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레드 제플린]][[분류:라이브 앨범]][[분류:1997년 음반]][[분류:2016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하드 록]][[분류:블루스 록]][[분류:포크 록]] [include(틀:레드 제플린)] ||
<#000><-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BBAA, #DBC9B7 40%, #DBC9B7 60%, #CCBBAA)"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png|height=50]]]][br]레드 제플린의 역대 라이브 앨범'''}}} || ||<#000> [[The Song Remains the Same(영화)/사운드트랙|{{{#fff {{{-2 1976년 9월 28일}}}}}}[br]{{{#fff '''The Song Remains the Same'''}}}]] || → ||<#fff> [[BBC Sessions|{{{#000 {{{-2 1997년 11월 11일}}}[br]'''{{{#000 BBC Sessions}}}'''}}}]] || → ||<#fff> [[How the West Was Won|{{{#000 {{{-2 2003년 5월 27일}}}[br]'''{{{#000 How the West Was Won}}}'''}}}]] || ||<-5><#fff> '''BBC Sessions의 수상 이력'''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2)]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 || ||<-2><#fff> '''{{{#333 {{{+1 BBC Session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dn.shopify.com/4fe09af500e443cd8719aa25f86387f2.png|width=100%]]}}} || || '''발매일''' ||[[1997년]] [[11월 11일]][br][[2016년]] [[9월]][* 재발매] || || '''녹음일''' ||[[1969년]] [[3월 3일]], [[3월 19일]][br][[1969년]] [[6월 16일]], [[6월 24일]][br][[1971년]] [[4월 1일]] || || '''녹음 장소''' ||런던 플레이하우스 공연장 {{{-1 (1969.03.03)}}}[br]BBC 마이다 베일 스튜디오 {{{-1 (1969.03.19 / 06.24)}}}[br]런던 에이올리언 홀 {{{-1 (1969.06.16)}}}[br]런던 파리 공연장 {{{-1 (1971.04.01)}}} || || '''장르''' ||[[하드 록]], [[블루스 록]], [[포크 록]] || || '''재생 시간''' ||'''138:58'''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목차][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밴드 [[레드 제플린]]이 1997년 발매한 라이브 앨범이다. == 상세 == 앨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레드 제플린의 현역 시절 [[BBC]] 세션으로 녹음했던 라이브와 BBC에서 주최한 콘서트를 음원으로 제작해 1997년에 발매한 앨범이다. 1976년 [[The Song Remains the Same(영화)/사운드트랙|The Song Remains the Same]] 발매 이후에 처음으로 발매한 라이브 앨범이기에 수많은 레드 제플린의 팬들의 환영을 받았다. 이 앨범에는 BBC 세션뿐만 아니라 공연 실황도 담겨 있는데, 레드 제플린의 전성기 시절 공연이다보니 이미 [[부틀렉]]들이 떠돌고 있었다고 한다. 다만 이 앨범은 부틀렉이 아닌 정식으로 녹음된 실황이며 [[지미 페이지]]의 뛰어난 프로듀싱으로 인해 음질이 매우 좋다. 수많은 관객들 앞에서 녹음한 것이 아니라 방송국 직원들만 지켜보는 앞에서 녹음한 것이기에 다른 라이브 앨범들보다 연주의 섬세한 음들이 훨씬 더 잘 살아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기에 지미 페이지의 기타 연주뿐만 아니라 [[존 폴 존스]]의 베이스와 만돌린, 그리고 건반 연주를 섬세하게 들을 수 있다. 영국 차트 23위, 미국 차트 12위에 오르면서 흥행했고 세계적으로 300만장 정도 팔렸다. 영국에서는 2016년 재발매반이 발매된 이후 차트 역주행을 하며 3위까지 올랐다. BBC 세션 라이브 앨범은 레드 제플린뿐만 아니라 [[더 후]], [[비틀즈]], [[지미 헨드릭스]]의 앨범도 있다. == 음악적 성향과 평가 == 한두개의 공연만 담은 일반적인 라이브 앨범이 아닌 여러 개의 공연을 담은 [[컴필레이션 앨범]] 격인 앨범이기에 전반적인 앨범 평가는 [[The Song Remains the Same(영화)/사운드트랙|The Song Remains the Same]]과 [[How the West Was Won]]보다는 딸린다. 그러나 이 앨범은 1969년과 1971년, 즉 '''레드 제플린의 전성기 시절에 녹음된 공연'''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즉 전성기 시절 어마어마했던 멤버들의 역량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는 의미. [[유튜브]] 등지에 풀린 1970년대 중반의 공연에서 레드 제플린이 지적받았던 삑사리 문제가 거의 없는 수준이다. 다른 멤버들의 연주도 훌륭하지만 가장 백미로 꼽히는 부분은 [[로버트 플랜트]]의 보컬이다. 당시 로버트 플랜트는 목에 과부하가 오기 훨씬 전, 즉 한창 쌩쌩했을 때여서 4옥타브 대의 애드리브를 막 질러대는 것을 들을 수 있다. 1972년에 녹음된 [[How the West Was Won]]에서도 과부하가 살짝 온 상태였기에 [[Stairway to Heaven]] 같은 곡들을 낮추어 불렀었지만, 이 앨범에서는 그런 거 없다. 이 앨범에서 로버트 플랜트는 [[Since I've Been Loving You]], [[You Shook Me]], [[Heartbreaker(레드 제플린)|Heartbreaker]] 같은 곡들을 원키로 부를뿐만 아니라 '''음원보다 더 어렵게 부른다.''' 그런데도 삑사리가 없으니 가히 놀라울 수준. 