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MW|[[파일:BMW 구 로고.jpg|width=15%]]]] [[BMW M|[[파일:BMWMlogo.jp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5-bmw-m6-coupe-5.jpg|width=100%]]}}} || || {{{#ffffff '''M6'''}}} || [목차] '''BMW M6''' == 개요 == [[BMW]]의 대형 럭셔리 쿠페 [[BMW 6시리즈|6시리즈]]의 고성능 모델. [[BMW M8|M8]]이 출시되기 전까지 [[BMW M|M]]의 [[기함]] 역할을 맡았다. == 역사 == === 1세대 (E24 M635 CSI, 1983~1989) ===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7891630588_7496d28955_z.jpg|width=600]] 1세대 모델로, 유럽형은 M635 CSI로 명명되었다. 북미형은 그냥 M6. 벤츠의 SEC, SLC[* 벤츠 SL의 쿠페형으로 SL에 지붕만 있고 나머지는 같았다. 후에 SL에 병합.]와 [[재규어(자동차)|재규어]]의 XJ12와 경쟁하기 위해 1983년 10월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발표되었다. M1과 공유하는 M88형 [[DOHC]] 직렬 6기통 24밸브 3.5리터 엔진이 장착되어 최고출력 286마력, 최고속도 250km/h을 기록했다. 북미형은 유렵형보다 출력이 30마력 가량 뒤떨어지는데, 이는 [[미국]]의 머스키법에 맞추기위해서 여러 개량을 했어야했기 때문이다. 북미형과 유럽형의 차이는 엔진뿐만 아니라 실내, 외관에서도 나오는데, 외관은 5마일 범퍼를 장착했다. 특징으로는 M테크 서스펜션과 4P 레이싱용 브레이크가 장착되었다. 옵션으로 [[자동변속기]]도 선택이 가능했다. 국내에는 2대 있다. 1대는 빨간색 북미형이고, 2013년 오토살롱에도 나왔었다. 나머지 1대는 어느 동호인이 소유하고 있다. 이 모델을 보다 더 가깝게 보고싶다면 [[아카데미과학]]에서 만든 M635CSi 프라모델을 찾아서 만들자. 가격도 만원이고, 만들기는 약간 근성이 들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간단하게 만들수 있다. 엔진룸도 있으니 나름 디테일하고 아카데미답지않게 [[BMW]] 로고도 들어있으며 물량또한 많다. === 2세대 (E63/E64 M6, 2005~2010) === || [[파일:external/media.ed.edmunds-media.com/2006_bmw_m6_actburn_ft_1_600.jpg|width=100%]] || [[파일:CAB70BMC302A0101.webp|width=100%]] || || E63 M6 쿠페 || E64 M6 컨버터블 || 2005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2004년에 등장했던 E63/E64 모델의 6시리즈를 베이스로 한 컨셉트 카로서 다시 등장했다. E63은 쿠페, E64는 컨버터블이다. [[BMW M5|E60 M5]]와 동일한 5L V10 [[BMW S85 엔진|S85B50]] 가솔린 자연흡기 엔진이 올라간다. 미션은 트윈 플레이트 싱글 클러치[* 이름 때문에 듀얼 클러치와 혼동하기 쉬운데, 고마력에 대응하기 위해 클러치의 pressure plate를 다판식으로 한 일종의 강화 클러치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듀얼 클러치와 달리 1-3-5-7, 2-4-6 단이 먼저 들어가있는 시스템이 아니며, 기어를 변속하는대로 바꾸는 Sequential Manual Gearbox (즉, SMG)이다.]의 7단 SMGIII가 올라간다. ~~변속 충격으로 인한 3,4번 척추의 꺾임이 환상적이다.~~ 507마력으로 자연흡기로써 리터당 100마력을 내는 가공할 만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0-100은 4.6초, 최고속도는 250km/h로 제한되어 있다. (M drive package가 들어간 모델들은 300km/h에서 리미터가 걸리며, 리미터 해제시 엔진으로 최고속 330km/h 이상 도달가능하다. 유튜브에 수 많은 영상이 있으니 참고. ~~V10!V10!V10!~~) E92 M3와 같이 카본파이버 루프가 적용되어 1,700kg 급의 중량을 달성해 동 시대의 BMW M 중에서 power-weight ratio는 가장 우수하다. 그러나 다른 경쟁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 국내기준 약 1억7천만원] 때문에 많이 팔리지 않았고, 인지도도 없는 편이다. 