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AA(혼성그룹)/음반]][[분류:데뷔 싱글]][[분류:유비트의 수록곡]][[분류:에이벡스 음반]][[분류:2005년 싱글]] [include(틀:AAA(혼성그룹)/싱글&앨범 목록)] ||
<:><-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ffffff, #000000)" [[AAA(혼성그룹)/음반 목록#s-2.2|{{{#000000 '''AAA의 SINGLE (발매일순)'''}}}]] }}}|| ||<|3><:>'''데뷔'''||<|3><:>{{{+1 →}}}||<:>{{{#!wiki style="margin: -5px -10px" {{{-2 '''{{{#000000 싱글 1집}}}'''}}}}}}||<:><|3>{{{+1 →}}}||<:>{{{#!wiki style="margin: -5px -10px" {{{-2 '''{{{#000000 싱글 2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BLOOD on FIRE|[[파일:aaa_blood_on_fire.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Friday Party|[[파일:aaa_friday_party.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75em" [[BLOOD on FIRE|{{{#FFFFFF '''BLOOD on FIRE'''}}}]]}}} {{{-2 {{{#000000 (2005)}}}}}}}}}||<:>{{{#!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A8794; font-size: 0.75em" [[Friday Party|{{{#FFFFFF '''Friday Party'''}}}]]}}} {{{-2 {{{#000000 (2005)}}}}}}}}}|| [목차] == 개요 == 2005년 9월 14일에 발매된, [[AAA(혼성그룹)|AAA]]의 첫 데뷔싱글음반 및 타이틀곡. 역동적인 멜로디와 안무가 인상적인 곡으로, [[이니셜 D]] 극장판 주제가(영화는 홍콩에서 제작되었으며 원판 주제가도 홍콩 노래. AAA의 노래는 일본 개봉판에 한해서 사용되었다) 및 일본 TV([[TV 도쿄]])에 방영된 모터 스포츠 소개 프로그램인 '격주(激走)!GT'[* 일본의 자동차 경주인 Super GT에 관한 정보 및 경기 다이제스트를 방송하는 프로그램. 2010년 3월에 폐지되었다. 그런데 [[후지 테레비]]에서 슈퍼 GT 컴플리트를 1년간 하다가 바로 그 1년 뒤인 2011년에 다시 원 방송사인 TV 도쿄에서 후속 프로그램인 Super GT+가 방송되기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의 오프닝곡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당시 Ricken's와 SCRIPT로 활동하던 [[MOON CHILD]]의 사사키 오사무가 작사한 것이 화제가 되기도 하였으며, 오리콘 차트 10위권에 진입한 데 이어 2005년 말에 열린 제47회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이 곡으로 AAA가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하는 등, 사실상 AAA를 널리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한 곡. == 앨범 정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a_bof.jpg]]}}}|| ||<-2><:>왼쪽부터 [[히다카 미츠히로]], [[아타에 신지로]], [[고토 유카리]], [[니시지마 타카히로]] [[스에요시 슈타]], [[우노 미사코]], [[이토 치아키]], [[우라타 나오야]]|| ||<#000000><:>{{{#FFFFFF '''발매날짜'''}}}||2005년 9월 14일|| ||<#000000><:>{{{#FFFFFF '''판매량'''}}}||58,052장|| ||<#000000><:>{{{#FFFFFF '''순위'''}}}||9위|| == 앨범 종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abof1.jpg|width=3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abof2.jpg|width=300]]}}}|| ||<:>CD+DVD ver.||<:>CD ver.|| ||<:>AVCD-30794||<:>AVCD-30795|| ||<:>¥1,047||<:>¥524|| == 수록곡 구성 == === CD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000000>
<:><-6>
{{{#FFFFFF {{{-2 '''수록곡'''}}}}}}|| ||<#000000><:>{{{#FFFFFF {{{-2 '''트랙'''}}}}}}||<#000000><:>{{{#FFFFFF {{{-2 '''곡명'''}}}}}}||<#000000><:>{{{#FFFFFF {{{-2 '''작곡'''}}}}}}||<#000000><:>{{{#FFFFFF {{{-2 '''작사'''}}}}}}||<#000000><:>{{{#FFFFFF {{{-2 '''편곡'''}}}}}}||<#000000><:>{{{#FFFFFF {{{-2 '''랩 작사'''}}}}}}|| ||{{{#000000 '''{{{-3 01}}}'''}}}||{{{#000000 '''{{{-2 BLOOD on FIRE}}}'''}}}||{{{-2 사사키오사무}}}||{{{-2 와타나베 미키}}}||{{{-2 와타나베 미키}}}||{{{-2 [[히다카 미츠히로]]}}}|| ||{{{#000000 '''{{{-3 02}}}'''}}}||{{{#000000 '''{{{-2 BLOOD on FIRE(Instrumental)}}}'''}}}||{{{-2 사사키오사무}}}|| ||{{{-2 와타나베 미키}}}|| ||}}} === DVD === ||<#000000>
