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종국)] [include(틀:SG워너비)] [include(틀:VIBE)] [include(틀:엠투엠)] ||<-2> '''{{{+1 Big4 Of Voices In My Dream}}}'''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Big4_Big4 Of Voices In My Dream.jpg|width=100%]]}}} || ||<-2> '''디지털 싱글''' || ||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2005년 12월 1일 || || '''아티스트''' || [[김종국]], [[SG워너비]], [[VIBE]], [[엠투엠]] || || '''기획사''' || (주)다날엔터테인먼트 || || '''장르''' || R&B/Soul || || '''곡 수''' || 2곡 || || '''재생시간''' || 8분 23초 || || '''타이틀곡''' || Gone With The Wind, Untouchable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5년 12월 1일에 발매한 Big4의 디지털 싱글 앨범이다. || '''{{{#27537A 앨범 소개}}}''' || || '''BIG4 "김종국, SG워너비, VIBE, 엠투엠"의 팬들을 위한 깜짝 선물''' 정규 3집 발표 후 <[[제자리 걸음]]>, <[[사랑스러워]]>,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3곡을 히트시키며 최고의 전성기를 뽐내고 있는 김종국과 2005년 최고의 음반 판매를 기록한 가수 SG워너비, 그리고 실력파 보컬 그룹 VIBE와 M TO M이 모여 환상의 하모니로 완성한 디지털 싱글 앨범. 2005년 12월 25일 ‘빅4콘서트-Christmas In My Dream’ 공연에 앞서 무언가 팬들을 위한 뜻 깊은 이벤트로 온라인으로만 발매되는 앨범이다. SG워너비, 김종국, MTOM 이 함께 부른 ‘Untouchable(언터처블)’은 SG워너비의 ‘광’, 김종국의 ‘제자리 걸음’ 등의 곡으로 2005년 대중들에게 히트곡을 많이 선사한 작곡가 조영수 작곡, 안영민 작사로 미디엄 템포의 경쾌하면서도 부드러운 곡이다. 특히 SG워너비, M TO M의 환상적인 하모니로 어울러진 음색에 김종국의 개성 있는 목소리가 잘 어울려져 2005년 연말 크리스마스 시즌을 강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SG워너비, VIBE, M TO M 이 부른 ‘Gone with the wind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SG워너비의 2집 타이틀 곡 ‘살다가’와 드라마 <슬픈 연가> OST 中 송승헌의 ‘십년이 지나도’로 가수 및 작곡 실력을 모두 인정 받은 바이브의 류재현의 곡으로 서정적이며 애절한 멜로디와 사랑을 주제로 한 가사가 어우러져 매우 슬픈 발라드 곡이다. || == 수록곡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 '''1''' || '''Gone With The Wind'''[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FF00; background: #00FF00; font-size: 0.6em; color: #000000;" '''TITLE'''}}} || [[류재현]] || [[류재현]] || [[류재현]] || || '''2''' || '''Untouchable'''[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FF00; background: #00FF00; font-size: 0.6em; color: #000000;" '''TITLE'''}}} || 안영민 || [[조영수]] || [[조영수]] || === Gone With The Wind === || '''{{{#27537A Gone With The Wind}}}'''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fkdm0Y_cItw)]}}} || || '''{{{#27537A Gone With The Wind}}}''' || || '''ALL {{{#0100FF 채동하}}} {{{#1DDB16 김용준}}} {{{#FF0000 김진호}}} {{{#9932CC 윤민수}}} {{{#9ACD32 