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금발,rd1=머리카락/금색,other2=나카모리 아키나의 싱글,rd2=BLONDE(노래))] [include(틀:Frank Ocean)]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Blonde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피치포크 2010년대 200대 명반)] ---- [Include(틀:스테레오검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순위=79,연도=202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12)]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1)] ---- [include(틀:브루클린비건 선정 2010년대 141대 명반, 순위=3)] ---- [include(틀:인디펜던트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5)]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56)]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8)] ---- [include(틀:Discogs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순위=44)] ----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50)] ---- [include(틀:Popkultur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1)] ---- [include(틀:Analog Planet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2)] ---- [include(틀:WHIP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Tiny Mix Tapes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9)] ---- [include(틀:Northern Transmissions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3)] ---- [include(틀:Gorilla vs. Bear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20)]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114)]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2016 앨범 차트,순위=2)]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앨범차트,순위=59)] ---- ||||<#fff,#191919><-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수어사이드 스쿼드(영화)|Suicide Squad]]:[br]The Album'' {{{-2 [[Various Artists|{{{#8086a0 VA}}}]]}}} || {{{+1 →}}} || ''' ''Blonde''[br]{{{-2 [[프랭크 오션|{{{#8086a0 Frank Ocean}}}]]}}}''' || {{{+1 →}}} || ''Encore:[br]Movie Partners Sing Broadway'' {{{-2 [[바브라 스트라이샌드|{{{#8086a0 Barbra Streisand}}}]]}}}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 || ||||<#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2E4E3;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font-size: 1.25em" '''{{{#000 ''Blonde''}}}'''}}}'''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블론데.jpg|width=100%]]}}} || ||||<#000>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블랙 프라이데이 한정판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블렉블론데.jpg|width=96%]]}}}}}}}}}}}} || ||||<#fff> {{{#000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크리스마스 기념 재발매판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e추가된블론데.jpg|width=96%]]}}}}}}}}}}}} || || '''아티스트''' || [[프랭크 오션]] || || '''발매일''' || [[2016년]] [[8월 20일]] || || '''녹음''' || [[2013년]] ~ [[2016년]] || || '''스튜디오''' || [[애비 로드 스튜디오|Abbey Road]]([[런던]])[br]Electric Lady([[뉴욕]])[br]Henson([[로스 엔젤레스]]) || || '''장르''' || [[얼터너티브 R&B]], [[아트 팝]], [[네오 소울]], 앰비언트 팝 || || '''레이블''' || Boys Don't Cry || || '''재생 시간''' || 60:08 || || '''프로듀서''' || [[프랭크 오션]], 버드 로스, 프랜시스 스타 라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6년 8월 20일 발매된 [[프랭크 오션]]의 두번째 정규 음반. == 상세 == 배포를 위한 소속사 계약 없이 자체 발매된 음반이다.