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BewhY)] [include(틀:BewhY)] [목차] == 개요 == [[BewhY]]의 [[음반]] 목록을 정리한 문서. == 정규 == === [[The Blind Sta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Blind Star)] === [[The Movie Sta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Movie Star)] == [[익스텐디드 플레이|EP]] == === [[032 Funk]]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032 Funk)] == 싱글 == === Waltz === {{{#!wiki style="word-break:keep-all" ||<-5> {{{#fff {{{+1 '''Waltz'''}}}}}} || ||<-5>{{{#!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9e591cb0a70b039211afe82cd69b8427cc916b871b06ccb7a178d6961da453b9.jpg|align=center&width=100%]]}}}|| || '''{{{#fff #}}}''' || '''{{{#fff 제목}}}''' || '''{{{#fff 러닝타임}}}''' || '''{{{#fff 작곡}}}''' || '''{{{#fff 작사}}}''' || || 1 || '''Waltz''' || 4:17 |||| BewhY || || 2 || '''Waltz (Inst.)''' || 4:17 |||| BewhY || ||<-5> '''{{{#fff [[2014년|{{{#fff 2014년}}}]] [[6월 23일|{{{#fff 6월 23일}}}]] 발매}}}''' ||}}} 비와이의 공식적인 데뷔곡이다. 비공식적으로는 Be The Livest가 최초이다. === Swimming Bananas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FE803> {{{#000 {{{+1 '''Swimming Bananas'''}}}}}}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009559039435ae6e261f5726b4efe216e687463110c61df411fb3b17f74f7944.jpg|align=center&width=100%]]}}}|| ||<#FFE803> '''{{{#000 #}}}''' ||<#FFE803> '''{{{#000 제목}}}''' ||<#FFE803> '''{{{#000 러닝타임}}}''' ||<#FFE803> '''{{{#000 작곡}}}''' ||<#FFE803> '''{{{#000 작사}}}''' || || 1 || '''Swimming Bananas[br]{{{-2 (feat. Keebo)}}}''' || 4:33 || BewhY || BewhY, Keebo || |||||||||| '''{{{#000 [[2014년|{{{#000 2014년}}}]] [[7월 28일|{{{#000 7월 28일}}}]] 발매}}}''' ||}}} === In Trinity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fff {{{+1 '''In Trinity'''}}}}}}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BewhY_%28%BA%F1%BF%CD%C0%CC%29_-_In_Trinity_%C0%DA%C4%CF%C0%CC%B9%CC%C1%F6%281400_1400%29.jpg|align=center&width=100%]]}}}|| || '''{{{#fff #}}}''' || '''{{{#fff 제목}}}''' || '''{{{#fff 러닝타임}}}''' || '''{{{#fff 작곡}}}''' || '''{{{#fff 작사}}}''' || || 1 || '''In Trinity''' || 4:31 |||| BewhY || |||||||||| '''{{{#fff [[2015년|{{{#fff 2015년}}}]] [[9월 18일|{{{#fff 9월 18일}}}]] 발매}}}''' ||}}} 중독성 있는 훅이 인상적인 곡~~비.이.더블.유우우우우우~에이치와.~~으로 비와이의 곡 중에서도 유독 종교적인 색채가 뚜렷한 곡이다. 전반적으로 나른하고 몽환적인 랩을 보여주다가 후반부에 플로우가 돌연 타이트하게 바뀌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 부분을 호평한다. 특징으로는 반 정도의 가사가 모두 2번씩 반복된다. 