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항공기)] [include(틀: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ouglas_BTD-1_at_Patuxent_River.jpg|width=100%]] BTD-1 디스트로이어 [목차] == 개요 == '''Douglas BTD Destroyer''' '''더글라스 BTD 디스트로이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맥도넬 더글라스|더글라스]]에서 개발한 [[급강하폭격기]] 겸 [[뇌격기]]다. 아직 [[태평양 전쟁]]이 터지기 이전인 [[1941년]] [[6월 20일]],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은 더글라스에게 기존의 [[SBD 돈틀리스]] 급폭기와 [[SB2C 헬다이버]] 급폭기를 한꺼번에 대체할 신형 [[함재기|함상]][[공격기]]를 주문하게 된다. 이에 더글라스의 항공설계 기술자였던 에드워드 하이네만(Edward Henry Heinemann, 1908~1991)[*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SBD 돈틀리스]], [[A-26]] 인베이더, [[A-1 스카이레이더]], [[A-3]] 스카이워리어, [[A-4]] 스카이호크 등이 있다. [[미군]]이 [[제2차 세계 대전]] 무렵과 [[냉전]] 무렵에 운용했던 수많은 걸작 항공기들의 설계를 책임진 인물로, [[록히드 마틴]]의 [[스컹크 웍스]]의 리더였던 [[켈리 존슨]]과 더불어 당대의 미국을 대표하는 항공기 기술자로 명성이 높았던 인물.]은 역[[갈매기]]형 주익의 2인승 단발 기체를 선보이는데 이는 XSB2D-1이라 명명된다. XSB2D-1은 혁신적인 기체였다. 당시 보편적인 [[랜딩 기어]] 구조였던 테일드래거(tail dragger) 방식[* 2차 대전 [[전투기]]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앞쪽에 대형 랜딩기어 두 개와 뒷쪽에 작은 랜딩기어 하나를 배치한 방식. 대다수의 프롭기가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기수에 프로펠러를 달고 있는 만큼 기체가 수평으로 있는 것보단 뒤로 기울이는 쪽이 프로펠러 크기(=추력)도 키울 수 있고 주기할 때나 이륙할 때 편하기 때문이다. 이름은 [[꼬리]]쪽이 끌려다니는 것 같다는 의미다.]을 탈피하여 트라이씨클(tricycle) 방식[* 현대 항공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앞쪽에 작은 랜딩기어 하나와 뒷쪽에 대형 랜딩기어 두 개를 배치한 방식. 세발자전거처럼 보여서 붙은 명칭.]을 채택해서 착함이 [[F4U 콜세어]]와 다르게 편했으며[* 충격을 버티도록 만들어진 것은 양쪽의 주 랜딩기어이므로 착륙/착함 시에는 주 랜딩기어가 활주로에 먼저 닿게 조종해야하는데, 테일드래거 방식은 보조 랜딩기어가 후미에 있는 만큼 기수를 들어올리는 각도([[받음각]])에 제한이 더 크다. 착륙/착함할 땐 속도를 줄이는 만큼 기수의 받음각을 높여 양력을 유지해줘야 하는데 이 점에선 트라이시클 방식이 훨씬 유리한 셈이다. 프로펠러라는 장애물이 없어진 제트기들이 대부분 트라이시클 방식을 채택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후방사수는 원격조작 되는 상,하부 기관총좌를 선택하여 사격할수 있었다.[* 이 방식은 이후 [[B-29]] 폭격기의 기관총좌에 적용된다.] 기체 배면에는 내부 폭탄창이 위치해 있고, 주익 하드포인트와 폭탄창을 합쳐 최대 4천 2백 [[파운드]](1,900kg)의 폭장이 가능한데 이는 SB2C 헬다이버의 두배에 달하는 페이로드였다. 이후 [[1943년]] [[4월 8일]], XSB2D-1의 초도비행이 실시되었는데 뛰어난 퍼포먼스로 미 해군 관계자들을 감탄하게 만들었다. 미 해군은 [[Il-2|"이거 비행성능 상당히 괜찮은데 차라리 1인승 공격기로 만들어서 짜투리 공간 기체 개량에 써먹으면 어떰요???"라고 1인승 공격기 요구의사를 타전해왔고, 후방사수석과 기관총좌를 철거하고 추가장갑과 연료탱크를 증설한]][* 초기형 [[Il-2]]가 소련 수뇌부의 요구로 이짓 했다가 독소전 초기부터 독일군 전투기들한테 개털렸다(...). 이후 독일한테 싸닥션 신나게 얻어맞은 소련 상층부가 뒤늦게 정신 차리고 후방사수석을 달고 대성공을 거뒀다고.] 1인승 공격기 모델인 BTD-1이 [[1944년]] [[3월 5일]] 초도비행에 성공한다. 1944년 6월부터 미 해군에 인도가 시작됐지만 겨우 1년 후인 1945년 8월, 태평양 전쟁이 종전되면서 총 28대만이 인도되었다. 