[* 이전 소속사인 데프잼과 계약되어 있던 마지막 앨범 한 장인 비주얼 앨범 ''Endless''를 8월 19일에 발매함으로써 계약을 종료한 바로 다음 날 이 앨범을 발매한 것이다. 다분히 의도가 보이는 타이밍.] 2013년부터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으며, 인터뷰에서 밝히길 [[channel ORANGE]]와는 다른 방식으로 음반을 작업하는 중이라 하였다.앨범 커버에는 'Blond'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공식 명칭은 'Blonde'라고 되어있다. Blond는 금발 남성을 지칭하는 프랑스어이고 Blonde는 금발 여성을 지칭하는 명사이다. 프랭크 오션은 이 앨범의 발매 전후 인터뷰에서 음악을 만들 때 개인적인 경험의 비주얼화(visualized)를 중점으로 두고 제작한다고 밝혔다. 즉 사운드나 가사 같은 음악적 연출 전반이 자신이 겪은 경험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추구한다는 것이다. 1집과 더불어 평단의 찬사를 받으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 평가 및 성과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blonde,artist=frank-ocean,critic=87,user=8.8)]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22295-blonde-endless/, 점수=9.0)] [include(틀:RYM, type=album, code=frank-ocean/blonde, 점수=4.09)] ||<-2>
<#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2E4E3;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font-size: 1.25em" '''{{{#000 [[Blonde|{{{#000 Blonde}}}]]}}}'''}}}의 전문가 평점''' || ||<#E2E4E3> '''{{{#000 매체}}}''' ||<#E2E4E3> '''{{{#000 평점}}}''' || || [[AllMusic]] || '''{{{+2 3.5}}}/5''' || || The Daily Telegraph || '''★★★★☆''' || || Entertainment Weekly || '''{{{+2 A}}}''' || || [[The Guardian]] || '''★★★★★''' || || The Observer || '''★★★★☆''' || || [[롤링 스톤|Rolling Stone]] || '''★★★★☆''' || || [[스핀(잡지)|Spin]] || '''{{{+2 8}}}/10''' || || [[The Times]] || '''★★★★☆''' || || Vice (Expert Witness) || '''{{{+2 B+}}}''' || 1집 채널 오렌지와 비교하면 [[PBR&B]]나 [[힙합 음악|힙합]]의 요소들은 많이 줄어든 사운드를 들려준다. 이는 프랭크 오션이 이 앨범을 제작할 때 [[비틀즈]]나 [[비치 보이스]] 같은 60년대 [[바로크 팝]] 음악에 큰 영향을 받은 것과 이 앨범을 같이 제작한 뮤지션이자 프로듀서인 '''Buddy Ross'''의 영향이 커보인다.[* 이후 그는 아예 프랭크 오션의 세션으로 고용되어 신디사이저와 건반 사운드 일체를 담당하게 되었다.] 실제로 그의 곡인 Runnin Around가 “Be Yourself”, “Good Guy”, “Facebook Story”와 “Futura Free”에서 꾸준히 사용된 것을 들을 수 있다. 전체적으로 슬로우 템포에 몽환적인 사운드를 추구하였고, 1집의 흔적은 겨우 몇몇곡에서 찾아볼 수 있을 뿐 1집과의 연개성이 적다. 1집의 중심 스토리가 여러 시선과 테마에서 볼 수 있는 미국 사회의 부패였다면 2집은 오로지 프랭크 오션의 개인적 이야기들로 지난 수 년간 겪었던 사랑과 거기에서 오는 상실같은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들을 주제로 한 음반이다. 앨범을 처음부터 끝까지 듣고 나서도 깨닫지 못하는 이들이 많지만[* 피처링진이 표기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엄청난 뮤지션들이 피쳐링을 한 앨범이다. 프로듀싱하면 빠지면 섭섭한 [[비욘세]]가 참여했고, [[안드레 3000]], [[본 이베어]] 또한 참여하였다. 작사로는 [[카녜 웨스트]],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가 참여하기도 했다. 또한 오션에게 많은 영감을 주는 [[엘리엇 스미스]]의 가사들을 레퍼런스한 곡이 존재한다. 안드레 3000을 제외하면 이들은 모두 전면에 나서 피쳐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코러스나 애드립같은 백그라운드에 머물러 사운드를 채웠는데, 이는 오션의 이전 앨범과는 확연히 다른 부분. [[메타크리틱]]에서 87점을 받으면서 전작 ''[[channel ORANGE]]''에 이어 2016년 명반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된다. 특히 [[가디언]] 지에서는 이 음반에 만점을 주었고, 많은 매체에서 "초현실적이며 기괴하면서도 새로운 형식의 팝 음악"이라는 평을 내세우면서 극찬을 한다. 또한 The Skinny지와 [[타임(주간지)|타임]] 지에서는 이 음반을 올해의 앨범 1위에 랭크시킨다. 메타크리틱에서도 [[인디펜던트]] 지에서 "목적이 없는 음악"이라고 비판하면서 별 5개 중 2개를 준 것을 제외하면[* 그래놓고서 올해의 앨범 5위에 랭크시켰다(...).] 