때문에 초반에 지루한 감이 들기도 한다. 여담으로 이 곡의 [[https://www.youtube.com/watch?v=QsBQ4xiD0Wg|MV]]는 [[씨잼|씨잼~~찌잼~~]]의 ~~뜨르든~~A-Yo 뮤비를 제작한 엄코. 다행히 A-Yo와 달리 준수한 퀄리티의 영상이 뽑혀졌다. 다만 [[Denzel Curry]]의 훅 플로우와 유사해서 외국인들이 지적하기도 한다. 노래의 뜻은 '삼위일체'인데 이는 [[성부]][[성자]][[성령]]을 말한다. 가사중 [[야훼]]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 Shalom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000 {{{+1 '''Shalom'''}}}}}}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kpopscene.com/BewhY-Shalom.jpg|align=center&width=100%]]}}}|| ||<#787454> '''{{{#000 #}}}''' ||<#787454> '''{{{#000 제목}}}''' ||<#787454> '''{{{#000 러닝타임}}}''' ||<#787454> '''{{{#000 작곡}}}''' ||<#787454> '''{{{#000 작사}}}''' || || 1 || '''Shalom''' || 4:40 |||| BewhY || |||||||||| '''{{{#000 [[2016년|{{{#000 2016년}}}]] [[4월 6일|{{{#000 4월 6일}}}]] 발매}}}''' ||}}} >Wassup은 [[좆|whw]]까. 이제부턴 '''''Shalom''''' > [[씨잼]] - [[씨잼#s-1.2|신기루]] 中 In Trinity 이후로 거의 7개월 만에 낸, [[2016년]] 첫 싱글이다. [[2015년]] [[11월 10일]], 씨잼의 무료곡 [[씨잼#s-1.2|신기루]]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고, 올해 1월 말에 비와이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요한복음 3장 16절이 적힌 컵 사진을 올리며 본인이 언급했다. 4월 1일에 M/V 티저가 공개되었고, 4월 6일, [[https://www.youtube.com/watch?v=4yHKfSDAG_A|M/V]]와 음원이 공개되었다. [[The Time Goes On]]에 비해 무겁고 어두운 느낌의 비트 때문에 종교적인 느낌이 더 있어서 호불호가 어느 정도 갈리지만, 플로우는 여전히 호 쪽이라고 한다. 후에 Forever에서 Waltz와 Shalom의 가사가 일부 ~~재탕~~사용되었다. SBS 가요대전 2016에서 [[G-DRAGON]], [[CL]], [[Okasian]]과 백만원이란 노래로 같이 무대를 꾸몄는데 백만원 무대 전 비와이 솔로파트에서 Shalom의 가사가 일부 사용되었다. === Dejavu === {{{#!wiki style="word-break:keep-all" ||<-5> {{{#B50E0E {{{+1 '''Dejavu'''}}}}}} || ||<-5>{{{#!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0060591_org.jpg|align=center&width=100%]]}}}|| || '''{{{#B50E0E #}}}''' || '''{{{#B50E0E 제목}}}''' || '''{{{#B50E0E 러닝타임}}}''' || '''{{{#B50E0E 작곡}}}''' || '''{{{#B50E0E 작사}}}''' || || 1 || '''Dejavu''' || 4:12 |||| BewhY || ||<-5> '''{{{#B50E0E [[2017년|{{{#B50E0E 2017년}}}]] [[5월 10일|{{{#B50E0E 5월 10일}}}]] 발매}}}''' ||}}} === 흔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000 {{{+1 '''흔적'''}}}}}} || ||||||||||<#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0072177_org.jpg|align=center&width=100%]]}}}|| || '''{{{#000 #}}}''' || '''{{{#000 제목}}}''' || '''{{{#000 러닝타임}}}''' || '''{{{#000 작곡}}}''' || '''{{{#000 작사}}}''' || || 1 || '''흔적''' || 3:25 || BewhY, Boycold || BewhY || |||||||||| '''{{{#000 [[2017년|{{{#000 2017년}}}]] [[6월 18일|{{{#000 6월 18일}}}]] 발매}}}''' ||}}} 영화 '[[박열(영화)|박열]]' 홍보곡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vxnbFVRTbhQ|M/V]] 박열이 지향하는 믿음과 길이 자신이 생각하는 힙합 정신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여 만든 곡이라고 한다. === SUITS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fff {{{+1 '''SUITS'''}}}}}} || ||||||||||<#0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ewhY - suits.jpg|align=center&width=100%]]}}}|| || '''{{{#fff #}}}''' || '''{{{#fff 제목}}}''' || '''{{{#fff 러닝타임}}}''' || '''{{{#fff 작곡}}}''' || '''{{{#fff 작사}}}''' || || 1 || '''SUIT UP''' || 3:26 || BewhY, Gharah Degeddingseze, Jayrah Gibson, Victor Portillo || BewhY || || 2 || '''MAN IN THE SUIT''' || 3:11 || BewhY, Oviz || BewhY || |||||||||| '''{{{#fff [[2018년|{{{#fff 2018년}}}]] [[5월 2일|{{{#fff 5월 2일}}}]] 발매}}}''' ||}}} === 나의 땅 === {{{#!wiki style="word-break:keep-all" ||<-5> {{{#fff {{{+1 '''나의 땅'''}}}}}} || ||<-5>{{{#!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dW8o1JWjcI,width=100%)]}}} || || '''{{{#fff #}}}''' || '''{{{#fff 제목}}}''' || '''{{{#fff 러닝타임}}}''' || '''{{{#fff 작곡}}}''' || '''{{{#fff 작사}}}''' || || 1 || '''나의 땅''' || 3:01 || BewhY, Oviz || BewhY || ||<-5> '''{{{#fff [[2019년|{{{#fff 2019년}}}]] [[1월 24일|{{{#fff 1월 24일}}}]] 발매}}}''' ||}}} [[삼일절]]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대한민국 청와대 및 '''대통령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와 비와이가 함께 협력한 공동사업 프로젝트. 해당 곡의 "'''Corea Ura!(Корея Ура)'''" 라는 말은 러시아어로 "'''대한 만세!'''"이다. 이는 [[안중근]] 의사가 러시아의 [[하얼빈시]]에 있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뒤 체포되며 외친 말이다. 이것이 [[하얼빈 의거]]. 피묻은 손을 붕대로 감는 것은 안중근 의사의 단지동맹과 [[혈서]]. 혈서 항목에 안중근 의사의 혈서 이미지가 있으므로 참고하면 좋다. 손바닥 도장도 [[안중근]] 의사의 손바닥이다. 한문이 혼용되어 빼곡히 적힌 문서는 [[기미독립선언서]]. 그리고 뮤직비디오에서 은색 시계와 금색 시계를 서로 내미는 장면이 나오는데 '도시락 폭탄'으로 그 유명한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공원 의거]]를 상징한다. 윤봉길 의사는 의거 직전 [[김구]] 선생에게 시계를 내민다. 자신의 시계가 더 비싼데 이제 몇 시간 안 남았다며 김구 선생과 시계를 맞바꾸자고 한 것. 김구 선생은 시계를 바꾸고 이를 평생 간직했다. 이는 [[백범일지]]로 기록되었다. 갈색 목도리를 하고 앉아 있는 어린 소녀는 [[위안부 소녀상]]을 연상시키며, 한복을 입고 [[태극기]]를 꽉 쥐는 소녀도 등장하는데 당연히 [[유관순]] 열사 및 [[3.1 운동]] 당시 투옥된 여러 여성 열사(烈士)를 연상시킨다. '[[일본 제국|저들]]'처럼 파괴하지 않으며 '[[3.1 운동|우리]]'의 만세는 [[복수]]가 아니라 내일의 천국을 위함임을 명확히 하는 가사. [[분쟁]]과 [[혐오]]를 멈추고 창조를 갈망하는 '''미래 지향적'''인 감성을 내민다. '[[일제강점기|과거]]에 자신을 가두지 마' '[[일본|저들]]에 대한 한(恨)이 아니야' 라는 가사도 들어 있다. 