미디어 출연도 매우 적은 편. M5 문서에도 서술되어있듯 S85 자연흡기 5.0L 엔진이 뽑아내는 우렁찬 배기음[* 아우디 R8이나 람보르기니 가야르도에 들어가는 5.2L 자연흡기 V10 엔진과 배기음색이 비슷하다.]으로도 유명하다. 고회전형으로 8250rpm까지 올라가는 괴물같은 성능을 자랑한다. 다만 마찬가지로 로드베어링이 파손되는 시한폭탄같은 특성이 있으며 욕이 나오게 만드는 어려운 정비성은 덤이다.~~간단한 배기튜닝만으로도 공도의 모든 차를 씹어먹는 소리를 들려주신다.~~ [youtube(fCR8hJHUhII, width=640, height=360)] ==== M6 CSL ==== M5 CSL 프로토타입이 개발될 당시 같이 개발된 모델이며 역시 일회용 테스트카로 제작되었다. 기존 M6보다 150kg이 가볍고 에어로에 특화된 사이드미러, 자동 리어 스포일러가 장착되었으며 출력이 630마력으로 상승되었다. === 3세대 (F06/F12/F13 M6, 2012~2018) === || [[파일:external/1.bp.blogspot.com/03-2013-bmw-m6.jpg|width=450]] || [[파일:external/blog.caranddriver.com/2014-BMW-M6-Gran-Coup%C3%A9-626x382.jpg|width=450]] || || F13 M6 쿠페(2도어) || F06 M6 그란 쿠페(4도어) || 3세대 모델로 2012년 2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발표되었다. 코드네임 F12는 컨버터블을, F13은 쿠페를 나타낸다. 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F10 M5와 공유하는 V8 4,395cc M 트윈터보 엔진이 장착되어 전 모델에 비해 최고 출력은 53마력이 늘어난 560마력, 최대토크는 16.3kg·m이 향상된 69.4kg·m을 발휘한다. M-DCT ([[듀얼 클러치 변속기]], Dual Clutch Transmission) 7단 변속기가 장착되었고 제로백은 0.4초 빨라진 '''4.2초'''[* 실제 측정은 제원상 수치보다 빠른 3.8초 정도가 나온다.--포르쉐--], 최고 속도는 250km/h이다.[* 리미트 제한을 풀면 최고 315km.] 루프와 보닛, 트렁크는 M 전용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으로 만들어졌으며 DDC(Dynamic Damper Control) 시스템, 고성능 세라믹 브레이크가 엔진을 지원한다. 브레이크는 400mm, 386mm 디스크와 6피스톤 캘리퍼, [[뱅 앤 올룹슨]] 하이엔드 서라운드 카 스테레오 시스템과 M 전용 익스테리어 미러, 리어 스포일러 등이 적용되었다. 기존 모델처럼 쿠페와 컨버터블 뿐만 아니라 4도어 쿠페 모델도 출시되었으며, 해당 형식은 그란 쿠페라는 명칭으로 출시되었다.[* [[탑기어]]의 [[제레미 클락슨]]의 말에 따르면 4도어 모델의 2도어 모델의 4도어 모델이라 한다.] M6 그란 쿠페의 경쟁상대는 [[메르세데스-벤츠]]의 [[벤츠 CLS 클래스|CLS 63 AMG]]와 [[아우디]]의 [[아우디 A7|RS7]] 정도가 있다. 일단 북미 기준으로 CLS 63 AMG와 비교시[* RS7은 너무 팔리지 않아 북미에서 존재감이 없기에 일단 제외.] 기본 가격이 일단 M6 그란 쿠페가 높으나 1천만원 더 비싸고 둘다 풀 옵션으로 비교할 시에는 100만원 차이가 난다. 일단 트랙에서 비교 시에는 전자의 말대로 M6 그란 쿠페가 더 최적화 되어 있고 기록도 좋긴 하지만 '월등' 하다는 수준까진 아니고 더 나은 수준이다. 그리고 드래그 레이스는 3사 중 가장 떨어지는 4.1초다.[* RS7은 3.9초 CLS 63 4매틱은 3.7초대 (S모델 3.6초).] 일단 3사 비교 중 유일하게 [[FR(자동차)|후륜구동]]이라 운전 재미는 확실히 압도적이며 성능을 떠나서 3사의 탑 급 퍼포먼스카들 중엔 가장 인기가 많다. || [[파일:attachment/BMW M6/BMW-M6-2015-5.png|width=450]] || [[파일:attachment/BMW M6/BMW-M6-2015-6.png|width=450]] || 2014년 12월 모체인 [[BMW 6시리즈|6시리즈]]와 함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다. M8 출시를 앞둔 2017년 말~2018년 초쯤 단종되었다. [[BMW 6시리즈 GT]]의 M 모델은 나오지 않는다. == 제원 == || 구분 || E63 M6 쿠페 || F13 M6 쿠페 || || 밸브 || V10 || V8 || || 배기량 || 4,999cc || 