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APC}}}'''[br]''Advanced Police Carbin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pc9_sheet 0.jpg|width=100%]]}}}|| ||<-2> {{{#000,#ddd {{{-1 APC9 신축식 [[개머리판]], [[도트 사이트]][* [[에임포인트]] 사의 마이크로 TL.], [[수직 손잡이]] 장착}}}}}} || || '''종류''' ||[[기관단총]][br][[돌격소총]][br][[저격소총]][br][[지정사수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크기=23)]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11년]]~현재 || || '''개발''' ||[[B&T]] || || '''개발년도''' ||[[2010년]] || || '''생산''' ||[[B&T]] || || '''생산년도''' ||[[2011년]]~현재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리투아니아)][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br][include(틀:국기, 국명=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r][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br][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크기=23)][br][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바키아)][br][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br][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br][include(틀:국기, 국명=요르단)][br][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 ||<-2> {{{#White '''기종'''}}} || || '''파생형''' ||APC9[br]APC45[br]APC9 SD[br]APC40 PRO[br]APC10 PRO[br]APC45 SD[br]APC9 PRO[br]APC9 PRO K[br]APC556[br]APC556 PDW[br]APC223[br]APC300[br]APC308 || ||<-2> {{{#White '''제원'''}}} || || '''탄약''' ||[[9×19mm 파라벨룸]] (APC9)[br][[.40 S&W]] (APC40 PRO)[br][[10 mm AUTO]] (APC10 PRO)[br][[.45 ACP]] (APC45)[br][[5.56×45mm NATO]] / [[.223 레밍턴]] (APC556/223)[br].300 위스퍼 / [[.300 AAC Blackout]] (APC300)[br][[.308 윈체스터]] / [[7.62×51mm NATO]] (APC308) || || '''급탄''' ||10, 15, 20, 25, 30발 들이 [[슈타이어 TMP]] / [[B&T MP9]] 박스탄창 (APC9)[br]15, 17, 25발 들이 박스탄창 (APC45)[br][[글록]] 박스탄창 (APC9 PRO, APC40 PRO, APC10 PRO)[br][[SIG P320]] 박스탄창 (APC9 PRO)[br][[STANAG 탄창]] (APC556/223, APC300)[br][[KAC SR-25|SR-25]] 박스탄창 (APC308) || || '''작동방식''' ||단순 블로우백 (APC9/45)[br][[가스 피스톤 방식]] (APC556/223, APC300 APC308)[br]회전 노리쇠 (APC556/223, APC300 APC308)[br][[클로즈드 볼트]] || || '''총열길이''' ||175mm[br]146mm (APC SD)[br]138mm (APC9 PRO K)[br]308mm (APC556)[br]264mm (APC556 단축형)[br]222mm (APC556 PDW)[br]280mm (APC300)[br]480mm (APC308)[br]330mm (APC308 단축형) || || '''전장''' ||378mm~597mm (접철식 개머리판 장착)[br]404mm~582mm (신축식 개머리판 장착)[br]556mm~768mm (APC SD)[br]372mm~550mm (APC9 PRO K)[br]612mm~841mm (APC556)[br]568mm~797mm (APC556 단축형)[br]545mm~725mm (APC556 PDW)[br]582mm~816mm (APC300)[br]811mm~1027mm (APC308)[br]611mm~874mm (APC308 단축형) || || '''중량'''[* 탄창 포함(APC9의 경우 30발 들이 탄창 포함, APC45의 경우 25발 들이 탄창 포함, APC556/223, APC300의 경우 30발 들이 탄창 포함, APC308의 경우 20발 들이 탄창 포함)] ||2.4kg (APC9 접철식 개머리판 장착)[br]2.7kg (APC9 신축식 개머리판 장착)[br]2.5kg (APC45)[br]3.0kg (APC9 SD)[br]3.1kg (APC45 SD)[br]2.7kg (APC9 PRO)[br]2.6kg (APC9 PRO K)[br]3.9kg (APC556)[br]3.8kg (APC556 단축형)[br]3.5kg (APC556 PDW)[br]3.8kg (APC300)[br]4.8kg (APC308)[br]3.9kg (APC308 단축형) || || '''발사속도''' ||1080RPM (APC9/45)[br]1000RPM (APC9/45 SD)[br]880RPM (APC45)[br]1100RPM (APC9 PRO)[br]1150RPM (APC40 PRO)[br]920RPM (APC10 PRO)[br]900RPM (APC40 PRO)[br]600RPM (APC556/223, APC300) || || '''유효사거리''' ||100m (APC9)[br]300m (APC3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위스]]의 [[B&T]]에서 제작한 [[기관단총]]/[[돌격소총]]/[[저격소총]]/[[지정사수소총]]. == APC 시리즈 공통 구조적 특징 == APC 시리즈는 각 모델마다 세부적인 사항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게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모든 모델의 조작계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탄창멈치는 모든 모델이 총기의 좌우 모두에 존재하긴 하나, 권총의 탄창을 먹는 모델과 소총 탄창을 먹는 모델은 아무래도 탄창멈치의 형상이 서로 다르긴 하다.] 심지어 체급이 아예 다른 탄을 쓰는 APC 556과 APC9마저도 하부 리시버의 조작 계통과 장전손잡이의 위치는 완전히 동일하다. 그렇기에 방아쇠 느낌과 권총 손잡이의 각도, 안전장치의 조작성,[* 총기의 좌우 모드에 존재하며, 얼추 45도 정도만 돌려도 사격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노리쇠 멈치의 위치와 작동 방식[* 총기의 좌우 모두에 존재한다. 특이하게도 노리쇠 멈치를 옆으로 누르는 방식이 아니라 자동권총의 슬라이드 멈치처럼 아래로 내리는 방식이다. 어쩌면 주로 쓰는 손이 아닌 어깨로 사격할 때 양쪽 노리쇠 멈치를 최대한 비슷한 감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 듯하다.] 마저도 같은데, 이 셋은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나 방아쇠가 군용 방아쇠치고는 압력도 낮고 매우 깔끔한 편이라고 한다. 다만 안전장치는 약간 호불호가 갈리긴 한다. [[파일:APC series buffer.jpg|width=400]] 두 번째로, 모든 APC시리즈는 기본적으로 개머리판에 유압식 완충기가 달려 있다. 이 완충기는 리시버 안쪽에 달려 있어 총탄의 반동 자체를 줄이지는 못하지만, 최소한 노리쇠가 후퇴하면서 부딪힐 때의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는 있다. == 종류 == === APC9/4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pc9(civil)_sheet 0.jpg|width=100%]]}}} || || APC9 민수용 사격 장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ZXGBBzageQ)]}}} || || [[래리 빅커스]]의 APC9(소음기 장착) 소개 및 사격 영상 || 기관단총이자 APC 시리즈의 원조이다. [[9×19mm 파라벨룸]]으로 먼저 출시되고 이후 [[.40 S&W]]과 [[10 mm AUTO]], [[.45 ACP]]를 사용하는 버전도 출시되었다. 탄창은 [[B&T MP9]]의 탄창을 호환하며, PRO 버전은 하부 총몸을 교체하면 [[글록]]의 탄창이나 2017년 [[SIG M17 MHS]]라는 제식명으로 [[미군]] 제식 [[자동권총]]으로 채용된 [[SIG P320]]의 탄창을 사용할 수 있다. 원래부터 33발 탄창이 있는 Glock과 달리, P320은 2019년 기준으로 정품 탄창은 21발이 최대여서 장탄수가 부족할 수도 있다. 그러나 Promag의 P320용 32발 탄창[[https://gunmagwarehouse.com/promag-sig-sauer-p320-9mm-32-round-magazine.html|#]]을 비롯한 서드파티 업체의 다연발 탄창이 출시되어 이들을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개머리판]]은 신축식과 접철식이 있고, 좌우측 모두 탄창 멈치와 노리쇠 멈치가 있어 [[왼손잡이]]도 문제 없이 쓸 수 있다. 