류재현}}}''' {{{#9ACD32 집착은 사랑이 아니야 기다림도 사랑이 아니야 헛된 기대는 사랑이 아니야 이젠 난 어쩌란 말야}}} {{{#0100FF 바람처럼 사라진 여인이여 바람처럼 사라진 사랑이여 남몰래 흘렸던 눈물 모아 바람과 함께 그대 사라지고}}} {{{#9ACD32 정 주고 마음 주고 사랑도 다 줘도 내 곁을 떠난 사람 아프고 아파도 그대 내색 한번 하지 않던 사람}}} {{{#FF0000 그때 정 주고 마음 주고 사랑도 다 줘도 아깝지 않던 사람 사랑 때문에 사랑 때문에 아파도 아파도 기다려}}} {{{#9932CC 세월 속에 잊혀질 사랑이여 세월 속에 흩어질 사랑이여 남몰래 흘렸던 눈물 모아 바람과 함께 그대 사라지고}}} {{{#9ACD32 정 주고 마음 주고 사랑도 다 줘도 내 곁을 떠난 사람 아프고 아파도 그대 내색 한번 하지 않던 사람}}} {{{#FF0000 그때 정 주고 마음 주고 사랑도 다 줘도 아깝지 않던 사람 사랑 때문에 사랑 때문에 아파도 아파도 기다려}}} {{{#9932CC 사랑 사랑 사랑 사랑은 혼자서 하는거죠 알아 알아 사랑 이제는 더 이상 끝난거죠}}} {{{#FF0000 정 주고 마음 주고 사랑도 다 줘도 내 곁을 떠난 사람 아프고 아파도 그대 내색 한번 하지 않던 사람}}} {{{#9932CC Think about the future don't forget about the pain}}} {{{#FF0000 그때 정 주고 마음 주고 사랑도 다 줘도 아깝지 않던 사람 사랑 때문에 사랑 때문에 아파도}}} {{{#9932CC (아파도)}}} {{{#FF0000 아파도 기다려}}} {{{#9932CC 사랑 사랑 사랑 사랑}}} || === Untouchable === || '''{{{#27537A Untouchable}}}'''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S3jF8j64Fhg)]}}} || || '''{{{#27537A Untouchable}}}''' || || '''ALL {{{#009E6E 김종국}}} {{{#0100FF 채동하}}} {{{#1DDB16 김용준}}} {{{#FF0000 김진호}}} {{{#9932CC 김성태}}} {{{#9ACD32 최아인}}}''' {{{#9932CC 사는 동안에 내 하루는 너를 기다리는 일로 시작하고}}} {{{#9ACD32 눈물로 하루를 다 쓰면서 기억을 덜어내고}}} {{{#009E6E 머리는 괜찮다 하는데 가슴은 목이 터져라 울고 있어[* BIG4 콘서트 라이브에서는 울고 있어'''"요"'''로 부른다.] 글썽이는 추억 하나까지 내가 사는 이유니까}}} {{{#FF0000 다시 사랑하고 싶어 너무 보고 싶어 이별에 체해서 가슴이 아파도}}} {{{#009E6E 세상에 하나만 내가 갖고 싶은 한 가지 너와 한 사랑}}} {{{#0100FF 가슴에 니가 써놓고 간 너의 이름이 지워지지가 않아 몇 번을 지우고 지워도 상처만 더 남기고}}} {{{#1DDB16 너무 흔해서 못했던 말 내 입술이 겁이 많아 숨겼던 말 내 손이 떨려서 못 전한 말}}} 죽을만큼 널 사랑해 ,,[{{{#1DDB16 김용준}}}, {{{#FF0000 김진호}}}],, {{{#FF0000 다시 사랑하고 싶어 너무 보고 싶어 이별에 체해서 가슴이 아파도}}} {{{#009E6E 세상에 하나만 내가 갖고 싶은 한 가지}}} {{{#FF0000 너와 한 사랑}}} {{{#009E6E 내가 가장 두려운 건 니가 없이 사는 나인걸}}} 내가 아니라도 괜찮은데 볼 수만 있다면 ,,[{{{#009E6E 김종국}}}, {{{#FF0000 김진호}}}],, {{{#1DDB16 가슴 아프지만}}} 눈물이 나지만 내가 웃을 수 있는 건 ,,[{{{#1DDB16 김용준}}}, {{{#0100FF 채동하}}}],, {{{#0100FF 네가 준 추억이 너무 행복해서}}} {{{#009E6E 세상에 하나만 내가 잊고 싶은 한 가지}}} 너와 한 이별 ,,[{{{#009E6E 김종국}}}, {{{#FF0000 김진호}}}],, {{{#FF0000 사랑해 너무 보고 싶어 이별에 체해서 가슴이 아파도}}} {{{#009E6E 세상에 하나만 내가 갖고 싶은 한 가지}}} {{{#FF0000 난 너일 거야}}} || == 영상 == === 뮤직비디오 === || '''{{{#27537A Gone With The Wind}}}'''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Vll4u4zE5JY)]}}} || || '''{{{#27537A