} ||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000,#fff '''승'''}}} || {{{#000,#fff '''패'''}}} || || [[Team GP/카트라이더|[[파일:Team_GP_logo 하얀 테두리.png|height=30]]]] || 2 || 0 || 4 || 2 || 0 || 2 || 3 || 7 || 2 || 0 || 7 || 5 || 2 || 0 ||}}} == 여담 == * 아마팀 답지 않은 엄청난 성과를 팀전에서 보이며 주목을 받고 있는데, [[Liiv SANDBOX/카트라이더|샌드박스]]가 SAVIORS를 영입해서 창단한 것처럼 [[SGA 인천/카트라이더|SGA]]의 복귀 떡밥에 항상 언급되고 있고, 그게 아니라도 AxelZ의 멤버 일부를 프로팀에서 데려갈 거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박대한은 2021-2에 TBP에 소속되어 본선에 출전한 경력이 있고, 예선탈락까지 포함하면 전진우와 한정진이 NTC에 소속된 적이 있어 팀원 중 3명이 프로팀 생활을 해봤다는 이점이 있다. 기존 프로팀 선수들 중 몇몇의 고령화, 기량 하락으로 인해 공석이 발생할 경우 AxelZ의 선수들이 바로 1순위로 선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은 어느 팀이든 꼭 데려갈 거라는 추측이 많다.[* 문호준이 과거에 신인 아마추어 선수들이 개인전 8인 결승전에 진출한다면 더 좋은 상위 프로팀에서 입단 제의가 올 것이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이들은 개인전을 넘어 팀전에서까지 아마추어팀 중 매우 대단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 심지어 그 김다원이 '''대형사고'''를 저질렀다. 개인전 결승에서 '''김다원이 [[박인수]]를 상대로 개인전 우승까지 달성해버린 것이다.''' 이를 통해 김다원은 4차리그 [[강진우(프로게이머)|강진우]] 이후로 '''약 16년만에''' 첫 출전에 개인전을 우승하는 '''로얄로더'''가 되었으며 개인전-팀전 병행 이후 2번째로 '''아마추어팀에서 배출한 개인전 우승자'''가 되었다.[* 첫번째는 듀얼 레이스3 게임킹 소속의 팀전 개인전 양대우승한 문호준이다.] 그리고 리그의 프로화(19-2) 이후로는 최초의 아마추어팀 소속 우승자가 되었다. * PC 카트 아마추어팀 악셀즈가 프로팀 4강 구도를 깨고 카러플 아마추어팀 [[크크하이]]가 프로팀 3강 구도를 깨고 블레이즈와 게임코치, 락스가 사실상 해체되고 프릭스는 우승을 한번도 못했기 때문에 PC 카트 및 카러플 프로팀 1강 [* [[Liiv SANDBOX/카트라이더]]] 구도가 탄생했다.[* 2015년 이전에는 [[AN-Gaming]]의 1강 체재였다.] == 역대 로스터 == [include(틀:AxelZ/역대 로스터)] === 로스터 연혁 === ||<-6> '''{{{#fff 로스터 연혁}}}''' || || '''{{{#fff 이름}}}''' || '''{{{#fff 포지션}}}''' || '''{{{#fff 이전 소속}}}''' || '''{{{#fff 입단}}}''' || '''{{{#fff 퇴단}}}''' || '''{{{#fff 이적 팀}}}''' || || '''[[박대한(프로게이머)|{{{#000000,#e5e5e5 박대한}}}]]''' || SWEEPER || [[파일:2021-S_Xpec.png|height=15]] Xpec ||<|5> 2022 - 1[br],,2022년 2월 13일,, ||<|5> 2022 - 1[br],,2022년 5월 21일,, || [[On-Off|[[파일:2022-S On-Off.png|width=20]] {{{#black,#orange On-Off}}}]][br]{{{-3 (2022 - SC)}}} || || '''[[전진우(프로게이머)|{{{#000000,#e5e5e5 전진우}}}]]''' || HYBRID ||<|2> [[NTC CREATORS/카트라이더|[[파일:NTC_icon.png|width=30]] {{{#black,#orange NTC CREATORS}}}]][br]{{{-3 (2021 - 2)}}} || 팀전 휴식 및[br] 개인전만 참여 || || '''[[한정진|{{{#000000,#e5e5e5 한정진}}}]]''' || ITEM ACE || 휴식 || || '''[[김다원(프로게이머)|{{{#000000,#e5e5e5 김다원}}}]]''' || SPEED ACE ||<|2> - || [[DFI BLADES/카트라이더|[[파일:DFI BLADES_logo.png|width=20]]]] [[DFI BLADES/카트라이더|{{{#black,#orange DFI BLADES}}}]] || || '''안정환''' || RUNNER || [[Glorious H|[[파일:Glorious H.png|width=20]] {{{#black,#orange Glorious H}}}]] || == 역대 성적 == === 팀전 === ||<-6> [[AxelZ|[[파일:AxelZ Logo.png|height=50]]]] || ||<-6> '''{{{#fff 팀전}}}''' || || {{{#fff 기간}}} || {{{#fff 순위}}} || {{{#fff 대회}}} || {{{#fff 결과}}} || {{{#fff 상대팀}}} || {{{#fff 획득 상금}}} || || 2022.04.20 || 4위 ||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2 신한은행 Hey Young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 준플레이오프 0:2 패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black '''Liiv SANDBOX'''}}}]] || ₩ 8,000,000 || === 개인전 === ||<-7> [[AxelZ|[[파일:AxelZ Logo.png|height=50]]]] || ||<-7> '''{{{#fff 개인전}}}''' || || {{{#fff 기간}}} || {{{#fff 선수}}} || {{{#fff 순위}}} || {{{#fff 대회}}} || {{{#fff 결과}}} || {{{#fff 비고}}} || {{{#fff 획득 상금}}} || || 2022.04.30 || 김다원 || {{{#000 '''우승'''}}}[br]'''{{{★}}}''' ||<|3>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2 신한은행 Hey Young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 결승전 1R 2위[br]결승전 2R 승리 || 66점[br]'''3''' : 1[*PIS vs 박인수] || ₩ 10,000,000 || ||<|2> 2022.04.23 || 안정환 || {{{#white 9위}}} || 16강 최종전 5위 || 39점 || - || || 전진우 || {{{#white 15위}}} || 16강 패자전 7위 || 24점 || - || == 둘러보기 == [include(틀:AxelZ)] [[분류:카트라이더/e스포츠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