발사속도가 [[CZ 스콜피온 EVO 3]]처럼 분당 1000발을 넘는데(CZ 스콜피온 EVO 3은 분당 1150발), 자동사격시 일반적인 기관단총에 비해 화력이 강하지만 짧게 끊어쏘지 않으면 탄약 낭비가 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연사속도는 애당초 3-4점사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이며, 빠른 점사에서라면 오히려 이점이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8JIqxLTBS5M|Military Arms Channel의 APC9K SCW 리뷰 영상]]에서도 완전자동과 점사의 탄착군을 비교하는데, 짧은 총열임에도 APC9K SCW은 점사 시 우수한 탄착군을 보인다.] 총구의 모양이 [[H&K MP5]]와 동일해 MP5의 소염기도 부착할 수 있다.[[https://www.hkpro.com/forum/attachments/gmp-parts-company/69162d1477569195-wts-b-t-apc9-apc45-pistols-img_3193.jpg|#]] ==== APC9/45 SD ==== H&K MP5SD처럼 APC9/45의 소음기 일체형인 모델이다. [[미국]]의 뉴욕주 웨스트체스터 [[카운티]] 경찰에서 APC9 SD를 채용했다. ==== APC9 PRO ==== [[파일:APC9-PRO-Diagram.jpg|width=500]] [youtube(ZpU4VmgKVlI)]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pc9_usar 0.jpg|width=100%]]}}} || || 2019년 [[이탈리아]]에서 APC9 PRO를 조준 중인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 예비군의 모습.[[https://www.dvidshub.net/image/5502157/reserve-soldiers-represent-us-italian-military-patrol-competition|#]] || 2019년에 나온 APC9의 개량형으로 [[AR-15]] 계열 권총 손잡이를 호환할 수 있다. 또한 노리쇠 비고정식 장전손잡이를 채용해 사격시 장전손잡이가 왕복하지 않으며, 장전손잡이를 접을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하다. 그리고 [[글록]]의 탄창이나[* 글록 탄창 버전은 모델명 뒤에 G가 붙는다.] [[SIG P320]]의 탄창을 호환하는 하부 총몸도 나왔다.[* 권총 탄창에 맞춰 탄창 삽입구 각도가 수직이 아닌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2019년 이후 APC45 PRO도 개발되어 출시되었다. ===== APC9K PRO ===== [[파일:apc9k_sheet 0.jpg|width=500]] [youtube(8JIqxLTBS5M)]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pc9k_usa 0.jpg|width=100%]]}}} || || 2020년 미 육군군사경찰학교(USAMPS) 훈련 중의 모습 [[https://twitter.com/MP6USAMPS/status/1258923433443971073|#]] || APC9 PRO의 단축형 모델. [[미군]]의 헌병 경호특무대(Personal Security Details) 전용 기관단총 도입 사업인 [[Sub Compact Weapons]]에 참여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2019년 4월 1일에 유력한 선정 후보인 [[SIG MPX]][* 이미 [[미 육군]] 특수부대에서 사용중이었다.] 외 4개 모델과의 경쟁에서 승리해 제식 선정되었으며, 총 350정을 구매했다. 위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요구 조건에 맞추기 위해 총열과 총열덮개가 짧아져 사격시 맥웰 그립으로 잡아야 한다. [[아르헨티나군]] 특수부대가 2021년 2월에 APC9 PRO G, APC9 SD PRO G와 함께 APC9K PRO G를 채택했다.[[https://www.thefirearmblog.com/blog/2021/02/12/new-glock-bt-submachine-guns-for-argentina/|#]] 2023년 대한민국 육군 [[제707특수임무단]]에서도 사용이 확인되었다.[[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p7a147&logNo=223057030197&navType=by|#]] === APC556/223 === ==== APC55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NrueJukUtM)]}}} || || 래리 빅커스의 소개 및 사격 영상 || 5.56×45mm NATO와 .223 레밍턴을 사용하는 APC 시리즈의 돌격소총 버전.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며, 4000발 가량의 탄약을 이 총으로 사격해본 한 유튜버에 따르면 '피스톤으로의 가스의 유입량은 너무 많아서 지나친 반동을 주지도, 그렇다고 너무 낮아서 총기의 작동 신뢰성을 저해하는 수준도 아닌 딱 적당한 수준' 이라고 한다. 