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베이비복스/음반]][[분류:2001년 음반]] [include(틀:베이비복스)] ||<-5> '''{{{#FFFFFF {{{+1 Boyish Story}}}}}}''' || ||<-5>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베이비복스_Boyish Story.jpg|width=100%]]}}} || ||<-5> '''2001년 6월 14일 발매'''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 '''1''' || intro || 심은진 || 김형석 || || || '''2''' || '''Game Over'''[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D9; font-size: 0.6em" {{{#FFFFFF '''타이틀곡'''}}}}}} || [[김이지]],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 '''3''' || '''인형'''[* 드라마 쩐의 전쟁 OST중 스윗 소로우의 심플 라이프와 진행 방식이 거의 흡사하다. 이유는 작곡가가 같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D9; font-size: 0.6em" {{{#FFFFFF '''후속곡'''}}}}}} ||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 '''4''' || 내 사랑이기를 ||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 '''5''' || Cut || 조은희 || 심상원 || 심상원 || || '''6''' || Lucky7 || 후니훈 || 이현승 || 이현승 || || '''7''' || 부디 || [[김이지]] || [[김이지]] || [[김형석]] || || '''8''' || 가까이[* 아래 서술되어 있지만, 가사가 너무 노골적으로 야하다. 간략하게 서술하자면 "오늘 같이 밤에...."] || [[정연준]] || [[정연준]] || [[정연준]] || || '''9''' || Come To Me || 조은희 || [[김형석]] || [[김형석]] || || '''10''' || To. Angel[* 팬클럽 베이비 엔젤스를 위한 곡. 그래서 제목에 엔젤이 포함되어 있다.] || [[윤은혜]] || 이현승 || 이현승 || || '''11''' || Puzzle || 조은희 || [[김형석]] || [[김형석]] || || '''12''' || The One[* 이희진&간미연의 듀엣 곡. 노래는 좋은 편이다. 그런데 편곡의 문제인지 작곡 자체의 문제 인지는 알수 없으나, 중간중간 들리는 이상한 코러스 때문에 곡 퀄리티가 상당히 떨어지는 곡이다.] || 이희진 || 이희진 || 김신일 || || '''13''' || Go Go, No No, So So || 김신일 || 김신일 || 김신일 || || '''14''' || 마지막 선물 || 간미연 || 간미연 || 이현승 || || '''15''' || Game Over (MR) || - || [[김형석]] || [[김형석]] || || '''16''' || Outro (MR) || - || 김형석 || || [목차] == 개요 == 2001년 6월 4일에 발매한 [[베이비복스]]의 정규 5집 앨범이다. 타이틀 곡은 김형석이 작곡한 '''《Game Over》'''이고 후속곡 역시 김형석이 작곡한 '''《인형》'''이다. 5집 앨범엔 멤버 개개인의 자작곡이 들어있고 4집에선 '''유기성'''이 강했다면 5집에서는 '''다양성'''을 추구했다. 베이비복스의 리즈 시절을 함께한 김형석과 작업한 마지막 앨범이기도 하다. 역대 앨범중 트랙수가 제일 많다. 앨범 제목이 말해주듯 전체적인 컨셉은 '''Boyish(보이쉬)'''. [* [[카라]]의 《[[숙녀가 못 돼]]》, [[소녀시대]] 《[[Mr.Mr.]]》 컨셉 원조?] 무대 위에서도 남성 정장과 구두를 신고 등장했다. == 활동 이력 == 5집 앨범 활동에 관한 내용은 [[베이비복스]] 문서의 {{{#green '''1999~2001 : , , '''}}} 차례 혹은 [[베이비복스/활동]] 문서를 참고할 것.