Untouchable}}}'''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VjLkHdQqMdk)]}}} || == 라이브 무대 == ||<-2> '''{{{#27537A Gone With The Wind}}}'''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Tavjqa05GqU,width=400,height=200)]}}}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wuRnB283dcY,width=400,height=200)]}}} || || '''{{{#27537A Untouchable}}}'''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EzbPZ2Op3Q0)]}}} || == 음원 성적 == === [[싸이월드]] 뮤직 === ||<-4> '''{{{#27537A {{{+1 2006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TOP 10}}}}}}''' || || '''순위''' || '''아티스트명''' || '''곡명''' || '''다운로드건 수''' || || 1위 || SG워너비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590,000건 || || 2위 || 바이브 || 그 남자 그 여자 (Feat. 장혜진) || 560,000건 || || 3위 || 백지영 || 사랑 안 해 || 400,000건 || || 4위 || Sweet Sorrow || 아무리 생각해도 난 너를 ||<|5> -[* 다운로드건 수 불명] || || 5위 || 조PD, 브라운 아이드 걸스 || Hold The Line || || 6위 || 하울, 제이 || Perhaps Love (사랑인가요) || || 7위 || 이루, Daylight || 까만안경 || || 8위 || 박선주, 김범수 || 남과 여 || || '''9위''' || '''Big4''' || '''Untouchable''' || '''250,000건''' || || 10위 || 거북이 || 비행기 || -[* 다운로드건 수 불명] || === 각종 디지털 음원 차트 기록 === ||<-4> '''{{{#27537A {{{+1 역대 디지털 음원 차트 기록}}}}}}''' || || '''음원 서비스''' || '''날짜''' || '''곡명''' || '''최고 순위''' || || [[벅스(음원 서비스)|[[파일:벅스 로고.svg|width=60]]]] || - ||<|11> '''Untouchable''' || 3위 || || [[싸이월드|[[파일:싸이월드 로고.svg|width=90]]]] || '''2005. 12. 16. ~ 2006. 01. 12.''' || '''{{{#0000FF 4주 1위}}}''' || || [[파일:맥스mp3 로고.jpg|width=100]] || '''2005. 12. 30. ~ 2006. 01. 19.''' || '''{{{#0000FF 3주 1위}}}''' || ||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60]]]] || '''2006. 01. 02. ~ 2006. 02. 05.''' || '''{{{#0000FF 5주 1위}}}''' || || [[파일:쥬크온 로고.jpg|width=100]] || '''2006. 01. 30. ~ 2006. 02. 12.''' || '''2주 1위''' || || [[파일:뮤즈 로고.jpg|width=100]] || '''2006. 01. 03. ~ 2006. 01. 30.''' || '''{{{#0000FF 4주 1위}}}''' || || [[파일:Mylisten.com.png|width=100]] || '''2005. 12. 20. ~ 2006. 01. 23.''' || '''{{{#0000FF 5주 1위}}}''' || || [[파일:펀케익 로고.jpg|width=100]] || '''2005. 12. 25. ~ 2006. 01. 28.''' || '''{{{#0000FF 5주 1위}}}''' || || [[파일:뮤직온 로고.jpg|width=100]] || ''''2005. 12. 24. ~ 2006. 01. 20.''' || '''{{{#0000FF 4주 1위}}}''' || || [[파일:도시락 음원 로고.jpg|width=100]] || '''2006. 01. 13. ~ 2006. 02. 02.''' || '''{{{#0000FF 3주 1위}}}''' || || [[파일:보키닷컴 로고.jpg|width=100]] || '''2006. 