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JMAX 시리즈 오프닝곡)]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vimeo(383429579)]}}} || || {{{-1 '''수록 정보'''}}} ||{{{-1 [[DJMAX RESPECT V]]}}} {{{-3 (2019)}}} || || {{{-1 '''장르'''}}} ||{{{-1 Funk Rock}}} || || {{{-1 '''BPM'''}}} ||{{{-1 175}}} || || {{{-1 '''작곡'''}}} ||{{{-1 [[BEXTER]]}}} || || {{{-1 '''작사'''}}} ||{{{-1 BEXTER / D.PENGUIN}}} || || {{{-1 '''악기 피처링'''}}} ||{{{-1 [[AZ(기타리스트)|AZ]](on Guitar)}}} || || {{{-1 '''보컬'''}}} ||{{{-1 [[DyoN Joo]]}}} || || {{{-1 '''BGA'''}}} ||{{{-1 [[https://vcrworks.kr/|VCRWORKS]]}}} || ||<-2> {{{#!folding [ 가사 보기 ] I never die Look our fight, look at you, it's so fine You're gonna break I will stand, u're weak, you will cry Look into my eyes It's so cool I'm so free It's so fly Look into my eyes It's so cool Look at me Never die *Singing! Boom Boom Boom Boom Boom Boom Boom Boom Boom Anymore~ Anymore~ Boom Boom Boom Boom Boom Boom Boom Boom Boom *repeat I look at fire So it's cool Don't back in anger I wanna steal your heart so}}} || == 개요 == BEXTER가 작사, 작곡한 '''[[DJMAX RESPECT V]]의 첫번째 오프닝 테마곡'''.[* 2019년 12월 19일부터 2023년 01월 17일까지 인게임 내에서 사용되었다.] 2019년 11월 19일에 공개된 RESPECT V의 티저에서 BGA의 일부분이 공개됨으로써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으며, 이후 1개월 뒤인 12월 19일 유튜브 공식 계정에 공개되었다. 앞서 출시되었던 RESPECT의 오프닝 테마인 [[glory day]]와 비교하면 상당히 경쾌하고 밝은 테마다. BEXTER가 직접 언급한 바에 따르면 [[DJMAX RESPECT V]]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 '''래더 매치의 대결 컨셉'''을 기본으로 작업했다고 하며, 이러한 컨셉을 살리기 위해 감성적인 부분보다 스피드하고, 신나고, 다이나믹한 느낌을 살리기 위해 노력했다고 한다.[[https://quasarzone.com/bbs/qc_user/views/50085|출처]] 실제로 곡 길이 자체도 Boom!이 1분 32초로 2분 19초인 glory day보다 약 40초 가량 짧다. BGA는 [[glory day]], [[BlackCat]]에서 이어지며, 엘 클리어와 부활한 이들이 있는 파티 현장[* 파티 초반부를 보면 NB 로봇과 함께 또 다른 여성이 춤추는 게 보이는데, 이 여성은 [[NB RANGER - Virgin Force]]에 나오는 그 아가씨이다.]에 갑자기 엘 페일이 난입, 클리어와 싸움을 벌이다[* 전투능력 자체는 페일이 더 강하다. 특히 페일은 X자가 새겨진 한쪽 눈에서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는데 그 위력이 대폭발을 일으킬 수준일뿐만 아니라 심지어 상대에게 조준까지 가능하다!--뭐야 이거-- --퍼펙트보단 미스가 날 확률이 높아서 그렇다 카더라--] 페일의 기타가 클리어의 왼손에 부착된 팔찌를 부수자 좀비화된 손에서 정체 불명의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더니[* 페일도 이사태를 예상 못했는지 떠는 표정을 지었다.] 왼손은 원래 사람의 손으로 돌아오고 그 연기는 점차 커지더니 악마가 되었으며 일행이 그 악마를 퇴치한다는 내용이다. [* 중간에 인물들이 페일을 매우 안 좋게 바라보는데 이 때문에 찔린건지 페일도 같이 동참해서 퇴치한다. --인간대포 페일--] 설정 상 클리어의 왼팔이 좀비화된 상태로 남아있던 것은 DJMAX가 다시 지옥으로 돌아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서 비롯된 것을 감안하면, 이번에야말로 불안감을 떨치고 DJMAX를 다시 흥하게 하겠다는 제작진의 의지를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이 검은 연기의 정체는 후일 익스텐션 4에서 한 마리의 괴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바로 퇴치하지는 못하고 재봉인 된 것. 어떻게 이 괴수들이 나뉘어졌는지는 [[DIE IN]]의 BGA에서 떡밥이 회수된다. 보컬을 담당했던 Dyon Joo의 인스타그램에 [[https://www.instagram.com/p/B6P2ctXlwjS/|녹음 후일담]]이 올라왔는데, 처음에 곡을 받았을 때에는 무려 '''4키'''가 높았다고 한다. == 패러디 & 이스터에그 == * [[glory day]]처럼 묘비들의 이름에 역대 디제이맥스 시리즈의 게임 타이틀과 수록된 곡명, 고정적으로 참가한 작곡자들과 그래픽 디자이너들, 스태프들의 명의가 적혀 있다. * 파티에 참여한 이들 중에 NB 카이저와 [[NB RANGER - Virgin Force]]의 아가씨, NB 레드, NB 그린, NB 블루, 세라&니나 쌍둥이 자매, Don't die의 기사, 바람에게 부탁해의 곰과 glory day에 등장한 플레이가 있다. * 연기가 악마 형상을 띌 때 [[DJMAX Portable Black Square|블랙 스퀘어]] 한정판의 종이 스피커와 [[DJMAX Portable Hot Tunes|핫 튠즈]] 한정판의 합판 상자에 있던 부서진 경첩의 이미지가 나온다.--흑역사 셀프디스-- * 페일을 둘러싸고 신나게 갈구는 인물들은 세라&니나 쌍둥이 자매하고 NB 카이저와 거대 아가씨, 프레이야, NB레드, 플레이, 클리어다.~~설명해 보라며 마이크 들이대는 니나가 압권.~~ * 클리어와 NB레인저가 페일을 대포삼아 악마를 향해 포격하는 장면은 [[NB RANGER - Virgin Force]]에서 NB 레인저가 포격하는 장면의 패러디. 특히 레드를 제외하면[* 레드의 자리는 본래 블랙이 담당했다.] 