그 의도는 분명히 분쟁과 혐오를 멈추고 '''[[미래]]'''를 바라보라는 것이나 하지만 과거를 납득하라는 의미로 해석당해 공격 받을 여지가 있다. 그렇다고 [[일까]] 지향인 것도 문제가 있으니 굉장히 민감한 부분. 이는 '''누구도 나서서 함부로 말하기 힘든 한일관계의 근본적, 태생적인 딜레마'''이기도 하다 === 찬란 === {{{#!wiki style="word-break:keep-all" ||<-5> {{{#FFED13 {{{+1 '''찬란'''}}}}}} || ||<-5>{{{#!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WYF4uuBCik,width=100%)]}}} || || '''{{{#FFED13 #}}}''' || '''{{{#FFED13 제목}}}''' || '''{{{#FFED13 러닝타임}}}''' || '''{{{#FFED13 작곡}}}''' || '''{{{#FFED13 작사}}}''' || || 1 || '''찬란''' || 3:55 || BewhY, Truthislonely || BewhY || ||<-5> '''{{{#FFED13 [[2019년|{{{#FFED13 2019년}}}]] [[3월 28일|{{{#FFED13 3월 28일}}}]] 발매}}}''' ||}}} [[The Movie Star]] 선공개곡이면서 [[Target : Billboard - KILL BILL|킬빌]]에서 경연곡으로 선공개됐던 신곡이다. 해당 뮤비 링크에 C Kim이라는 일반인 네티즌이 '찬란'에 대해 깊은 분석글을 올렸는데, 그 글에 비와이가 직접 공식 계정을 통해 감탄했다는 의미로 직접 '와...'라는 답글을 달았다. 또한 본인등판에서 9UCCI BANK 해당 네티즌 댓글을 보면서 내 앨범을 통찰하고 있다며 박수를 쳐드리고 싶다고 얘기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WYF4uuBCik|진짜다!]] --해당 답글 때문에 기타 네티즌들이 그 쪽으로 몰려 성지순례 드립을 치는 건 덤...-- === Holy Toast === {{{#!wiki style="word-break:keep-all" ||<-5> {{{#fff {{{+1 '''Holy Toast'''}}}}}} || ||<-5>{{{#!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_7KMfxue7M,width=100%)]}}} || || '''{{{#fff #}}}''' || '''{{{#fff 제목}}}''' || '''{{{#fff 러닝타임}}}''' || '''{{{#fff 작곡}}}''' || '''{{{#fff 작사}}}''' || || 1 || '''Holy Toast''' || 3:03 || BewhY || BewhY || || 2 || '''Holy Toast (Inst.)''' || 3:03 || BewhY || - || ||<-5> '''{{{#fff [[2023년|{{{#fff 2023년}}}]] [[9월 22일|{{{#fff 9월 22일}}}]] 발매}}}''' ||}}} [[비와이]]가 전역한 후 낸 첫번째 싱글 앨범이다. == 합작 == === [[puzzle(노래)|puzzl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uzzle(노래))] 씨잼과 함께 낸 더블 싱글. === International Wave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fff {{{+1 '''International Wave'''}}}}}}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707928_org.jpg|align=center&width=100%]]}}}|| || '''{{{#fff #}}}''' || '''{{{#fff 제목}}}''' || '''{{{#fff 러닝타임}}}''' || '''{{{#fff 작곡}}}''' || '''{{{#fff 작사}}}''' || || 1 || '''International Wave''' || 3:53 || Keeproots, Fascinating, 황준익 || BewhY, Talib Kweli || |||||||||| '''{{{#fff [[2016년|{{{#fff 2016년}}}]] [[9월 3일|{{{#fff 9월 3일}}}]] 발매}}}''' ||}}} 미국의 래퍼 [[탈립 콸리]]와 콜라보한 싱글. 