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IoN_DVYkFU0)]}}} || ||<#FFB2D9> {{{#ffffff '''Game Over'''}}} || ||<:> ^^'''{{{#00a44a 김이지}}} {{{#F47D30 이희진}}} {{{#936FB1 심은진}}} {{{#00a9dc 간미연}}} {{{#C77539 윤은혜}}}'''^^ {{{#C77539 차가워진 날 보며 짐작했길 바랄게 끝난 사랑을 이별이 올 줄 알면서 혼자 착각했던 그 시간들도 다 지워 줘}}} {{{#936FB1 정말 모르는 거니 모른 척하는 거니 사랑이 아냐 지금 네 모습을 좀 봐 어차피 끝인 걸 더 비참할 필요는 없잖아}}} {{{#F47D30 기다렸니 내가 너 하나만 바라보기를 네 눈에 고이는 다른 사랑을 보기 전에 제발 먼저 날 떠나가 줘}}} {{{#00a9dc I'm gonna leave now 더 이상 아무 느낌 없잖아 그냥 스쳐간 사랑이 돼 줘 그걸론 모자라니 I'm gonna let you go 더 이상 흔들리지 말아 줘 나도 미안한 눈물이 흘러 기다릴 다른 사랑에}}} {{{#00a44a 나를 사랑했던 건 네가 실수한 거야 이제 알겠니 난 이미 너를 떠났어 제발 좀 정신 차려 이러는 네가 우스워}}} {{{#F47D30 믿고 있니 달콤했던 모든 거짓말들을 솔직히 고마울 뿐이야 지금껏 내 모습에 끝까지 속아줬던 것}}} {{{#00a9dc I'm gonna leave now 더 이상 아무 느낌 없잖아 그냥 스쳐간 사랑이 돼 줘 그걸론 모자라니 I'm gonna let you go 더 이상 흔들리지 말아 줘 나도 미안한 눈물이 흘러 기다릴 다른 사랑에}}} {{{#00a44a 지금껏 모른 척 나 알아도 모른 척 잘나빠진 네 미소에 난 항상 지쳐 있었어 And the love & dreams we had Why don't you take it back 쓴 후회 남을 선택 네가 원하는 대로 바라던 대로 해줄테니 이제 Over You know? 지금까지 눈치 없이 몰랐었지 행복했지 눈치 없이 몰랐었던 내가 바보였지}}} {{{#00a9dc 나는 모든 걸 잊을 수 있어 나를 보내주던 눈물까지도 모든 걸 너무 쉽게 믿었던 바보 같은 너를 어쩌겠니 난 모르는 척 웃어줄게}}} {{{#00a9dc I'm gonna leave now 그러길 바라왔던 너잖아 내가 마지막 사랑이 되길 바란 적 없을 테니 I'm gonna let you go 다시는 돌아보지 말아 줘 나도 미안한 눈물이 흘러 기다릴 다른 사랑에}}} {{{#00a9dc I'm gonna leave now 더 이상 아무 느낌 없잖아 그냥 스쳐간 사랑이 돼 줘 그걸론 모자라니 I'm gonna let you go 더 이상 흔들리지 말아 줘 나도 미안한 눈물이 흘러 기다릴 다른 사랑에}}} || *당시 케이블 방송 VJ로 활동하던 [[제롬]]이 뮤직비디오 출연했다.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tPvHz-oFPfQ)]}}} || ||
<#FFB2D9> {{{#ffffff '''인형'''}}} || ||<:> ^^'''{{{#00a44a 김이지}}} {{{#F47D30 이희진}}} {{{#936FB1 심은진}}} {{{#00a9dc 간미연}}} {{{#C77539 윤은혜}}}'''^^ {{{#C77539 모든 게 오해이기를 나만의 착각이기를 차가운 입맞춤의 기억이 머리를 맴돌다가 그치길 바랐어}}} {{{#00a44a 모르고 있었는지 모르고 싶었었는지 첨부터 그대 안에 누군가 있었대도 난 괜찮아}}} {{{#C77539 나에게 다가온 그대의 방황이 조금 더 머물길 바랐어}}} {{{#936FB1 함께 한 기억이 그대의 웃음이 내 안에 눈물로 남겨져}}} {{{#00a9dc 내게 머물렀던 그 짧았던 시간 속에서 난 인형이었을 뿐 다음 사람에게 더 미안해지지 않게 난 여기서 멈추지만}}} {{{#F47D30 흐르는 눈물까지는 멈출 수 없나 봐}}} {{{#936FB1 어디로 가야하는지 얼마나 남아있는지 날 다시 어둠으로 몰아낸 그녀는 천사처럼 네 곁에 있겠지}}} {{{#F47D30 너 없이 너를 만나 너 없이 난 얘기하고 너 없이 웃고 있는 나조차 싫어지는 내 모습에}}} {{{#C77539 나에게 다가온 그대의 방황이 조금 더 머물길 바랐어}}} {{{#936FB1 함께 한 기억이 그대의 웃음이 내 안에 눈물로 남겨져}}} {{{#00a9dc 내게 머물렀던 그 짧았던 시간 속에서 난 인형이었을 뿐 다음 사람에게 더 미안해지지 않게 난 여기서 멈추지만}}} {{{#F47D30 흐르는 눈물까지는 멈출 수 없나 봐}}} {{{#00a44a 너 없이 너를 만나 너 없이 난 얘기하고 너 없이 웃고 있는 나조차 싫어지는 내 모습에}}} {{{#F47D30 이 밤이 지나면 나조차 모르게 사랑은 조금 더 커지고 눈부신 햇살에 조금 더 멀어진 그대는 눈물이 되겠지}}} {{{#00a9dc 모두 흘려버려 나 이제야 변해 또 다른 사랑을 할 수 있게 모두 잊어줄게 그 작았던 기억까지도 난 모두 지워줄게}}} {{{#00a44a 이제 내게 필요없는 존재 가치 떠나간다 해도 그댄 잡진 않지 다시 돌아온다 해도 원치 않지 나도 이제 흔들려 어쩔 수가 없나 봐 것 봐 한편으론 내게 돌아와 모든 걸 포기한 채 나는 살아가고파 더 이상 이제 난 널 바라보지 않아 그러니 이제 날 떠나}}} {{{#00a9dc 내게 머물렀던 그 짧았던 시간 속에서 난 인형이었을 뿐 모두 잊어줄게 그 작았던 기억까지도 난 모두 지우지만}}} {{{#F47D30 자꾸만 잊혀진다는 건 헤어졌다는 거}}} || *뮤직비디오에서 김이지의 목욕신이 크게 화제됐었다. 