포격시의 위치가 동일하며 블루와 그린은 [[NB RANGER - Virgin Force]]처럼 팔을 좌우로 뻗고 있다. 차이점이라면 클리어의 키가 작아서인지 NB 레인저들 전원이 무릎을 꿇고 있다는 것,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om!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6c5002 RESPECT}}}'''}}} || ||<-4>'''{{{+5 Boom!}}}'''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4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9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64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91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2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6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708}}}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914}}}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7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49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82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199}}}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1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53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10}}}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984}}}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8e8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처음부터 해금되어 있다. [[glory day]]보다 전반적으로 난이도 높은 패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 시즌 8 업데이트로 4B와 6B에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vYpMXrkg8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q-DYzOdSZc)]}}}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k_OQwnom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yw33HL0U8E)]}}} || 4B SC는 무난한 편이다. 기존에 존재했던 5B SC 패턴을 4버튼으로 적당히 뭉친 버전. 후반 기타 리프 계단에서 4번 따닥이가 등장하는 부분은 주의해주자.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6RvybhYen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iQVivsjRAg)]}}}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rCSN8gcD9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f2AH9AThqM)]}}} || 5B SC는 15레벨 입문곡이었고 개편 때 기존 14레벨 상위권~15레벨 하위권을 묶은 10레벨이 됐지만 여전히 물렙이다. 실제 체감 난이도는 9레벨 최하위권. 노래 시작하자마자 나오는 트릴 섞인 폭타가 그나마 까다로운 구간이지만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좌우 2/3이나 3/2 중 하나만 골라 밀어도 전부 처리할 수 있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7gGMWw19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qTVBTDHsAw)]}}}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mMRUmHQuY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g8AzkwZKe4)]}}} || 타 버튼 SC들은 전체적으로 레벨대에 맞거나 혹은 더 쉬운 무난한 패턴이지만, 6B SC만은 상당한 복병으로 등장했다. 기타 솔로가 시작되면서부터 난이도가 급격하게 어려워지는 경향을 띠는데, 왼손 부등호 계단부터 시작해서 1:07초부터 시작되는 복잡한 롱잡 트릴, 오른손-양손-오른손으로 이어지는 부등호 계단, 킬링 파트로 마지막 '''겹계단'''까지 실수하기 쉬운 요소들로 무장한 후살이 20초동안 쉬지 않고 내려온다. 기존 패턴은 다소 단순한 경향이 있어 의식하지 못했지만 BPM 또한 175로 빠른 편이기 때문에, 앞의 패턴들을 어떻게 잘 넘겼다고 하더라도 퍼펙트를 노리고 있든, 맥스 콤보를 노리고 있든 최후반의 겹계단 파트에서 좌절할 가능성이 크다. 11레벨로 책정되었지만 유저들 사이에서는 [[Ruti'n#s-3|Ruti'n (GOTH Wild Electro Remix)]]와 함께 대표적인 '''12레벨급 [[불렙]]''' 패턴으로 평가받는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_K3nHJiv6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8UFvsmMvIc)]}}}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5ZgZvajc5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8GSGDnO4xs)]}}} || 8B SC는 등장 당시 15레벨이었으나 너무 쉬워 14레벨로 하향됐고, 14레벨 내에서는 후살이 살짝 거슬리는 14레벨 중위권 정도. 이후 8레벨로 조정되었다. == 관련 문서 == * [[glory day]] * [[BlackCat]] * [[Daydream(DJMAX)]]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