한국의 신성 래퍼(비와이)와 미국의 베테랑 래퍼(탈립 콸리)의 조합을 추구하는 컨셉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 UNO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E7741B {{{+1 '''UNO'''}}}}}}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0045734_org.jpg|align=center&width=100%]]}}}|| || '''{{{#E7741B #}}}''' || '''{{{#E7741B 제목}}}''' || '''{{{#E7741B 러닝타임}}}''' || '''{{{#E7741B 작곡}}}''' || '''{{{#E7741B 작사}}}''' || || 1 || '''UNO''' || 4:19 || The Ambassadorz, Charles Ko, Impudent, BewhY || BewhY, [[Big K.R.I.T.]] || || 2 || '''UNO (Inst.)''' || 4:19 || The Ambassadorz, Charles Ko, Impudent, BewhY || || |||||||||| '''{{{#E7741B [[2017년|{{{#E7741B 2017년}}}]] [[3월 14일|{{{#E7741B 3월 14일}}}]] 발매}}}''' ||}}} === LIKE ME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DDC02E {{{+1 '''LIKE ME'''}}}}}}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0054661_org.jpg|align=center&width=100%]]}}}|| || '''{{{#ddc02e #}}}''' || '''{{{#ddc02e 제목}}}''' || '''{{{#ddc02e 러닝타임}}}''' || '''{{{#ddc02e 작곡}}}''' || '''{{{#ddc02e 작사}}}''' || || 1 || '''LIKE ME''' || 5:46 || Authentic || A$AP TyY, C Jamm, BewhY || |||||||||| '''{{{#ddc02e [[2017년|{{{#DDC02E 2017년}}}]] [[4월 14일|{{{#DDC02E 4월 14일}}}]] 발매}}}''' ||}}} === [[NEO CHRISTIAN]]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NEO CHRISTIAN)] == OST == === [[슬기로운 감빵생활]] OST Part.1 === ||<-2> '''{{{#fff 슬기로운 감빵생활 OST Part.1}}}'''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00293262_001_20171123092241992.jpg|width=100%]]}}} || || '''{{{#fff 아티스트}}}''' || '''BewhY''' || || '''{{{#fff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17. 11. 23 || || '''{{{#fff 러닝타임}}}''' || || || '''{{{#fff 장르}}}''' || 랩/힙합, 국내드라마 || || '''{{{#fff 레이블}}}''' || || || '''{{{#fff 기획사}}}''' || Stone Music Entertainment,[br]KOONG Entertainment || ||<-6> '''{{{#fff 슬기로운 감빵생활 OST Part.1 TRACK LIST}}}''' || || '''{{{#fff 트랙}}}''' || '''{{{#fff 제목}}}''' || '''{{{#fff 작사}}}''' || '''{{{#fff 작곡}}}''' || '''{{{#fff 편곡}}}''' || '''{{{#fff 길이}}}''' || || 1 || '''OK (Prod.[br]By GRAY)''' || BewhY || GRAY, DAX, BewhY || GRAY, DAX || || === [[이태원 클라쓰]] 웹툰 OST === ||<-2> '''{{{#40E0D0 이태원 클라쓰 웹툰 OS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태원클라쓰 웹툰 OST.jpg|width=100%]]}}} || || '''{{{#40E0D0 아티스트}}}''' || '''BewhY''' || || '''{{{#40E0D0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17. 11. 