<:><-6>
{{{#FFFFFF {{{-2 '''수록뮤비'''}}}}}}|| ||<#000000><-1><:>{{{#FFFFFF {{{-2 '''트랙'''}}}}}}||<#000000><:><-5>{{{#FFFFFF {{{-2 '''곡명'''}}}}}}|| ||<-1><:>{{{#000000 '''{{{-3 01}}}'''}}}||<-5><:>{{{-2 {{{#000000 '''BLOOD on FIRE(Music Clip)'''}}}}}}|| ||<-1><:>{{{#000000 '''{{{-3 02}}}'''}}}||<-5><:>{{{-2 {{{#000000 '''「[ruby(頭, ruby=かしら)][ruby(文, ruby=も)][ruby(字, ruby=じ)](イニシャル)D THE MOVIE」[ruby(劇, ruby=がき)][ruby(場, ruby=じょう)][ruby(予, ruby=よ)][ruby(告, ruby=こく)][ruby(映, ruby=えい)][ruby(像, ruby=ぞう)]'''}}}}}} {{{-3 「머리글자(이니셜) D THE MOVIE」극장 예고 영상}}}|| == 멤버 자켓 == ||
<#000000><:>'''[[니시지마 타카히로|{{{#FFFFFF 니시지마 타카히로}}}]]'''||<#000000><:>'''[[우노 미사코|{{{#FFFFFF 우노 미사코}}}]]'''||<:><#000000>'''[[우라타 나오야|{{{#FFFFFF 우라타 나오야}}}]]'''||<#000000><:>'''[[히다카 미츠히로|{{{#FFFFFF 히다카 미츠히로}}}]]'''||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tbof.jp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mbof.jp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nbof.jp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mbof.jpg|width=100%]]}}}|| ||<#000000><:>'''[[아타에 신지로|{{{#FFFFFF 아타에 신지로}}}]]'''||<#000000><:>'''[[스에요시 슈타|{{{#FFFFFF 스에요시 슈타}}}]]'''||<#000000><:>'''[[이토 치아키|{{{#FFFFFF 이토 치아키}}}]]'''||<#000000><:>'''[[고토 유카리|{{{#FFFFFF 고토 유카리}}}]]'''||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bof.jp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sbof.jp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cbof.jpg|width=100%]]}}}||<:><#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ybof.jpg|width=100%]]}}}|| == 뮤비 == ||
{{{#ffffff '''BLOOD on FIR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jmazgx3eeU, width=544, height=306)]}}}|| == [[유비트 시리즈]]에 수록 == ||
||||||||<#000000><:>{{{#white jubeat saucer fulfill 기준}}}|| ||<|2><#000000><:>{{{#white 레벨}}}||||<#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3||<:>4||<:>6|| ||<#000000><:>{{{#white 노트수}}}||||<:>253||<:>330||<:>467|| ||<#000000><:>{{{#white BPM}}}||||||||<:>155|| ||<#000000><:>{{{#white 곡 이력}}}||||||||[[유비트]]에서 첫 수록[BR][[유비트 리플즈]]에서 {{{#27a449 BSC}}}레벨 1 상승, {{{#e75050 EXT}}}레벨 1 하락[BR][[유비트 코피어스]]에서 삭제[BR][[유비트 코피어스]]에서 2011/12/26 재수록[BR][[유비트 소서]]에서 2012/10/15 교체[BR][[유비트 소서]]에서 2013/2/1 재수록[BR][[유비트 소서]]에서 2013/5/1 교체[BR][[유비트 소서]]에서 2013/11/1 재수록[BR][[유비트 소서 풀필]]에서 2014/12/4 삭제||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원곡으로 수록되었다. 게임 안에서 쓰는 자켓은 한정판 자켓. [youtube(C-3Opzfs808)] KYOUSUKE 플레이어의 [[엑설런트]] 영상 전체적으로 정직한 배치. 랩 부분 파트가 까다로운 편이다. == 여담 == [youtube(g95_RVEn3U8)] * 유로비트 버전도 있어서 Go 2와 Christine이 커버링한 것이 Super Eurobeat Vol.181에 실리기도 했다. Fastway의 타이트한 영어랩과 Ace-Christine의 미성 덕에, 유로비트 리스너들에게도 상당히 좋은 반응을 얻었다. * [[아타에 신지로]]가 말하길 데뷔하고 나서 지금까지 찍었던 뮤비중에 가장 힘들었던 뮤비 촬영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