전술했듯이 몇몇 넘버들은 이미 [[부틀렉]]으로 풀려 있었으나 음질은 낮았기에 앨범 발매 전까지는 전성기 시절의 공연들을 높은 음질로 들을 수 없었던 팬들의 아쉬움이 있었다. 그러나 이 앨범 하나로 이러한 팬들의 만족이 채워졌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피치포크에서는 8.9점을, 올뮤직에서는 4.5점을 받는 등 고평가 받고 있다. == 트랙 리스트 == === Disc One === ||<-3> '''Disc One''' || || '''트랙''' ||<-2> '''곡명''' || || '''1''' ||[[You Shook Me]] || [[https://youtu.be/PglZxLxwnIs|♫]] || || '''2''' ||I Can't Quit You Baby || [[https://youtu.be/YeSAk-udkYY|♫]] || || '''3''' ||[[Communication Breakdown]] || [[https://youtu.be/8CIMfTETRBk|♫]] || || '''4''' ||[[Dazed and Confused(레드 제플린)|Dazed and Confused]] || [[https://youtu.be/GL6af3cepIo|♫]] || || '''5''' ||The Girl I Love She Got Long Black Wavy Hair || [[https://youtu.be/DEYGDDbeKcY|♫]] || || '''6''' ||[[What Is and What Should Never Be]] || [[https://youtu.be/HeCeyNXCGNA|♫]] || || '''7''' ||[[Communication Breakdown]] || [[https://youtu.be/hJxpWCogPdM|♫]] || || '''8''' ||Travelling Riverside Blues || [[https://youtu.be/AsLxKlmxbV0|♫]] || || '''9''' ||[[Whole Lotta Love]] || [[https://youtu.be/nHnJMMos-Rw|♫]] || || '''10''' ||Somethin' Else || [[https://youtu.be/i5pGlsGxgQc|♫]] || || '''11''' ||[[Communication Breakdown]] || [[https://youtu.be/dfGyo7Eltgs|♫]] || || '''12''' ||I Can't Quit You Baby || [[https://youtu.be/rpKF4p1plJo|♫]] || || '''13''' ||[[You Shook Me]] || [[https://youtu.be/bHINZKaHwcM|♫]] || || '''14''' ||[[How Many More Times]] || [[https://youtu.be/MZyKQuCPLaM|♫]] || === Disc Two[* 이 디스크는 1971년 4월 1일 런던의 파리 공연장 공연에서 열린 공연의 라이브 앨범이다. 또한 디스크 3의 5번 및 6번 트랙도 이 공연에서 부른 트랙이다. 여담으로 1971년에 이루어진 공연들의 셋리스트는 대부분이 이 셋리스트이다.] === ||<-3> '''Disc Two {{{-2 (1971.04.01)}}}''' || || '''트랙''' ||<-2> '''곡명''' || || '''1''' ||[[Immigrant Song]] || [[https://youtu.be/joPO5qBFbuM|♫]] || || '''2''' ||[[Heartbreaker(레드 제플린)|Heartbreaker]] || [[https://youtu.be/meByGYfL9b4|♫]] || || '''3''' ||[[Since I've Been Loving You]] || [[https://youtu.be/MSeviGS1vM4|♫]] || || '''4''' ||[[Black Dog]] || [[https://youtu.be/zW0NjMurdbI|♫]] || || '''5''' ||[[Dazed and Confused(레드 제플린)|Dazed and Confused]] || [[https://youtu.be/vNzUFfF1D-M|♫]] || || '''6''' ||[[Stairway to Heaven]] || [[https://youtu.be/BWZ70axkero|♫]] || || '''7''' ||[[Going to California]] || [[https://youtu.be/pg3VIzTDqNg|♫]] || || '''8''' ||[[That's the Way]] || [[https://youtu.be/AozzoV7K7-o|♫]] || || '''9''' ||[[Whole Lotta Love]] || [[https://youtu.be/Kap8Oo3agdg|♫]] || || '''10''' ||[[Thank You(레드 제플린)|Thank You]] || [[https://youtu.be/meJ1okJysT8|♫]] || === Disc Three === ||<-3> '''Disc Three''' || || '''트랙''' ||<-2> '''곡명''' || || '''1''' ||[[Communication Breakdown]] || [[https://youtu.be/BvNUWwjJH9g|♫]] || || '''2''' ||[[What Is and What Should Never Be]] || [[https://youtu.be/fyxQUneduro|♫]] || || '''3''' ||[[Dazed and Confused(레드 제플린)|Dazed and Confused]] || [[https://youtu.be/y1dT3-iS6ss|♫]] || || '''4''' ||White Summer || [[https://youtu.be/EZUAfMq4kdQ|♫]] || || '''5''' ||[[What Is and What Should Never Be]] || [[https://youtu.be/angtu4pzhM4|♫]] || || '''6''' ||[[Communication Breakdown]] || [[https://youtu.be/6TlfPaPDWGY|♫]] || || '''7''' ||I Can't Quit You Baby || [[https://youtu.be/f662kV0nN_c|♫]] || || '''8''' ||[[You Shook Me]] || [[https://youtu.be/9KEqzkxFJOQ|♫]] || || '''9''' ||Sunshine Woman || [[https://youtu.be/AHo11LkG2X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