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CK 역대 대회)] ||<-5> [[파일:lck-old-logo-1.png|width=32]] '''{{{#fff 역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fff LoL Champions Korea}}}]] {{{#fff 일람}}}''' || ||<|2> 대회 출범[* [[LOL 인비테이셔널]]이라는 대회가 LCK의 전신으로 한번 열렸는데 이후 LCK가 정식으로 개최되면서 폐지되었다.] ||<|2> → || '''[[CJ 엔투스 블레이즈|[[파일:MiGlogo.webp|height=25]][br]MiG Blaze]]''' ||<|2> → || [[Azubu Frost]] || || '''The Champions Spring 2012''' || [[Azubu LOL the Champions Summer 2012|The Champions Summer 2012]] || ---- || [[파일:20120519200241_5206.jpg|width=100%]] || ---- ||
[[파일:images (31).jpg|width=100%]] || ---- ||<-3>
<#fff>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olglcklogo.png|height=85]]]] || ||<-3> '''{{{#white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 || {{{#white '''대회 기간'''}}} ||<-2> [[2012년]] [[3월 21일]] ~ [[5월 19일]] || || {{{#white '''주최'''}}} ||<|2> [[라이엇 게임즈|[[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2006-2019).svg|width=80]]]] ||<|2> [[OGN|[[파일:온게임넷 로고.svg|width=80]]]] || || {{{#white '''주관'''}}} || || {{{#white '''제작'''}}} ||<-2> [[OGN|[[파일:온게임넷 로고.svg|width=60]]]] || || {{{#white '''경기장'''}}} ||<-2> [[용산 e-Sports 스타디움]] || || {{{#white '''스폰서'''}}} ||<-2> [[아주부]] || ||<-3> {{{#white {{{+1 '''중계'''}}}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white '''중계 플랫폼'''}}} || {{{-3 {{{#white '''TV'''}}} }}} || || [[OGN|[[파일:온게임넷 로고.svg|width=50]]]] || ||<|10> {{{#white '''중계진'''}}} || {{{-3 {{{#white '''캐스터'''}}} }}} || || [[전용준]], [[성승헌]], [[정소림]] || || {{{-3 {{{#white '''해설자'''}}} }}} || || [[엄재경]],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 ||||}}} || ||<-3> {{{#white {{{+1 '''일정'''}}}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hite '''16강'''}}} ||<-2> [[3월 21일]] ~ [[4월 13일]] || || {{{#white '''8강'''}}} ||<-2> [[4월 18일]] ~ [[4월 27일]] || || {{{#white '''4강'''}}} ||<-2> [[5월 2일]] ~ [[5월 4일]] || || {{{#white '''3,4위전'''}}} ||<-2> [[5월 9일]] || ||<|4> {{{#white '''결승전'''}}} ||<-2> {{{-3 {{{#white '''대진'''}}} }}} || ||<-2> [[5월 19일]][br][[MiG Blaze]] vs [[MiG Frost]] || ||<-2> {{{-3 {{{#white '''경기장'''}}} }}} || ||<-2> [[일산]] [[KINTEX]] 제 2전시장 || ||||}}} || ||<-3> {{{#white {{{+1 '''대회 결과'''}}}}}}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white '''우승'''}}} }}} ||<-2> [[MiG Blaze|[[파일:MiGlogo.webp|width=35]]]] '''{{{+1 [[MiG Blaze]]}}}''' || || {{{#white '''준우승'''}}} ||<-2> '''[[MiG