애초 앨범 기획과 어긋나는 섹시 컨셉으로 다시 등장해 일부 비난 여론이 있었다. 뮤직비디오 초반부에 나오는 아역은 [[박은빈]]이다. 사실 별 비중도 없고 스토리 형식의 뮤직비디오가 아닌지라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윤은혜의 어린 시절을 연기한 것이라고. == 판매량 == 5집 앨범은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으로 90,014장을 판매. 이 시기 MP3 파일과 불법다운의 보급화로 음반 시장이 아예 무너지기 시작했고, 베이비복스 자체의 인기도도 전성기 시절보다는 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높은 판매고를 올리지 못했다. == 여담 == *5집에는 앞에 서술했듯이 멤버 개개인의 자작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김이지가 《부디》를 작사/작곡 및 《Game Over》의 작사에 참여했고, 이희진이 R&B 발라드 《The One》, 간미연이 《마지막 선물》을 작사/작곡 했다. 심은진과 윤은혜는 각각 《Intro》와 《To. Angel》이라는 곡에 작사로만 참여했다. *원래 후속곡으로 예정된 곡은 정연준 작곡의 《가까이》였지만 선정성 논란이 일어 《인형》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인형》이 타이틀 곡을 뛰어넘게 히트해서 어떻게 보면 전화위복을 한 셈. 실제로 후속곡 《인형》으로 활동을 재개하자 추가적으로 3만장의 판매고를 올리는 실적을 냈다. *가수 이윤정의 2집 앨범 《육감》에 7번 트랙으로 수록된 《가까이 더 다가와》는 《가까이》와 가사만 다른 동일곡이다.[* 다르다고는 적어놨지만, 일부 부분을 빼면은 거의 똑같다.] 같은 해에 비슷한 시기에 나온 두 앨범에 똑같은 곡이 수록되었는데, 작곡가 정연준이 똑같은 곡을 베이비복스와 이윤정에게 줬고, 이 사실이 기사화 되어 논란이 있었다. 후에 정연준은 실수였다면서 이윤정에게 사과를 하였지만, 곡을 먼저 받았었던 베이비복스에게는 아무런 사과도 하지 않았다. 《가까이》가 후속곡에서 밀려난건 선정성 논란 외에 이런 이유도 작용하지 않았나 추측된다. 이와 똑같은 사례로는 [[쿨(혼성그룹)|쿨]]의 《Love Letter》 라는 곡과 가사만 다른 동일곡인 [[문차일드]]의 《[[태양은 가득히]]》가 있다. *5집 앨범은 디지팩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편지지 형식처럼 북클릿이 낱장으로 들어있어 보관이 어렵다. *이희진은 김이지가 작곡한 《부디》를 녹음할 당시 본인의 앞파트였던 심은진의 가사를 듣고 눈물을 흘려 녹음이 중단됐었다. 가사가 너무 슬퍼서 그만 울어버렸다고. *타이틀 곡 《Game Over》를 처음 듣고 멤버들은 모두 입을 모아 '''이 노래는 꼭 보이쉬 컨셉으로 가야겠다'''라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5집 활동 당시 심은진의 헤어스타일이 숏컷이었는데 이때 당시 심은진을 멤버들과 팬들 모두 '''심은철'''이라고 부른다. 심은진은 아직까지도 간혹가다 당시 활동 사진을 올려놓곤 '''집나간 은철이 찾아요'''등의 드립을 날린다. 멤버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심은진은 심은철로 통한다고 한다. 이희진도 5집 활동 때 단발로 변신했었는데 지적인 이미지로 이미지 변신을 결심했지만 당시 지인들의 반응은 '''진숙이[* 영화 [[친구(영화)|친구]]에 등장하는 캐릭터다.] 아이가?(…)''' *5집은 생각보다 부진한 성과를 가져왔고 5집 활동 종료 후 DR뮤직 홈페이지에 제2의 베이비복스를 모집한다는 공지가 올라와 팬덤은 [[멘붕]]했다. 이 때 아나운서 유경미가 캐스팅됐었다고 하는데 그가 밝히기로는 소속사 사정으로 무산됐다고 한다. 이를 두고 당시 인기 멤버였던 간미연과 심은진을 제외한 멤버들을 모두 탈퇴시키고 새롭게 정비된 제2의 베이비복스가 출격할 뻔 했다는 터무니 없는 루머가 있는데 이는 전혀 사실무근이다. 당시 소속사가 추진했던 제2의 베이비복스는 그냥 소속사에서 새로운 걸그룹을 만들기 위한 언플일 뿐이었다. 아직까지도 저 루머를 사실로 믿는 사람들이 있는데 상식적으로 말도 안되는 소리다.[* 성공 확률도 낮은데 저런 큰 도박을 할리도 없다. 공식 입장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