23 || || '''{{{#40E0D0 러닝타임}}}''' || || || '''{{{#40E0D0 장르}}}''' || 애니메이션/웹툰, 랩/힙합 || || '''{{{#40E0D0 레이블}}}''' || || || '''{{{#40E0D0 기획사}}}''' || 카카오페이지 || ||<-6> '''{{{#40E0D0 이태원 클라쓰 웹툰 OST TRACK LIST}}}''' || || '''{{{#40E0D0 트랙}}}''' || '''{{{#40E0D0 제목}}}''' || '''{{{#40E0D0 작사}}}''' || '''{{{#40E0D0 작곡}}}''' || '''{{{#40E0D0 편곡}}}''' || '''{{{#40E0D0 길이}}}''' || || 1 || '''새로이'''^^'''TITLE'''^^ || || || ||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스위트홈]] OST Part.1 === ||<-2> '''{{{#ff0000 스위트홈 OST Part.1}}}'''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위트홈 OST 나란히.jpg|width=100%]]}}} || || '''{{{#ff0000 아티스트}}}''' || '''BewhY''' || || '''{{{#ff0000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20. 12. 25 || || '''{{{#ff0000 러닝타임}}}''' || || || '''{{{#ff0000 장르}}}''' || 국내드라마, 발라드, 랩/힙합 || || '''{{{#ff0000 레이블}}}''' || || || '''{{{#ff0000 기획사}}}''' || Netflix || ||<-6> '''{{{#ff0000 스위트홈 OST Part.1 TRACK LIST}}}''' || || '''{{{#ff0000 트랙}}}''' || '''{{{#ff0000 제목}}}''' || '''{{{#ff0000 작사}}}''' || '''{{{#ff0000 작곡}}}''' || '''{{{#ff0000 편곡}}}''' || '''{{{#ff0000 길이}}}''' || || 1 || '''나란히'''^^'''TITLE'''^^ ||<-3> BewhY || || === [[메이플스토리]] OST : [[카인(메이플스토리)|KAIN]] === ||<-2> '''{{{#fff 메이플스토리 OST[br]{{{+2 KAI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ot_Belong_Anyone.jpg|width=100%]]}}} || || '''{{{#fff 아티스트}}}''' || '''BewhY''' || || '''{{{#fff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21. 01. 07. || || '''{{{#fff 러닝타임}}}''' || 2:27 || || '''{{{#fff 장르}}}''' || 랩/힙합 || || '''{{{#fff 레이블}}}''' || Sony Music || || '''{{{#fff 기획사}}}''' || NECORD || ||<-6> '''{{{#fff 메이플스토리 OST : KAIN TRACK LIST}}}''' || || '''{{{#fff 트랙}}}''' || '''{{{#fff 제목}}}''' || '''{{{#fff 작사}}}''' || '''{{{#fff 작곡}}}''' || '''{{{#fff 편곡}}}''' || '''{{{#fff 길이}}}''' || || 1 || '''Not Belong Anyone'''^^'''TITLE'''^^ || BewhY[br]Viann ||<|2><-2> BewhY ||<|2> 02:27 || || 2 || Not Belong Anyone(Inst.) || - || || '''{{{#000,#fff {{{-2 [메이플스토리 OST : KAIN]}}}}}}''' || || {{{#000,#fff 메이플스토리와 비와이의 숨 막히는 컬래버레이션 잃어버린 나의 기억에 조준}}} || || [youtube(We1I0EuR-f0)]|| [youtube(F5BcV7wFOok)]|| || '''▲ M/V''' || '''▲ Short ver.''' || == 믹스테잎 == === Be The Livest === || '''{{{#fff 발매일}}}''' || '''{{{#fff 이름}}}''' || 01. BewhY Syndrom [Prod. BewhY] 02. Young Yello Beginz [On Wiz Khalifa - Black & Yellow] 03. Be The Livest (Feat. Keebo) [Prod. BewhY] 04. Mr.Different [Prod. BewhY] 05. Swaggin [Prod. BewhY] 06. The Realest Korean [Prod. BewhY] 07. My Time (Feat. Keebo) [Prod. BewhY] 08. O.M.G [Prod. BewhY] 09. U Hate Me [Prod. BewhY] 10. Everyday I'm Hustlin [Prod. BewhY] 11. 