01. 16. ~ 2006. 02. 12.''' || '''{{{#0000FF 4주 1위}}}''' || ||<-4> {{{-2 {{{#!wiki style="text-align:left"#000000,#E5E5E5 '''※ 음원 차트 주간 순위 표기 기준''' * 주간 8주 이상 1위 : 금색 표기 * 주간 6주 이상 1위 : 빨간색 표기 * 주간 3주 이상 1위 : 파란색 표기 '''※ 주요 음원 서비스 점유율 (2005년 7월 기준)''' * [[벅스(음원 서비스)|벅스]] : 약 64%를 점유한 음원 서비스. * [[싸이월드]] 뮤직 : 이용자 수 1700만명을 돌파했던 2000년대 대규모 SNS 음원 서비스. * 맥스MP3 : 약 20.52%를 점유한 음원 서비스. 2006년 [[엠넷닷컴]]에 흡수합병. *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SKT)]] : 약 5.43%를 점유한 음원 서비스. 2004년 11월에 [[SK텔레콤]]이 서비스 시작. '''※ 기타 음원 서비스 점유율 (2005년 7월 기준)''' * 쥬크온 : 약 2.56%를 점유한 음원 서비스. 2007년 [[벅스(음원 서비스)|벅스]]에 흡수합병. * 뮤즈 : 약 1.74%를 점유한 음원 서비스. * 마이리슨닷컴 : 약 1.5%를 점유한 음원 서비스. * 펀케익닷컴 : 약 1.35%를 점유한 음원 서비스. 2006년 쥬크온에 흡수합병. * 뮤직온 (LGT) : 약 1.1%를 점유한 음원 서비스. 2004년 12월에 [[LG U+|LG텔레콤]]이 서비스 시작. * 도시락 (KTF) : 약 0.97%를 점유한 음원 서비스. 2005년 5월에 [[KTF]]가 서비스 시작. 2011년 [[올레뮤직]](現 지니뮤직)에 흡수합병. * 보키닷컴 : 2004년 11월 1일에 서비스 시작한 음원 서비스. }}} }}} || == 여담 == * [[2005년]] [[12월 25일]] [[김종국]], [[SG워너비]], [[VIBE]], [[엠투엠]]이 모여 '''빅4 콘서트 - Chiristmas In My Dream'''을 열기로 결정된 후 일종의 팬서비스로 만들어진 앨범이며, 당시 굉장한 인기를 누리던 4팀의 합동 콘서트로 화제가 되었다. * 1번 트랙 는 [[김종국]]을 제외한 [[VIBE]], [[SG워너비]]가 참여했으며, SG워너비의 대표곡인 [[살다가]]를 써낸 [[VIBE]]의 [[류재현]]이 작곡했다. 참고로 클라이맥스에서 나오는 [[VIBE]]의 [[윤민수]]가 외치는 가사명은 '''Think about the future don't forget about the pain'''이다. * 2번 트랙 은 [[VIBE]]를 제외한 [[김종국]], [[SG워너비]], [[엠투엠]]이 참여했으며, 작곡을 한 [[조영수]]와 작사를 한 안영민 콤비의 작품이다. 이 곡으로 모든 음원 사이트를 올킬했고, 제일 큰 인기를 끌었던 곡이다. * [[뮤직비디오]]의 경우 [[차은택]] 감독이 연출한 드라마타이즈 형식으로 두 곡이 시리즈물로 연결되며, 배우 [[김남진]], [[박시연(1979)|박시연]]이 주연으로 등장한다. 이 싱글 앨범 수록곡들은 정규앨범 타이틀곡 수준으로 대중들의 반응이 좋았기에, 이후 SG워너비 정규 3집 [[The 3rd Masterpiece]]에 보너스 트랙으로 재수록되었다. * 여담으로 [[엠투엠]]은 2곡 모두 참여했지만, 제대로 된 파트가 에서 [[성태|김성태]], [[최아인]]의 파트 각각 1번 밖에 없다. * 이 곡은 발매 후 [[싸이월드]] 뮤직,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맥스MP3, 쥬크온, 펀케익 등 여러 음원 사이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고, 2006년 1월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월간 차트 1위를 기록했다. * 은 2006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9위에 랭크되며 2006년 최고 인기곡들 중 하나가 되었다. * 원래 이 앨범의 자켓은 무지개색 앨범이었으나 표절 논란이 나면서 흑백으로 변경되었다.[* [[파일:big4rainbow.jpg|width=300]]] [[분류:김종국/음반]][[분류:SG워너비/음반]][[분류:VIBE/음반]][[분류:2005년 음반]][[분류:한국의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