또한 가스 피스톤에는 소음기를 장착했을 때 약실 내의 압력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스 조절기가 달려 있는데, 조절기를 두 위치 중 한 곳으로 놓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핸드가드로는 알루미늄 핸드가드를 사용하는데,굉장히 튼튼하기 때문에 레이저 표적지시기를 장착하기도 좋을 뿐더러 내구성도 높은 편이다. 다만 최신 현대 소총과는 달리 총열과 가스블록이 레일 전방에 직접 맞닿아 있어 장시간 사격시 K2C1처럼 레일이 총구 쪽 부터 달아 오르는 문제가 있다.[* K2C1는 가스블럭에 직접 닿아있진 않지만 전방 핸드가드 고정부가 총열에 달려 있어 똑같이 레일 전방부터 달아오른다.] 또한 12시와 6시 방향에만 레일이 달려 있고 3시, 9시 방향의 레일은 M-LOK용 홈으로 대체된 핸드가드 또한 선택할 수 있다. 반동에 대해서는 논란이 조금 있는 편이다. 앞서 언급한 유튜버는 '개머리판의 접응점이 상부 래일의 높이에 비해 낮아 총을 올려야 했고, 이 때문에 원래 어깨 중앙으로 전해져야 할 반동이 어깨 위쪽으로 전해지며 반동이 생각보다는 꽤 있다.' 라고 평가한 반면, '자동사격을 실시해도 생각보다 괜찮았다.' 라는 의견도 혼재한다. 여담으로 총열이 프리 플로팅화 되어 있지 않음에도 탄만 잘 골라서 먹여주면 0.7MOA정도의 명중율이 나온다고 한다. ===== APC556 PDW ===== APC556 기반의 축소형 카빈 버전. ==== APC223 ==== [youtube(_4GpgWwm-Tg)] APC556의 민수용 버전. === APC300 === .300 위스퍼와 .300 BLK를 사용하는 APC 시리즈의 돌격소총 버전. === APC308 === APC 시리즈의 저격소총/지정사수소총 버전.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고, 특이한 점은 저격소총인데도 프리플로팅 설계가 아니다.[* 소총 버전과 동일하게 총열과 가스관이 레일과 붙어있다.] == 에어소프트건 == * AEG * Arrow Arms: APC9과 APC9K를 발매했다. * GBB * MARUYAMA: 2023년 5월 말경 갑자기 SCW-9 PRO-G라는 이름으로 APC-9을 GBB로 발매할 것을 공지하였다. 일본에서 설계하고 대만에서 생산하는 물건이라고 홍보했지만 사실은 B&T의 라이센스를 취득하지 못한 [[VFC]]가 만들어낸 페이퍼 컴퍼니. PRO G 모델의 하부는 탄창 삽입구의 형상과 탄창 각도 등 세부적인 요소 몇몇이 일반 PRO 모델과 차이가 있다. * Archwick: B&T의 공식 라이센스를 취득한 제품으로 23년 3분기에 출시를 예고하며 [[https://www.instagram.com/p/Csnio6iSBa1/|공식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MARUYAMA 제품에 대한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MARUYAMA의 '모조품'은 자신들이 만든 것이 아니니 혼동하지 말라고 공지하였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배틀필드 2042]] - APC9 PRO K가 AC9이라는 이름으로 시즌 4에 추가되었다. * [[소녀전선]] - APC9 PRO K가 [[APC9K(소녀전선)|4성 SMG]]로, APC556이 [[APC556(소녀전선)|4성 돌격소총]]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ISO 플랫폼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하고 있다.[* ISO라는 이름은 본부가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 APC9 PRO K가 ISO라는 이름으로 시즌 5에 추가되었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 - APC556이 ISO 햄록이라는 이름으로 시즌 2에 추가되었으며, .300 BLK 탄약 컨버팅을 통해 APC300으로 바꿀 수도 있다. 이어서 시즌 4에는 APC45가 ISO 45라는 명칭으로 추가되었다. 시즌 6에선 1편에서 나왔던 9mm 버전이 약간 바뀌어 재등장했다. == 관련 링크 == * [[https://www.bt-ag.ch/shop/eng/category/bt-apc9apc45|B&T APC9/45 제품군]] * [[https://www.bt-ag.ch/shop/eng/category/apc945-pro|APC9/45 PRO 제품군]] * [[https://www.bt-ag.ch/shop/eng/category/bt-apc556apc223|APC556/223 제품군]] * [[https://www.bt-ag.ch/shop/eng/category/bt-apc300|APC300 제품군]] * [[https://www.bt-ag.ch/shop/eng/category/bt-apc308-4|APC308 제품군]]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단총]][[분류:돌격소총]][[분류:저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B&T]][[분류:201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