전작인''channel ORANGE'' 못지 않게 수많은 매체에서 최고의 찬사를 받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빌보드 200]]에서 1위를 기록하면서 프랭크 오션 음반 사상 최초의 빌보드 1위 음반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2019년 12월, '''[[피치포크 미디어]]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 1위에 선정됐다.'''[* 칸예 음악 커리어를 통틀어 최고 명반으로 불리는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와 켄드릭 라마의 ''[[To Pimp A Butterfly]]''를 꺾었다.] 여담으로 프랭크 오션 본인이 그래미에 앨범을 제출하지 않았다. == 트랙리스트 == [include(틀:Blonde)] ||||||<#e2e4e3> '''{{{#010101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Nikes]] || 5:14 || || 2 || [[Ivy(프랭크 오션)|Ivy]] || 4:09 || || 3 || [[Pink + White]] || 3:04 || || 4 || [[Be Yourself(프랭크 오션)|Be Yourself]] [* 프로듀서 Buddy Ross의 Running Around를 샘플링했다.] || 1:26 || || 5 || [[Solo(프랭크 오션)|Solo]] || 4:17 || || 6 || [[Skyline To]] || 3:04 || || 7 || [[Self Control(프랭크 오션)|Self Control]] || 4:09 || || 8 || [[Good Guy(프랭크 오션)|Good Guy]] || 1:06 || || 9 || [[Nights]][* 피지컬 앨범에서는 ''Night.s''라는 이름으로 수록되었다.][* 중간에 비트 체인지가 일어나는데, 기가 막히게도 비트가 바뀌는 순간이 앨범의 정중앙이다! (러닝타임 60분, 비트 체인지 시각 30분) 게다가 이 비트 체인지 이후로 앨범 분위기 자체가 바뀌는것은 덤이다.] || 5:07 || || 10 || [[Solo (Reprise)]] || 1:18 || || 11 || [[Pretty Sweet]] || 2:37 || || 12 || [[Facebook Story]][* Be Yourself와 동일, Buddy Ross의 Running Around를 샘플링하였다.] || 1:08 || || 13 || [[Close To You(프랭크 오션)| Close To You]][* [[스티비 원더]]가 [[카펜터즈]]의 원곡을 부른 버전이 샘플링되었다.] || 1:25 || || 14 || [[White Ferrari]] || 4:08 || || 15 || Seigfried || 5:34 || || 16 || [[Godspeed(프랭크 오션)|Godspeed]][* 이 노래에 피쳐링한 킴 버랠(가수이자 기독교 목사)이 2016년 12월 30일 자신의 교회 설교에서 게이와 레즈비언에 대한 혐오발언을 쏟아내 미국 연예계에 크게 알려진 뒤 프랭크 오션의 어머니가 트위터를 통해 아들에게 저 여자를 앨범에서 지워버렸음 한다고 일갈했다. 기회주의자 ***라는 욕설까지 담았으니 자신의 상업적 성공을 위해 자기의 아들을 이용해먹으며 이중적 태도를 보인 사실에 크게 분노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킴 버렐은 패럴과 함께 새 영화 사운드트랙을 홍보하는 와중이였는데, 이로 영화 주연인 [[자넬 모네]]와 [[옥타비아 스펜서]] 그리고 노래를 같이 부른 패럴도 소셜 미디어를 통해 킴 버랠을 비판했다. 더 웃긴건 엘런 쇼에서 생방송으로 노래와 영화를 홍보하기로 약속을 잡아놓고 혐오발언이 일어난 것. 다들 알다시피 앨런은 이미 오래전부터 커밍아웃한 레즈비언이다. 이쯤 되면 대중 음악은 포기하고 혐오발언 장사로 책쓰고 강연다니고 다른 호모포비아들로부터 기부금 받는 삶으로 전향한 듯.] || 2:57 || || 17 || [[Futura Free]][* Futura는 이 앨범 커버에 사용된 폰트 이름이기도 하다. 나이키에서 주로 사용한다. 또한 말 그대로 인터뷰가 담긴 ''Interviews''라는 히든 트랙이 들어 있다.][* 곡 후반부에서 스킷이 진행되다가 9분 4초에 'How far is a light year?'(1광년은 얼마나 멀까?)라는 구절을 끝으로 곡이 끝난다. 1광년은 약 9.4조km이다.] || 9:24 || ||||||<#e2e4e3> '''{{{#000 Pop Up Shop Bonus Track}}}''' || || 1 || Nikes (feat. [[KOHH]]) || || ===# 크레딧 #=== ||||||<-6><#e2e4e3> '''{{{#010101 트랙리스트}}}''' || || '''#''' || '''제목''' || '''보컬 참여''' || '''프로듀서''' || '''샘플링''' || '''길이''' || || 1 || Nikes || {{{-3 Amber Coffman}}} || {{{-3 [[Frank Ocean|Ocean]], Malay Ho, Om'Mas Keith}}} ||<|3> || 5:14 || || 2 || Ivy || || {{{-3 [[Frank Ocean|Ocean]], Om'Mas Keith,[br] Rostam Batmanglij}}} || 4:09 || || 3 || Pink + White || {{{-3 [[비욘세|Beyoncé]]}}} || {{{-3 [[Frank Ocean|Ocean]], [[퍼렐 윌리엄스|Williams]]}}} || 3:04 || || 4 || Be Yourself || {{{-3 Rosie Watson}}} || || {{{-3 Buddy Ross - Running Around}}} || 1:26 || || 5 || Solo || {{{-3 [[Jazmine Sullivan]]}}} || {{{-3 [[Frank Ocean|Ocean]], [[제임스 