4,395cc || || 출력 || 507마력 || 560마력 || || 토크 || 53.1kgf·m || 69.4kgf·m || || 흡기 || 자연흡기 || 트윈터보 || || 0-100km/h || 4.6초 || 4.2초 || || CO2 배출량 || 252g/km || 238g/km || || 공인연비 || 6.0km/l || 7.6km/l[* [[한국에너지공단]]이 측정한 공인 복합연비다.] || || 공차중량 || 1,773kg || 1,850kg || || 전장 || 4,871mm || 5,011mm || || 전폭 || 1,855mm || 1,899mm || || 구동방식 ||<-2> [[FR(자동차)|후륜구동]] || || 변속기 || 7단 SMG ||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M-DCT]] || == 경쟁 차종 == * 쿠페 * [[메르세데스-AMG GT|메르세데스-AMG GT S]] * [[아우디 R8|아우디 R8 V10]] * [[마세라티 그란투리스모]] * [[애스턴 마틴 밴티지|애스턴 마틴 밴티지 V8]] * 그란 쿠페 * [[메르세데스-벤츠 CLS|메르세데스-벤츠 CLS 63 AMG]] * [[메르세데스-AMG GT 4-Door 쿠페|메르세데스-AMG GT 63]] * [[아우디 A7|아우디 RS7]] * [[마세라티 기블리|마세라티 기블리 트로페오]] * [[애스턴 마틴 라피드]] == 미디어 == === 게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 [[아스팔트 시리즈|{{{#ffffff 아스팔트 시리즈 출연작 }}}]]}}}'''}}} || || '''{{{#111111 -}}}''' || '''[[아스팔트 6: 아드레날린|{{{#111111 Asphalt 6: Adrenaline}}}]]''' || '''[[아스팔트 6: 아드레날린/차량|{{{#111111 BMW M6}}}]]''' || || '''{{{#111111 -}}}''' || '''[[아스팔트 7: 히트|{{{#111111 Asphalt 7: Heat}}}]]''' || '''[[아스팔트 7: 히트/차량|{{{#111111 BMW M6}}}]]''' || || '''{{{#111111 -}}}''' || '''[[아스팔트 8: 에어본|{{{#111111 Asphalt 8: Airborne}}}]]''' || '''[[아스팔트 8: 에어본/차량|{{{#111111 BMW M6}}}]]'''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 [[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ffffff 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 출연작 }}}]]}}}'''}}} || || '''{{{#111111 -}}}''' || '''[[니드 포 스피드: 언더커버|{{{#111111 Need For Speed: Undercover}}}]]''' || '''[[니드 포 스피드: 언더커버|{{{#111111 BMW M6}}}]]''' || || '''{{{#111111 -}}}''' || '''[[니드 포 스피드: 핫 퍼슈트|{{{#111111 Need For Speed: Hot Pursuit}}}]]''' || '''[[니드 포 스피드: 핫 퍼슈트|{{{#111111 BMW M6 Convertible}}}]]''' || 카파킹 M6 == 기타 == M6의 경기용 모델인 M6 GT3는 2016년부터 제작되었음에도 M6가 단종된 2018년 이후로도 유럽, 미국 등지에서 개최되는 대회에 계속해서 출전 중이다. 대표적으로 2020년에는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 우승했고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에서 드라이버즈 챔피언을 획득했을 정도로 커스터머 팀들이 꾸준히 사용하고 있다. 이 차량이 단종된 이후, 2022년에 [[BMW M4|G82 M4]]를 바탕으로 한 GT3 차량이 개발되었음에도 수많은 레이스에서 검증된 신뢰성과 큰 바디를 앞세운 몸싸움, 고속 안정성 탓에 여전히 현역으로 활약중이다. 르망 GTE클래스 버전인 M6 GTLM은 현재는 M8 GTE에게 자리를 넘겨준 상태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BMW M의 차량)] [[분류:BMW 6시리즈]][[분류:BMW M/생산차량]][[분류:1983년 출시]][[분류:2018년 단종]][[분류:그랜드 투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