현재 조지아주 Rome소재 Museum of Flight에 소장된 1기가 유일한 현존 기체이며 박물관은 복원작업에 착수 예정이다. 이후 개발되는 더글라스 [[A-1 스카이레이더]]의 초석이 되는 공격기다.[* 특히 에어브레이크가 전개되는 모습을 보면 디스트로이어가 스카이레이더의 직계라는 것을 알수있다.] == 'BTD'의 각 형식 == === XSB2D-1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ouglas_XSB2D_Destroyer_in_flight.jpg]] 2인승 공격기 [[프로토타입]], 총 2대 생산. --전면부가 [[칼 프레드릭슨|이 사람]]이랑 묘하게 닮았다.-- === SB2D-1 === XSB2D-1의 양산형 모델, 358대가 주문되지만 제작하기도 전에 BTD-1으로 오더가 넘어간다. 생산기체 없음. === BTD-1 === [[파일:external/crimso.msk.ru/0148-10(2)-2-3.jpg]] 1인승 공격기 모델, 총 26대 생산. === XBTD-2 === [[파일:external/tanks45.tripod.com/XTDB-2.jpg]] [[제트엔진]] 장착 프로토타입, 웨스팅하우스 19B [[터보제트]] 엔진을 후방동체에 [[부스터]] 형식으로 장착했는데 예상외로 성능이 시원치 않았다고 한다. 총 2대 생산. == 등장 매체 == * [[워 썬더]]에서 BTD-1이 프리미엄 기체로 등장한다. *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에서는 미군 폭격기 정규트리로 출시되었다. 기체성능은 꽤 좋게 나왔는데, 일단 이중반전 프로펠러가 인게임상에 구현되어 있어 상당히 간지나게 생겼고, 방어력도 높고 속도 기동성도 폭격기 치고는 대단히 우수하다. 무엇보다 장점은 이녀석은 중폭격기 판정을 받는다는 것이다. 고로, 융단폭격 이라는 사기적인 스킬을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녀석은 얼마못가 매니아층의 전유물로 남게되었는데, 그 이유는 다름아닌 날개가 너무 길어서 레이드 모드에서 노르웨이 협곡을 지나갈때 충돌판정을 계속 당한다는것이다.''' 이 때문에 이 기체를 대체할 일본의 류세이 뇌격기가 중 폭격기 판정으로 출시되고나서 완벽하게 버려진 상태다. * [[전함소녀]]에서 미군 [[급강하폭격기]]로 등장한다. 처음부터 [[렉싱턴(전함소녀)|렉싱턴급]] [[새러토가(전함소녀)|항공모함 자매]]에게 장비되어 있으며 10이라는 수위권의 급강하폭격 성능을 갖추고 있다. 렉싱턴급이 실제로 장비한 적이 없는 디스트로이어를 가지고 오는 이유는 원래 데바스데이터를 장비해야 하는 데 코드오류로 디스트로이어가 대신 장비된 것이다. 벽람항로에서도 똑같이 렉싱턴급의 기본 장비인데 이는 전함소녀를 표절했기 때문이다. * [[월드 오브 워쉽]]의 [[월드 오브 워쉽/미국 테크 트리/항공모함|미항모 트리]] 10티어 [[미드웨이급 항공모함]]의 뇌격기와 폭격기로 등장한다. 하지만 고증상으로 [[A-1 스카이레이더|A-1]]이 BTD보다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게임상에서는 둘의 위치가 바뀌어져 있다. 또한 8티어 프리미엄 항공모함인 사이판의 함재기로 등장한다. * [[Naval Creed:Warships]]에서 9티어 뇌격기, 급폭기로 등장한다, 5티어 1차인 에식스(풀업)와 5티어 최종인 미드웨이(스톡)가 사용하며, 약간 느리지만 높은 체력으로 잘 버티는 뇌,급폭기의 위치에 있다. * [[벽람항로]]에서는 유니온측의 폭격기로 등장하는데 명색이 금딱임에도 보딱인 헬다이버의 폭장이 너무나 우수한 탓에 밀리는 콩라인이다. 그래도 헬다이버 다음가는 취급은 받을 수 있는 성능. 물론 헬다이버가 보딱이라 입수가 비교적 간단한 탓에 일부러 이걸 먹기 위해 파밍하는 경우는 없다. == 관련 문서 == * [[뇌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항공 병기/세계 대전]] * [[SBD 돈틀리스]] * [[SB2C 헬다이버]] == 둘러보기 ==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 참고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Douglas_BTD_Destroyer|(영문 위키백과) Douglas BTD Destroyer]] [[분류:맥도넬 더글라스]][[분류:폭격기]][[분류:항공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