블레이크|Blake]]}}} ||<|7> || 4:17 || || 6 || Skyline To || || {{{-3 [[Frank Ocean|Ocean]], Malay Ho, Om'Mas Keith}}} || 3:04 || || 7 || Self Control || {{{-3 Austin Feinstein}}} || {{{-3 [[Frank Ocean|Ocean]], Malay Ho, Brion}}} || 4:09 || || 8 || Good Guy ||<|2> || {{{-3 [[Frank Ocean|Ocean]]}}} || 1:06 || || 9 || Nights || {{{-3 [[Frank Ocean|Ocean]], [[Vegyn|Thornalley]], Uzowuru,[br] Buddy Ross}}} || 5:07 || || 10 || Solo (Reprise) || {{{-3 [[André 3000]]}}} || {{{-3 [[Frank Ocean|Ocean]], [[제임스 블레이크|Blake]], Brion}}} || 1:18 || || 11 || Pretty Sweet || || {{{-3 {{{-3 [[Frank Ocean|Ocean]], Malay Ho, Om'Mas Keith}}}}}} || 2:37 || || 12 || Facebook Story || {{{-3 Sebastian}}} || {{{-3 [[Frank Ocean|Ocean]]}}} || {{{-3 Buddy Ross - Running Around}}} || 1:08 || || 13 || Close To You ||<|3> || {{{-3 [[Frank Ocean|Ocean]], Buddy Ross, Francis Starlite}}} || {{{-3 [[Stevie Wonder]] - They Long to Be Close to You }}} || 1:25 || || 14 || White Ferrari || {{{-3 [[Frank Ocean|Ocean]], Brion, Om'Mas Keith}}} || {{{-3 [[비틀즈|The Beatles]] - [[Here, There and Everywhere]]}}} || 4:08 || || 15 || Seigfreid || {{{-3 [[Frank Ocean|Ocean]], Malay Ho}}} || {{{-3 [[Elliott Smith]] -[br] A Fond Farewell,[br] Rostam Batmanglij - "Untitled" }}} || 5:34 || || 16 || Godspeed || {{{-3 Kim Burrell, [[Yung Lean]]}}} || {{{-3 [[Frank Ocean|Ocean]], Malay Ho, Om'Mas Keith, [[제임스 블레이크|Blake]]}}} || || 2:57 || || 17 || Futura Free || {{{-3 Ryan Moore, Ibrahim Hariri,[br] Na-Kel Smith, Sage Elsesser,[br] Evan Clark, Nabil Hariri, [[Frank Ocean|Ocean]]}}} || {{{-3 [[Frank Ocean|Ocean]], Malay Ho, Om'Mas Keith}}} || {{{-3 Buddy Ross - Running Around,[br] [[갱 오브 포|Gang of Four]] - Anthrax}}} || 9:24 || == 얼터네이트 [[앨범 아트]] == {{{#!wiki style="text-align:center" [[파일:블론테얼터헬멧.jpg|align=center&width=400]]}}} ---- {{{#!wiki style="text-align:center" [[파일:블론테얼터담배.jpg|align=center&width=400]]}}} == 기타 == {{{#!wiki style="text-align:center" [[파일:blonde2.jpg|align=center&width=400]]}}} * 프랭크 오션이 이 사진을 보고 영감을 받아 Blonde를 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 Godspeed에 샘플링된 킴 버렐 관련해서는 논란이 좀 있는데, 앨범이 나온 지 4개월 후, 그녀가 자신의 교회 설교에서 게이와 레즈비언에 대한 혐오발언을 쏟아내버린 사건이 조명을 받게 된 것이다. 이에 프랭크 오션의 어머니는 트위터를 통해 아들에게 저 여자를 앨범에서 지워버렸음 한다고 일갈했고, 기회주의자 ***라는 워드까지 담아 자신의 상업적 성공을 위해 자기의 아들을 이용해먹으며 이중적 태도를 보인 사실에 크게 분노했다. 기독교야 원래 반 동성애 정서가 강하고, 교리인만큼 목사인 그녀가 그런 발언을 쏟아내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동성애자인 오션의 앨범에 피쳐링을 하고, 미국 사회에 널린 수많은 동성애자들을 이용해 유명세를 늘려가고 있는 사람이었기에 큰 파란이 인 것. 특히나 킴 버렐은 패럴과 함께 새 영화 사운드트랙을 홍보하는 와중이였는데, 이로 인해 영화 주연인 자넬 모네와 옥타비아 스펜서, 그리고 노래를 같이 부른 패럴도 소셜 미디어를 통해 킴 버랠을 비판하게 되었다. 더 웃긴건 레즈비언으로 유명한 엘런 드제러스의 엘런쇼에서 생방송으로 노래와 영화를 홍보하기로 약속을 잡아놓고 혐오발언이 일어난 것. 말했듯이 미국 사회에 널린 수많은 동성애자들을 이용해 유명세를 늘리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이쯤 되면 대중 음악은 포기하고 혐오발언 장사로 책쓰고 강연다니고 다른 호모포비아들로부터 기부금을 받는 삶으로 전향한 듯하다. [[분류:프랭크 오션]][[분류:2016년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오피셜 차트 1위 앨범]][[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컨템퍼러리 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