Frost|[[파일:MiGlogo.webp|width=25]]]]''' [[MiG Frost]]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2년 3월 21일부터 5월 19일까지 펼쳐진 [[League of Legends Champions]]의 2012 스프링 시즌. == 참가팀 == [include(틀: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참가팀)] === 특이사항 === * LOL the Champions의 첫번째 시즌. * LOL the Champions 방송 경기 사상 첫 승리와 첫 리그 진출의 영예는 오프라인 예선전의 [[Xenics Storm]]이 '''2'''연속 '''22'''킬과 함께 거머쥐었다.[*감독 '''[[홍진호]].'''] * 본선 오프닝에 한정해서 역대 LoL the Champions 오프닝들 중 Spring 2012, Summer 2012 만 선수들이 단 한명도 나오지 않고 CG로만 만들어진 오프닝 영상이 사용되었다. 결승전 오프닝부터는 선수들을 촬영하여 오프닝 영상을 제작하기 시작하여 2016년 시즌까지 계속 이어지고있다. == 이모저모 == * 총 상금은 2억원, 우승 상금은 1억원이다. * 세 달간 진행될 예정. * 본선은 16강으로 진행된다. * 1, 2경기는 픽/밴 룰로 진행되고 3경기는 블라인드 픽으로 진행된다. * 한국 시드는 [[CJ 엔투스 프로스트|MiG Frost]]와 [[나진 화이트 실드|나진 e-mFire]], 해외 시드는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과 [[CLG|CLG NA]]가 배정받았으며, [[Team OP]]와 [[StarTale/리그 오브 레전드|스타테일]]은 준시드를 받아 온라인 예선 없이 오프라인 예선 경기만 치루게 된다. * 오프라인 예선전은 아침 10시부터 '''전경기가 끝날 때까지''' 생중계된다. * 예선전은 [[나이스게임TV]]와 [[온게임넷]] 두 군데서 중계 된다. 본격 [[인터넷 방송]]과 [[케이블TV]]의 합작. * 처음에는 투니랜드 홈페이지에서 VOD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었으나, 어느 순간 아무런 공지 없이 슬쩍 유료로 바꾸었다. 그런데 유료결제를 위한 회원가입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 익스플로러 9은 정보를 입력해도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며 초기화되고, 파이어폭스는 아이디 중복 조회에서 확인버튼이 안눌러지고, 크롬은 우편번호 입력이 안된다. * 예선을 치룬 팀들은 두 리그로 나뉘어 본선을 진행하는데 LOL the Champions는 상위 리그이다. 하위 리그 [[NLB|NLB Spring 2012]](NicegameTV LOL Battle)는 미국 프로야구로 따지자면 일종의 마이너리그. * 중계진의 경우 [[전용준]], [[엄재경]], [[김태형(1973)|김태형]], [[정소림]] 등 기존의 온게임넷 스타크래프트 중계진이 총동원된다. * 현재 꽤나 호평을 받고 있고 롤 유저들은 본방에 재방까지 챙겨보는 방송이라지만 [[옵저버(e스포츠)|옵저버]]가 좀 미숙하다는 평이 많다.[* 예를 들면 정글러가 라인 습격을 들어가서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해설이 "아 바텀에서 라인습격! 바텀 봐야죠! 바텀! 바텀! 아 바텀!" 이럴 때 곧바로 바텀 라인으로 화면을 이동시켜야 하는데 조용한 미드 라인이나 탑 라인 잡고 있다가 몇 초 뒤에 바텀 라인으로 화면을 이동시키는데 대부분 상황은 이미 끝나있다. ~~보고있는 시청자가 답답해질 정도의 옵저빙~~] * 시드결정전에서 선수 불참으로 몰수패. 가히 e스포츠 역사에 길이남을 초유의 사태로 인해 경기는 시작도 못해보고 10분 만에 중계가 끝나고 말았다. [[거품게임단 몰수패 사건]] 참조. * 결승전은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MiG]] 내전으로 성사. 본격 [[얼음과 불의 노래]]였다. * 결승전은 관중석이 꽉 차는 대성황을 이루었다. 경기 결과는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결승전|결승전]] 문서 참조. == 오프닝 == [youtube(9hK12VheUr4)] 스프링 오프닝 [youtube(Jp8byoGSAN4)] 결승전 오프닝 == 경기의 진행 == [include(틀:2012 LoL Champions Korea Spring 정규시즌 경기 일람)] [[분류: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