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벨기에의 공영방송)] [include(틀:벨기에의 지상파 방송)] ||<-2>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brfbe.png|width=85%]]}}} || || {{{#ffffff '''공식명칭'''}}} || '''Der Belgischer Rundfunk''' [br] {{{-1 벨기에 방송}}} || || {{{#ffffff '''전신'''}}} || 국가기관 라디오 방송의 [br] 독일어 라디오 방송 (INR) (1945 ~ 1960) ---- 벨기에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의 [br] 독일어 라디오 방송 (RTB) (1960 ~ 1977) || || {{{#ffffff '''형태'''}}} || [[공영방송]] || || {{{#ffffff '''개국일 (BRF)'''}}} || [[1977년]] [[2월 18일]] ([age(1977-02-18)]주년) || || {{{#ffffff '''본사'''}}} || [[오이펜]] [* 독립 이전에는 [[브뤼셀]]] || || {{{#ffffff '''주요 주주'''}}} ||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파일:오스트벨기엔 깃발.svg|width=30]]]][[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 || {{{#ffffff '''대표인'''}}} || 토니 비머 || || {{{#ffffff '''시청 지역'''}}} || [[지상파]] : [[리에주]] [* 유로뉴스 채널에서 방송 시간대에만 BRF 프로그램이 송출] / [[IPTV]] : [[벨기에]] [[전역]] || || {{{#ffffff '''링크'''}}} || [[https://brf.b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BRFNachrichte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twitter.com/BRFNachrichten|[[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 [[https://www.instagram.com/brf.b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user/brfb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be.linkedin.com/company/belgischer-rundfunk-brf|[[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BRF Eupen, 너비=550px, 높이=281px)]}}}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f사옥(2019).jpg|width=100%]]}}} || '''Belgischer Rundfunk (BRF)''' 1977년에 개국한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의 공영방송. 이름의 유래는 RTBF의 전신인 Radiodiffusion-télévision belge(RTB)의 독일어 번역이다. 벨기에에서 둘 뿐인 지상파 공영방송 중 하나이다. BRF TV채널은 24시간 방송이 아니기 때문에 이 채널이 방송할 때 유로뉴스가 끊어지고 BRF 프로그램이 나간다. 나머지 시간대는 유로뉴스가 나간다. == 소개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XU84d2vW5E)]}}} || == 상세 == 벨기에의 독일어 화자의 수가 적다보니 방송국의 규모나 직원의 수가 웬만한 나라의 지역방송국과 비교해봐도 작다. 벨기에 내에서도 규모가 지역 방송국 정도 된다. [[RTBF]]나 [[VRT]]와 다른 점은 두 방송국은 지역방송의 성격을 갖고 있지만, 연방정부에 대한 소식을 상세히 보도하는데 비해 BRF는 연방정부의 소식 보다는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에서 생기는 일에 더 비중을 두고 보도한다는 점이다. 2020년에 [[https://1.brf.be/allgemein/1058691/|독일어 라디오 방송 75주년]]을 맞이했다. [[https://u.brf.be/profil/|프로필]]에 의하면 인접지역 방송국과도 제휴를 맺고 있다고 한다. == 역사 == [include(틀:벨기에 공영방송의 역사)] 1945년 INR 소속으로 [[브뤼셀]]에서 독일어 방송을 시작한 것이 시초이다. 그래서 기념일 계산도 BRF개국일인 1977년이 아니라 독일어 방송을 처음으로 시작한 1945년부터 기산한다. 1960년, INR이 RTB로 이름을 바꾼 뒤에도 독일어 방송을 계속 하다가 1977년 BRT/RTB체제가 해체되기 이전인 1977년 2월 18일에 BRF가 먼저 독립을 한다. 이후 1977년 12월에 BRT/RTB체제가 해체되었다. 본사는 [[오이펜]]으로 이전하였지만 스튜디오는 여전히 브뤼셀에 남아있다.[[https://u.brf.be/profil/|#]] == 채널 목록 == * BRF1 라디오: 일반 라디오 채널이다. 음악은 주로 영어로 된 대중가요를 많이 방송한다. * BRF-DLF * BRF2 라디오: 독일어로 된 음악을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다. * BRF TV: 리에주에서는 지상파, 나머지 지역에서는 IPTV와 케이블을 통해서 시청할 수 있다. 개국연도는 1993년이다. == 기타 == [[분류:유럽의 공영방송]][[분류:유럽의 지상파 방송]][[분류:벨기에의 방송]][[분류:독일어권 방송]][[분류:벨기에 독일어 공동체]][[분류:벨기에의 공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