신발을 신어 [On Lupe Fiasco - The Show Goes On] || [[2012년]] [[9월 19일]] || Be The Livest [[https://youtu.be/A54TBqqT3Ts|앨범 전곡 듣기]][* 이 때부터 많은 곡을 비와이가 작곡했다. 비와이의 비공식적인 데뷔 음반이다.] || === ''[[Time Travel]]''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ime Travel)] == 참여 앨범 == || 비와이가 [[피처링]], [[프로듀서#s-6.2|프로듀싱]]한 노래들을 이 곳에 정렬합니다. || * 2013 [[한국의 힙합 크루들#s-3.16|$exy $treet]] - We Yello (믹스테잎) * Time To Yello * Fly High * Check Ma $wagg * Search For My Name * 5=1 * Yell Oh! * 걸어 * Fire Yello * Hold On * Rock The Beat * Trust Me * A.S.A.P * Rock Your Body * 2013.06.28 [[코드 쿤스트|CODE KUNST]] * Hear Things * Haze * Ya Know * 2013.11.04 [[씨잼]] * 싱글 Yello Card * Yello Card * 2014.10.24 Konsoul * EP Man In The Mirror * Let Me Count * 2015.03.12 [[아웃사이더(래퍼)|아웃사이더]] * 4집 오만과 편견 * Octagon * 2015.06.26 심바 자와디 * 정규 용기 * 밀림 * 2015.07.17 [[씨잼]] * 1집 Good Boy Doing Bad Things * 쩔 * 걍 음악이다 Remix * 2015.08.25 [[행주(리듬파워)|행주]] * 정규 BestDriver * 에프킬라 * 2015.10.19 [[김준수(JYJ)|김준수]] * EP [[김준수(JYJ)/음반 목록|꼭 어제]] * [[비단길]] * 2015.10.22 [[바스코]], [[씨잼]], 비와이 Konsoul *싱글 얼어 * 얼어 * 2015.11.05 [[박재범]] * 정규 [[WORLDWIDE(음반)|WORLDWIDE]] * 병신 * 2015.12.05 [[스윙스]] * 무료 믹스테이프 Levitate * 2015년도 내 것 * 2016.01.14 [[정준일]] * EP UNDERWATER * PLASTIC * 2016.03.07 [[스윙스]] * 무료 믹스테이프 Levitate 2 * The Tipping point * 2016.05.02 [[스윙스]] * 무료 믹스테이프 Levitate 3 * Boss * 2016.06.24~ [[쇼미더머니 5]] * 니가 알던 내가 아냐(with [[ONE(래퍼)|원]], [[G2]], [[사이먼 도미닉|Simon Dominic]]) * [[Forever(BewhY)|Forever]] (Prod. By [[GRAY]]) * [[Day Day]](feat. [[Jay Park]]) (Prod. by [[GRAY]]) * 쌈박자 (XamBaqJa) (Prod. By BewhY) * 자화상 Part 2 (Fake) (Prod. by BewhY) * 2016.07.26 [[코드 쿤스트|CODE KUNST]] * 싱글 * Beside Me * 2017.11.22 [[슬기로운 감빵생활]] OST * OK (Prod. By GRAY) * 2018.06.09~ [[더 콜]] * I Will Be (with [[김범수(1979)|김범수]]) * Lullaby (with [[신승훈]]) * 0 - 100 (with [[Crush(가수)|Crush]]) * 피노키오 (with [[태민]]) * Duty Free (with [[태일(블락비)|태일]], [[에일리]]) * 2018 11.03 [[쇼미더머니 7]] * [[수퍼비와]] (Prod. BewhY) * 2019.03.15~ [[Target : Billboard - KILL BILL]] * I Will (Prod. Oviz) * Zion * 2020.03.07 [[이태원 클라쓰|이태원 클라쓰 웹툰]] OST * 새로이 (Prod. Viann) * 2020.06.19 PG One - 1Y2[* Dok2와 같이 참여.] * 기타 참여 * 2013.10.08 [[씨잼]] * A-yo 작곡 * 2014.01.23 [[리듬파워]] * WaraWara 작곡 * 2014.10.17 [[최엘비|레이지 본즈]](Lazy Bones) * Daily Routine 작곡 [[분류:BewhY]][[분류:아티스트별 음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